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교원양성제도][교육행정제도][고등교육][유치원교육][영재교육][특수교육]북한의 교원양성제도, 북한의 교육행정제도, 북한의 고등교육, 북한의 유치원교육, 북한의 영재교육, 북한의 특수교육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교원양성제도][교육행정제도][고등교육][유치원교육][영재교육][특수교육]북한의 교원양성제도, 북한의 교육행정제도, 북한의 고등교육, 북한의 유치원교육, 북한의 영재교육, 북한의 특수교육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북한의 교원양성제도
1. 제 1기(1960년 - 1966년)
2. 제 2기(1967년 - 71년)
3. 제 3기(1972년- 76년)
4. 제 4기(1977년-)

Ⅲ. 북한의 교육행정제도

Ⅳ. 북한의 고등교육
1. 일반 고등교육체계
1) 종합대학과 중심대학
2) 단과대학
3) 고등전문학교
4) 특수대학
2. 성인교육체계

Ⅴ. 북한의 유치원교육

Ⅵ. 북한의 영재교육
1. 예체능 분야의 영재교육
2. 과학 분야의 영재교육
3. 대학 수준에서의 영재교육

Ⅶ. 북한의 특수교육
1. 특기자교육
2. 사범교육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청 소재지에 동일 수준의 도 단위 제1고등중학교를 1개교씩 신설하였다.
이들 학교는 모두 현대적인 과학실험 기구실과 어학실습실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김일성 종합대학과 金策공과대학 출신의 기초과학 전공 교사들을 배치한 북한 내에서는 최고 수준의 영재교육기관이다(중앙일보).
제1고등중학교에 들어가려면 인민학교 졸업생과 일반 고등중학교 재학생으로 특히 수학과학 분야의 성적이 뛰어나야 한다. 또 출신학교장의 추천을 받아야 입학시험에 응시할 자격을 주는데 시험은 웬만한 실력으로는 몇 문제 풀지도 못한다. 천재적 재능이 엿보이는 어린이는 특례입학도 시킨다. 1993년 9월 여섯 살에 인민학교도 거치지 않고 남포제1고등중학교에 입학한 전성광군이 대표적 경우이다. 이 어린이는 세 살 때 30분 만에 한글을 깨우치고 다섯 살 무렵 인민학교 졸업생들과 비슷한 실력을 보여 천재로 소문났었다. 선발과정에 못지않게 교육과정도 체계적이고 철저하다. 한 학급은 25명 정도로 편성된다. 수업은 특히 과학과 외국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1~2학년 동안 개개인의 지적 능력을 평가하고 3학년부터는 학생들의 능력에 맞게 개별지도에 힘을 쏟는다. 교과서도 수재용이 별도로 제작된다. 이곳 졸업생들은 본인의 희망에 따라 김일성대학, 김책공대, 평양이과대학 등 1류 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 그것도 예과(1년)를 거치지 않고 바로 본과로 들어가게 된다. 이들에게는 병역의 의무가 면제되고 해외유학의 특전도 보장된다(조선일보).
3. 대학 수준에서의 영재교육
平壤外大金策工大 「명문대」는 바늘구멍 - 외국어예체능 등 10%는 특전
兪英九(동서사회문제연구원)는 영재아에 대한 대학연계의 배려를 위와 같이 표현하였다. 북한의 입시경쟁률도 높기는 우리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고등중학교 졸업자가 곧바로 진학하는 경우(이를 直通生으로 부름)는 외국어대학체육대학예술부문대학 등과 물리수학전자공학을 비롯한 일부 과학자기술자 양성학과가 여기에 속한다. 이는 바로 북한의 영재교육의 일관성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김일성대학, 김책공대 등에서는 영재를 위한 특설된 코스로 입학을 시켜서 과학기술 분야 등 첨단 과학 분야의 발전에 끊임없는 노력을 다하고 있다.
예체능전문대학의 경우에는 어릴 때부터 소질 있는 영재아들을 꾸준히 발굴하여 꾸준한 연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남한의 대학원 석사과정에 해당하는 연구원은 3년제이고 남한의 박사과정과 같은 박사원이 2년제이다(국토통일원).
Ⅶ. 북한의 특수교육
1. 특기자교육
북한은 과학영재교육을 위해서 각 도에 특수학교들을 건립했다. 인민학교졸업생 가운데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 교육하는 「제1고등중학교」, 혁명유가족 및 특권층 자녀교육을 위한 「만경대혁명학원」「강반석혁명학원」 등이 있고, 무용음악조형예술교예 등 특기자들을 위한 예체능전문학교가 있으며, 외국어의 중점교육을 위한 「외국어학원」 등을 운영하고 있다.
각 도(직할시)에 설립되어 있는 제1고등중학교는 정규 고등중학교 과정으로서 1983년 9월 평양제1고등중학교 설립을 시발로 전국에 12개가 설립되어 있는데 주로 과학수학물리 분야의 과학자 양성을 위한 교육이 중점 실시되고 있다.
「만경대혁명학원」은 1947년 10월 21일 당시 인민무력부 산하 교육기관으로 설립, 인민학교 졸업 후 입학할 수 있다. 입학자격은 혁명유가족 및 당정 고위간부 자녀들로서 입학과 동시에 기숙사에 집단 수용되어 사관학교식 교육을 받는다.
「평양외국어학원」은 6년제 고등중학교 과정으로서 중국어, 일어, 영어 등 8개 외국어를 중점 교육시키고 있다. 기타 각 시도에 설치되어 있는 외국어학원은 9년제로 운영되고 있다.
2. 사범교육
북한은 사범교육을 중요시 하며, 교원에 대한 물질적 처우는 다른 사무직종보다 좋은 것으로 보인다. 이들 교원들의 임무는 “후대들을 주체형의 공산주의 혁명가로 육성할 혁명화 된 교육자를 양성함으로써 온 사회의 주체 사상화에 이바지하는 데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교원들이 맡은 바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도록 책무성과 충성심을 유발하고, 그들의 사회적인 위신과 지위를 높여 줌으로써 교육성과를 높이려는 까닭이다.
교원양성기관으로는 사범대학과 교원대학으로 구분되는데 각 도(직할시)급마다 2개씩 설치되어 있다.
제1사범대학에서는 고등중학의 고등반 교원을, 제2사범대학에서는 고등중학의 중등반 교원을 양성하며 제12교원대학에서는 유치원 교양원과 인민학교 교원을 양성하고 있다.
또한 이들 대학에서는 부족한 교원충당을 위해서 주간의 정규교육 이외에 통신야간교육 등을 실시할 뿐 아니라 교원의 재교육 실시 및 단기강습반을 모집 양성하고 있다.
북한의 주요 교원양성기관으로는 「김형직사범대학」이 있는데, 이 대학은 종전의 평양 제1사범대학을 김일성의 부친의 이름을 따서 1975년 개창한 것으로 북한 유일의 5년제 사범대학이다. 이외는 「김정숙사범대학」, 「삼흥대학」 등을 들 수 있다.
Ⅷ. 결론
\'주체형의 공산주의적 인간\' 육성에 목적을 두고 있는 북한의 교육은 정권수립과 더불어 변화를 거듭해 왔다.
북한은 지난 56년 무료의무교육제도로 4년제의 \'전반적 초등의무교육\'을 처음 실시한 이후 58년 전반적 중등의무교육(7년제)에 이어 66년에는 \'전반적 9년제기술 의무교육\'을 선포, 이듬해 4월 1일부터 실시했다. \'전반적 9년제 기술 의무교육\'제도는 당시 미성년자의 법적 노동연한(16세)이 될 때까지 국가가 책임지고 기술교육을 시킨다는 점에서 \'일대변화\'라고 평가받았다.
북한은 지난 72년 9월께 9년제 기술의무교육을 폐지하고 \'전반적 11년제 의무교육\'을 실시,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이 제도는 만5~16세에 대해 1년간의 유치원 상급반 교육과 4년제 인민학교, 6년제 고등중학교까지 공부시키는 체계이다
참고문헌
김헌수(1995) / 남북한의 영재교육에 관한 이론과 실천의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김동규(1990) / 북한 교육학의 기본 원리, 북한의 교육, 서울 : 을유문화사
박승규(2000) / 최신 북한이해, 서울 : 학문사
주삼환 외(2000) /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서울 : 학지사
최민수(1996) / 북한유아교육론, 문음사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7.0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84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