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듀이][존 듀이 교육사상][존 듀이 교사상][듀이 반성적 사고]존 듀이의 일생, 존 듀이의 교육사상, 존 듀이의 참여원리, 존 듀이의 경험기준, 존 듀이의 교사상, 존 듀이의 반성적 사고, 존 듀이 관련 제언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존 듀이][존 듀이 교육사상][존 듀이 교사상][듀이 반성적 사고]존 듀이의 일생, 존 듀이의 교육사상, 존 듀이의 참여원리, 존 듀이의 경험기준, 존 듀이의 교사상, 존 듀이의 반성적 사고, 존 듀이 관련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존 듀이의 일생

Ⅲ. 존 듀이의 교육사상
1. 삶의 필연으로서의 교육
2. 사회적 기능으로서의 교육
3. 지도 및 성장으로서의 교육

Ⅳ. 존 듀이의 참여원리

Ⅴ. 존 듀이의 경험기준

Ⅵ. 존 듀이의 교사상
1.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
2. 공동체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교사

Ⅶ. 존 듀이의 반성적 사고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농민조합 등 학교 외의 민주적인 사회개혁 세력과 긴밀한 협조와 연대를 이루어야 한다.
Ⅶ. 존 듀이의 반성적 사고
Dewey는 교과와 방법을 분리해서 각기 독립적인 영역으로 보는 경향을 이원론의 유산으로 보고 있다. 곧 마음과 세계가 두 가지 다른 영역을 이루고 있다는 이원론적 관점에서 보면 교육의 방법과 내용도 별개의 것으로 인식된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교과는 인간과 자연에 관한 사실과 원리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해서 얻은 결과이고, 방법은 그 이전에 이미 확립되어 있는 교과를 이끌어 와서 그것을 습득하도록 하는 절차와 기법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적어도 이론상으로는 특정방법이 적용될 교과에 관한 지식이 없이도 마음에 관한 과학으로부터 학습의 방법에 관한 완벽한 이론을 연역해 낼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인식의 주체와 대상, 마음과 세계의 연속성을 강조하고 행위 또는 사유의 과정과 결과를 모두 경험 속에 포용하고 있는 Dewey가 이런 이원론적 관점을 받아들일 수는 없었다. 그에 있어 방법이란 교과를 우리가 바라는 결과, 곧 목적을 향하여 의도적 효과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과정이다.
그러나 교과와 방법의 관련성을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방법의 일반성과 특수성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말하자면 여러 교과의 학습에 광범하게 적용될 수 있는 어떤 일반적인 방법이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Dewey가 제시한 일반적 방법은 과학적반성적 사고라 할 수 있다. 반성적 사고란 “어떤 신념 또는 가정된 지식의 형식을 그 신념 또는 지식을 지지하는 근거와 그것이 지향하는 그 이상의 결론들에 비추어 적극적, 지속적으로, 그리고 주의 깊게 고찰하는 정신작용”을 의미하며 대체로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①암시 ②지성화 ③지도적 관념 - 가설 ④(협의의) 추리 ⑤가설 검증
반성적 사고는 한마디로 지적, 과학적 문제해결과정이라 할 수 있다. 즉 지적, 실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확실한 지식과 신념을 획득할 목적으로 관념과 사물, 지식과 행위, 이성과 감각 등 제반 요소들을 합목적적으로 배열해 나가는 과정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경험은 지성화 되고 이론은 실천과 연속됨으로써 고질적인 이원론이 극복되고 지식과 신념의 확실성, 정당성이 증가되어 나간다.
반성 또는 탐구는 물론 불확정적인 문제사태에서 시작되어 확정적 문제해결사태로 끝이 난다. 여기서 Dewey에 있어 문제사태란 한 총칭으로서의 삶의 문제, 곧 일상적학문적, 이론적실천적 문제를 모두 포함한다. 그는 반성적 사고가 일어나는 불확정상황을 ‘전 반성상황’(pre-reflective situation)이라 하고 그것이 해결된 확정상황을 ‘후 반성상황’(post-〃)이라 부르고 있다. 따라서 한 단위의 반성적 사고는 전 반성의 문제사태에서 시작되어 ‘암시-지성화-가설-추리-가설검증’의 과정을 거쳐 그 문제가 해결되고 결론이 도출됨으로써 끝이 난다.
Dewey에 있어 이러한 반성적 사고는 바로 그의 인식론임과 동시에 교수방법이다. 말하자면 그것은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적인 사회, 문화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최선의 학습방법이다. 더욱이 그것은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자연과학만 아니라 각종 사회과학이나 도덕, 윤리문제 등 광범한 영역에 걸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방법이다.
Ⅷ. 결론 및 제언
듀이는 교육의 과정을 성장의 과정성장하고 있는 과정이라고 보았다. 계속성의 원리를 통하여 학습자가 끊임없이 경험한 결과를 통하여 성숙해 나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비록 이러한 교육을 해나가는 소재는 교과가 아닌 실생활 속에서의 ‘경험’에 의한 것이지만, 이것이 교육을 해 나가야 하는 목적이 아닌가 한다. 끊임없이 교과에 대해 연구하고 탐구하여 자신을 성장시켜 나가는 것, 이것이 교육을 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곽철규, John Dewey의 사회철학 : J. Dewey의 사회개혁론, 호서문화연구, 제9집, 충북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 1900
* 김경연, 존 듀이의 민주적교육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대학원, 1998
* 송선희, Dewey의 사회개조론과 교육, 계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 석주향, J. Dewey의 과학적 사고의 의미 고찰,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1998
* 조화섭, 교육학, 교육마을, 2003
* 정은주 논문, John dewey의 도덕 교육론에 있어서의 인간성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 대학교 대학원, 1993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7.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2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