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민족문학사 강좌 1 요약과제 2차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 민족문학사 강좌 1 요약과제 2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고려가요의 다양한 모습
1. 전시대 시가의 전통과 고려가요
2. 진솔함·다양성·개방성 : 속요의 세계
3. 반복과 변화, 풍류와 낙관 : 경기체가의 세계
4. 고려가요 이해의 새로운 방향

고려중기 민족현실과 이규보의 모색
1. 고려중기와 지식인들, 그리고 이규보
2. 「동명왕편」 : 중국과 견주어지는 고려의 문화전통
3. 농민시 : 현실 비판과 체제 안정의 사이에서
4. 이규보를 다시 읽기 위한 화두, 자유에의 욕망

여말선초 사대부문학과 현실주의 경향
1. 여말선초라는 문학의 전환기
2. 여말 사대부문학의 채시관풍론과 현실주의
3. 애민의식으로 담아낸 민생실태
4. 이민족의 침입과 전란의 고통
5. 신흥사대부 현실주의의 성과와 한계

『금오신화』의 출현과 김시습의 문학사적 위상
1. 『금오신화』의 저술과 그 배경
2. 기이로 빚어낸 만남과 이별의 미학,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
3. 인간사회를 논의한 사상소설 「남염부주지」
4. 이상사회에 대한 회고와 희망, 「취유부벽정기」, 「용궁부연록」
5. 김시습의 의식세계와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위상

조선전기 필기·패설의 전개양상
1. 잡록과 필기·패설
2. 필기·패설의 연원과 전개
3. 필기·패설의 일탈과 변모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들의 삶을 반추하게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것’, ‘잡다한 기록’, ‘붓 가는대로 기술한 것’ 등으로 정의되는 ‘잡록(雜錄)’이 우리 문학사에서 비중있게 다뤄지고 나름의 가치를 갖는 것이다.
잡록이라고 해서 무작위로 이야기를 수록한 것은 아니다. 개별 작품은 자유로운 형태를 취하지만 이들을 묶는 ‘집’이라는 내적 질서에 따른다. 이 내적 질서의 차이는 우리 문학사에 존재하는 다양한 잡록을 두 유형으로 분류하는데, 필기와 패설이 그것이다.
필기와 패설은 그 편찬목적이나 향유방식 등에 따라 변별된다. 필기는 지식전달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사실을 전달하거나 박학(博學)을 드러내기 위한 재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패설의 미의식은 골계미에 있다. 또한 필기는 기록문학적인 성격이 강해 한번 기록되면 잘 변하지 않았다. 그에 반해 패설은 구비문학적인 속성으로 독자에게 흥미를 주기 위해 필요에 따라 수시로 이야기가 변개되었다.
필기와 패설은 고려조에서부터 근대 전환기까지 서로 경쟁하기도 하고 상보하기도 하면서 존재해왔다. 두 장르는 때로 자기갱신을 하며 변화를 꾀하기도 하고, 때로는 서로 교섭하면서 ‘야담(野談)’과 같은 갈래를 창출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한다.
2. 필기·패설의 연원과 전개
우리나라 잡록은 고려조 이인로(李仁老, 1152~1220)의 『파한집(破閑集)』에서 출발하는데, 이 같은 사실은 어숙권(魚叔權)의 『패관잡기(稗官雜記)』나 심수경(沈守慶)의 『견한잡록(遣閑雜錄)』발문(跋文), 조위의 『필원잡기』, 조신의 『소문쇄록』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조선 초기 문인 대부분은 잡록의 전범(典範)을 『파한집』이 아닌 이제현의 『역옹패설』로 본 듯하다. 그 예로, 조위의 『필원잡기』 서문과 양성지(梁誠之)의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서문을 들 수 있는데, 둘 다 잡록의 시작은 『파한집』으로 보았지만, 그 전범은 『역옹패설』에서 찾는다. 이는 시화(詩話)가 중심이 된 『파한집』보다는 다양한 유형의 이야기를 실은 『역옹패설』이 선초 문인들의 기호에 맞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제현은 『역옹패설』 후집 서문에서 전집은 필기(조종세계(祖宗世界)의 오래된 것과 공경(公卿)의 언행)로 시작하여 패설(골계의 말)로 끝맺고 있음을, 후집은 시화(문구의 조탁)를 주로 수록하였음을 밝혔다. 이는 이제현이 소박하게나마 잡록의 하위 갈래에 대해 인식하고, 잡록이 지닌 세 가지 성향을 짚어냈음을 의미한다. 선초 문인들은 이 세 가지 갈래를 각각 발전시키는데, 그 대표적인 양상은 서거정(徐居正, 1420~1488)에게서 볼 수 있다.
서거정은 『역옹패설』에서 성글게나마 보여준 세 층위를 필기, 패설, 시화로 더욱 구체화하였다. 이는 중국의 영향에 따른 것이 아니라 우리의 실정에 맞는 장르론을 확립한 것이다. 그 양상은 『필원잡기』, 『태평한화골계전』, 『동인시화』로 나타난다. 서거정의 이러한 갈래론은 동시대에 『촌담해이』라는 패설집을 지은 강희맹과 『추강냉화』라는 필기집을 지은 남효온에도 적용된다. 후대에도 조신의 『소문쇄록』, 권응인의 『송계만록』, 어숙권의 『패관잡기』 등은 필기의 전통 아래, 송세림의 『어면순』, 성여학(成汝學)의 『속어면순』 등은 패설의 전통 아래 이어진다.
조선초기에는 필기류와 패설류를 한 권의 책으로 묶은 작품집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장르론이 혼동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이제신(李濟臣)의 『청강선생후청쇄어(淸江先生鯖語)』는 한 권의 책이지만 그 안에서는 필기·시화·패설이라는 세 갈래를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
조선전기 필기와 패설은 교훈과 오락, 긴장과 이완이라는 두 줄기에서 상보적 입장에서 공존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조선중후기로 가면서 야담이라는 새 장르의 모태로 작용하기도 한다.
3. 필기·패설의 일탈과 변모
16~17세기 초의 필기는 그 전대 양식과 비교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런데 이덕형(李德泂)의 『죽창한화(竹窓閑話)』나 『송도기이(松都記異)』는 그 흐름에서 일탈하는 양상을 보인다. 「진이(眞伊) 이야기」처럼 현재의 삶에 바탕을 둔 허구가 개입된 작품이 실리기도 한다. 이는 소설적인 부연을 전제로 한 설정으로, 특정 작품이 필기의 내적 질서에서 일탈하는 양상이라 하겠다. 이렇게 필기와 패설이 본격적으로 변모하는 것은 17세기 초중반부터다.
사화를 네 차례나 겪으면서 정치주역이 훈구파에서 사림파로 바뀌고, 임병 양란에 따라 사회질서가 재편되면서 잡록 역시 현실의 변화를 반영하게 된다. 서거정이 제시한 기존 장르론은 유지되었지만 한편에서는 ‘종합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서거정이 세분화한 장르들이 다시 한데 묶인 것이다. 그 양상을 대표하는 작품집이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於于野談)』이라 하겠다.
『어우야담』은 전대 잡록의 형태를 따르고 있지만 전대의 양식을 그대로 답습하지 않았다. 『어우야담』은 전대 문헌을 근간으로 삼고 임병양란 이후 부쩍 늘어난 지적 호기심을 바탕으로 이수광(李光)의 『지봉유설(芝峯類說)』처럼 백과사전적 지식을 드러내기 위한 의도로 지어졌다. 하지만 박학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면서도, 다분히 ‘이야기문학’에 경사되어 있다. 이 점은 17세기를 기점으로 우리 문학이 이야기문학으로 경사되었다고 보는 일반적인 논의와도 맥을 같이한다. 『어우야담』은 이러한 흐름을 가장 먼저 보여준 예로 이해해야 하며, 후대 야담이라는 갈래를 창출하는 기폭제가 되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이처럼 서거정이 분류한 갈래들은 네 차례의 사화와 두 차례의 전쟁을 통해 새로이 변모하기 시작한다. 그 핵심은 이야기문학으로의 지향이다. 필기와 패설 모두 이야기적인 문학을 탐색했고, 이렇나 도정에서 야담이라는 새로운 갈래가 탄생한다. 야담은 당시 조선사회의 다양한 외적 움직임과 이야기문학을 지향하는 필기·패설의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장르로, 소설과 함께 조선후기 이야기문학을 주도하는 하나의 갈래로 자리 잡게 된다.
Ⅲ. 참고문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98.
민족 문학사연구소 엮음, 『새민족 문학사 강좌 01』, 창작과 비평사, 2009.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7.25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11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