[북한교육][북한의 교육][북한교육 사상교육][북한교육 사회주의교육][보통교육][민족교육][시험]북한교육의 사상교육, 북한교육의 사회주의교육, 북한교육의 보통교육, 북한교육의 민족교육, 북한교육의 시험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교육][북한의 교육][북한교육 사상교육][북한교육 사회주의교육][보통교육][민족교육][시험]북한교육의 사상교육, 북한교육의 사회주의교육, 북한교육의 보통교육, 북한교육의 민족교육, 북한교육의 시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북한교육의 사상교육
1. 인민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사상교육
2. 고등중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사상교육

Ⅲ. 북한교육의 사회주의교육

Ⅳ. 북한교육의 보통교육
1. 초등의무교육
2. 중등 의무교육
3. 11년간 의무교육

Ⅴ. 북한교육의 민족교육

Ⅵ. 북한교육의 시험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계변화와는 무관하게 ‘민족’이 사회주의 체제의 가장 으뜸가는 단위임을 분명히 하여 “인류력사상 가장 우월한 인민대중 중심의 우리 식 사회주의 제도는 조선민족제일주의의 형성과 발양을 위한 사회적 기초이며 그 요인”이라고 강조하였다.
Ⅵ. 북한교육의 시험
북한의 학생들은 남한의 학생들만큼 시험에 대한 부담감이 없는 편이다. 그만큼 시험을 보는 횟수가 적다는 것이다. 인민학교 1, 2학년은 시험이 없으며, 인민학교 3학년 때부터 고등중학교까지는 시험을 치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학기말과 학년말 두 차례에 걸친 공식적인 시험이 있으며 이 외에 담당교원에 따라 치러지는 주간, 월간 시험 등 이 있다. 한번 시험을 칠 때마다 보통 1~2주일의 시험기간이 주어지며 해당 수업시간에 과목별로 치러진다. 학기말과 학년말 시험은 거의 전 과목에 걸쳐서 이루어지지만, 교과목의 반 이상은 시험을 보지 않도록 하여 가능한 시험을 억제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학생들은 시험 때가 되면 학과 수업 외에 ‘집체학습’을 통해 공부를 하게 된다. 이 때는 별다른 사정이 있는 학생들을 제외하고는 모두 교실에서 선생님의 감독 하에 공부를 해야만 한다. 시험을 치르는 기본과목으로는 국어, 수학, 외국어, 혁명역사 등이다.
김일성김정일 관련 과목과 음악, 미술(도화공작), 제도, 실습 등은 전혀 시험을 보지 않고 수업시간의 학업성취도 및 과제물 제출로 성적을 평가하고, 체육은 실기시험을 치른다. 북한의 학생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과목은 김일성 교과, 특히 혁명역사이다. 이 과목은 다른 과목과 달리 100% 완전 암기를 해서 한 자라도 틀려서는 안 되기 때문에 학생들은 상당한 부담감을 가지고 시험에 임하게 된다. 북한에서 시험은 필답시험과 구술시험으로 이루어져 있다. 필답시험문제는 객관식은 없고 모두 주관식의 논술문제로 약 3~5문항씩 출제된다. 시험 전에 교원들이 시험출제 예상문제를 작성하여 학생들에게 미리 나누어주고 학생들은 이것을 외워서 시험을 치르는 것이 보통이다. 학생들은 대부분 시험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따로 공부를 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래서 북한 학생들 사이에서는 컨닝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것은 고등중학교로 갈수록 더 심해진다. 컨닝하는 방법으로는 책상 위, 걸상, 손바닥 등 에 깨알같이 적어 넣는 방법이나 쪽지를 사용하는 방법, 특히 여학생의 경우 치마 및 허벅지에다 예상답안을 적어 넣는 등 남한 학생들이 사용하는 수법과 비슷하다.
북한에서의 시험성적 처리는 1987년 김정일의 지시에 의하여 100점 만점의 10단계 채점방법에서 5점 만점의 5단계 채점법으로 바뀌었다. 5단계 채점법이란 5점을 기준으로 5점은 ‘최우등’으로 시험문제와 시험관의 보충질문에 완전히 답변했을 경우, 4점은 ‘우등’으로 시험문제에는 만점을 받았으나 보충질문에 답변하지 못했을 경우, 3점은 보통으로 시험문제나 보충질문에 한두 가지 답변을 못했을 경우, 2점과 1점은 낙제로 시험 문제의 절반 또는 한 가지도 답변하지 못했을 경우 받게 된다. 성적 순위는 주로 과목별로 발표되고 종합적인 성적 평균이 학교 전체 순위에 오르게 된다. 개인의 석차보다는 학급별 또는 학년별 석차를 주로 발표한다. 시험성적은 공개적으로 전교생 및 학부모에게 공표된다. 학기마다 개최되는 학부형회의 당일에 교원이 직접 학부모들에게 성적표를 나누어준다. 북한에서도 성적이 우수한 학생에게 표창장을 주고 있으며 성적이 부진한 학생은 과목별 소조에 들어가 특별지도를 받기도 한다.
Ⅶ. 결론
사회주의 국가에 있어서 교육, 다시 말해 북한의 교육은 당연히 사회주의 이념과 그 실천적 당면 문제에 봉사하기 위해 실행되고 있다. 그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학교교육을 지배 이데올로기에 순종하는 인간교육, 즉 노예교육으로 규정하고 진정한 교육적 가치를 인간을 계급 혁명의 주인공으로 개조하는 데에서 찾고 있다. 특히 레닌은, 계급의식이 투철한 인격은 학교교육을 통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다고 보고, 러시아혁명 초기부터 다른 어느 부분보다 학교교육에 관심을 쏟았다.
참고문헌
◇ 김동규, 북한학 총론, 교육과학사, 1999
◇ 김형찬, 북한의 교육, 을유문화사, 1990
◇ 안호상, 민주적 민족론(제5판), 서울 : 어문각, 1961
◇ 북한 교육(통일 교육론)에 대한 시험 요점정리
◇ 북한 교육위원회 보통교육국, 교수요강 - 국어문학, 1984
◇ 한만길, 북한에서는 어떻게 교육할까 - 북녘에서 살다 온 16인의 생생한 교육체험기, 우리교육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7.0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83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