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개론 (심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심장의 구조와 심장근의 특징

1-1. 심장의 구조

1-2. 심장근의 특징

▶심장의 역학적 운동

(1) 심방 수축기(atrial systole: IVc)

(2) 심실 수축기(ventricular contraction, I, IIa, IIb)

(3) 심실 확장기(ventricular diastole: III, IVa, IVb, IVc)

▶심장의 흥분 전도계(Conducting system)

(1) 동방결절(Sinoartrial node, S-A node)

(2)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A-V node of tawara)

(3) 방실속(Hiss-bundle, A-V bundle)

(4) 푸르킨예 섬유(Purkinje fiber)

▶심장의 신경지배(Innervation)

▶ 심장의 기능 조절

(1) 박출량(Cardiac output)

(2) 심장의 법칙(Law of the heart; Franke-Starling law)

(3) 기능조절 인자(Function-Contral-Factor)

(4) 반사기전(Reflex mechanism)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1.역사

본문내용

(wave)에 의해 방실 결절과 방실속, 푸르킨예 섬유 경유 → 심실 근육 수축
※심장에서 분산, 전도되는 신경자극의 약한 전류 발생 → 신체 표면 주위 조직에 전달 → ECG: Electrocardiogram을 기록
▶심장의 신경지배(Innervation)
심장신경총(cardiac plexus)
: 자율 신경의 교감신경 섬유(상중하 심장 신경) + 부교감신경 섬유(미주신경지)
→ 대동맥궁(aortic-arch)의 근처에서 형성
연결: 좌우 관상동맥지를 따라 심장에 분산, 일부는 동방결절에, 일부는 방실결절, 심방의 심근에서 정지
심장 기능 촉진 신경(accelerator nerve) : 교감 신경
억제 감압 신경(inhibitory or depressure nerve): 부교감 신경인 미주 신경이 작용
▶ 심장의 기능 조절
(1) 박출량(Cardiac output)
: 심장이 1분 동안에 동맥내로 밀어내는 혈액량
cf.>박동량 : 심실이 한 번 수축하여 구출(驅出)하는 혈액량
박동수 : 1 분 동안 심장이 뛰는 수
박출량 = 박동량 × 박동수
: 어른 남자의 경우: 5l(≒70×70ml), 여자의 경우: 남자보다 약 10% 낮음
(2) 심장의 법칙(Law of the heart; Franke-Starling law)
Starling 법칙(Franke-Starling law)
심장의 기능이 신경, 호르몬에 의하지 않음
심근섬유가 가진 성질에 의해서 정맥에서 들어오는 혈액량은 생리적인 범위내
에서 혈액을 남김없이 밀어내는 것을 발견
심장 박출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 심장수축이 시작되는 순간의 심
실속 혈액량
: 심실속에 든 혈액량이 많을수록 심근은 더욱 늘어나며 이 때 심장수축은 더욱
강력하게 많은 피를 박출
너무 많은 피가 심장에 들어와 심근이 지나치게 늘어나면 Starling 법칙의 원칙
도 무시 → 심근의 수축력 감퇴, 심장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함
(3) 기능조절 인자(Function-Contral-Factor)
신경성조절:
- 심박동 촉진 : 자율 신경계의 작용을 받고 있는 심장 근섬유는 교감신경에 의함
- 교감 신경 흥분 → 심장의 박동이 증가 → 흥분전달 속도 증가
→ 수축력 강화 → 관상혈관의 혈류 증가
- 심박동 억제 : 부교감 신경(미주신경)에 의함
- S-A node(동방결절)에 시작하는 심장박동의 감소 →
심장박동수가 감소 → 심근 수축력 약화 → 심장흥분 전도속도
저하 → 관상혈관(coronary vessels)의 혈류 감소
액성조절(humoral regulation, 화학물질 조절):
- 혈액내 화학 물질 또는 호르몬(hormone)의 변동에 의해 심장 기능 조절
- 예.
혈액내 탄산가스(CO2)와 산소(O2)의 농도 조절
: 대동맥궁과 경동맥체의 CO2와 O2에 예민한 화학적 수용기에 의해
조절
- 심장의 촉진 : 혈액내에 epinephrine, 티록신(thyroxine)의 증가에 따라 조절
- 심장의 억제 :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농도 증가에 의한 억제 조절
온도
- 온도가 높아지면 심장 운동 촉진
기타 조절 인자
: 일반적으로 심박동수는 몸집이 작을수록 많음
예) 코끼리-200번/분, 생쥐-300번/분,
: 나이가 들수록 심박수 줄어듬
: 심한 운동
(4) 반사기전(Reflex mechanism)
근본 메카니즘 : 원심신경, 즉 교감과 부교감에 의하거나, 반사중추(연수)에 의한 촉진과 억제
심장 반사(Cardiac reflex)
: 대뇌피질 또는 말초부위에서의 자극 → 심장중추 → 말초신경 → 심장
- 압수용기(pressure receptor)
: 대동맥궁과 경동맥동에 있는 혈압변동에 예민한 신경세포
: 압력 증가 → 압수용기 흥분 → 미주신경 → 심장중추 억제 →
부교감신경의 원심 섬유 → 심장억제 조절
; 압력 감소 → 압수용기 흥분 발생 없음 → 교감신경중추 작용 → 심장 촉진
골츠 반사(Goltz reflex)
: 내장신경의 흥분 → 반사적으로 심박수의 감소
아슈네르 반사(Aschiner reflex)
: 안구압박 반사
: 안구 내압(vitreous homur pressure) 증가 → 심장억제 중추 흥분 → 심장 억제 조절
베인브리지 반사(Bainbridge reflex)
: 심장, 대정맥의 내압 증가 → 심장 촉진 → 반사적 심박 증가 → 혈액이 심장에서 동맥내로 밀림
기타 요인
: 사람의 희노애락 → 대뇌피질의 흥분 → 심장 촉진, 억제 조절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 심장에서 일어나는 탈분극과정(세포막의 탈분극)이 신체의 모든 곳에 전달
1.역사
: 피부에 두 개의 전극을 대고 이 두 전극 사이에 예민한 전류계를 연결 → 간접적으로 심장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변동에 유래하는 전기적 파동을 알아냄.
1903년 네덜란드의 아인토벤(Einthoven)이 처음 고안, 실험
심전도에 관한 약속:
전기적 변화를 기록하는 유도법
: 그래프 횡축은 1초 동안에 25mm가 이동, 그래프의 종축은 1mV의 전압 발생에
대하여 10mm가 올라감
P파(P-wave): 심방 탈분극 시의 전도
QRS파(QRS-complex): 심실 탈분극
T파(T-wave): 심실 재분극 시의 파
유도법
표준사지유도법(standard limb lead)
쌍극유도법(dipolar lead)
심장앞단극유도법(precardial unipolar lead)
증폭단극유도법(argumented unipolar lead)
1. 표준사지유도법
: 쌍극유도법으로 전극을 좌우 팔목과 좌측 발목에 부착,
제 1 유도(lead I): 오른쪽 팔목과 왼쪽 팔목 사이의 전기적 변동 기록
제 2 유도(lead II): 오른쪽 팔목과 왼쪽 발목 사이의 전압차 기록
제 3 유도(lead III): 왼쪽 팔목과 왼쪽 발목 사이의 전압차 기록
2. 심장앞단극유도법
: 가슴 위에 하나의 전극만 부착하여 유관 전극(different electrode)으로
삼고, 나머지 전극은 모두 5,000Ω의 저항을 걸어 무관 전극(indifferent
electrode)화하여 기록한 것
참고 서적: 『인체 생리학』, 이인모, 이상목, 형설 출판사

키워드

생리학,   심장,   의학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7.16
  • 저작시기200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