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피아노>에 나타난 삶의 메타포(metaphor)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A. 영화 <피아노>에 대한 시놉시스
1. 피아노의 영화사적 의의
2. 영화<피아노>의 줄거리

B. 영화<피아노>를 다양한 시작으로 읽기
1 프로이드적 읽기
2. 라깡의 주체와 욕망의 관점에서 영화<피아노>에 대한 분석
3. 욕망의 대상으로서의 성의 관점에서 분석- 피아노를 통한 옷 벗기기 게임

본문내용

루와 같은 것을 추구하는 것은 아닐까? 서로의 다른 욕망의 띠가 춤을 추는 것이 개인적, 역사적 인생사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 Work Cited -
권택영 엮음. 『자크라깡의 욕망이론』(문예출판사: 2000.5.), 11.
김상준. 『프로이트와 영화를 본다면』. 도서출판 북앤드: 2000. 1.(22-36).
김서영. 『영화로 읽은 정신분석』. 서울: 은행나무, 2008.1
김형효 저. 『구조주의의 사유체계와 사상』. 서울: 인간사랑, 1996. 7. 228.
대니 노버스, 라깡과 베니 로버스 임상정신 분석
데이비드 메이시. 『라깡 이론의 신화와 진실』. 허 경 역. 서울:민음사, 2001. 12. 319
다리안 리더. 『라깡(Lacan)』, 이수명 역. 서울:김영사, 2002. 7.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9.
베르트랑 오질비. 『라캉 주체 개념의 형성』, 김 석 역. 서울: 동문선 현대신서, 2003. 11. 162-166
손 호머. 『라깡읽기』 김서영 역. 서울:은행나무, 2006. 11.
이한상. 『영화, 헤쳐모여』. 푸른나무: 1996. 1. 301-04.
Dany Nobus. 『라깡과 프로이드의 임상정신 분석』. 김종주 역. 서울: 하나의학사, 2002. 3.
Slavoj Zizek(tr.)(2003). Jacques Lacan I: Psychoanalytic Theory and Practice, London and York: Routledge press.
------------------. Jacques Lacan IV: Culture. London and York: Routledge press.
1) 이한상, 『영화, 헤쳐모여』(서울 푸른나무: 1996. 1.), 301-04.
2) 김상준. 『프로이트와 영화를 본다면』(서울: 북앤드, 2000. 1.), 22-36.
3) 라깡은 분석의 최종적 목표가 언어의 장벽을 넘어 주체와 주체의 진정한 만남을 겨냥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말이 상상계를 배제한 순수 상징계의 만남이 가능하다는 뜻은 아니다. 라캉은 자아 없는 주체란 있을 수 없다는 것을 동시에 언급하면서 진정한 분석이란 상징계를 겨냥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4) 베르트랑 오질비. 『라캉 주체 개념의 형성』, 김 석 역(서울: 동문선 현대신서, 2003. 11), 162.
5) 베르트랑 오질비. 『라캉 주체 개념의 형성』, 김 석 역(서울: 동문선 현대신서, 2003. 11), 165.
6) 베르트랑 오질비. 『라캉 주체 개념의 형성』, 김 석 역(서울: 동문선 현대신서, 2003. 11), 162-66.
7) 권택영. 『자크라깡의 욕망이론』(서울: 문예출판사, 2000.5.), 11.
8) 김형효. 『구조주의의 사유체계와 사상』(서울: 인간사랑, 1996. 7), 228.
9) 데이비드 메시, 『라캉의 이론의 신화와 진실』허 경엮(서울: 민음사, 2001. 12.), 319.
10) 김 석, 『에크리: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서울:살림출판사, 2007. 11). 94-95.
11) 위의 책, 97쪽
12) 다리안 리더. 『라깡(Lacan)』, 이수명 역(서울:김영사, 2002. 7.), 24.
13) 다리안 리더. 『라깡(Lacan)』, 이수명 역(서울:김영사, 2002. 7.), 46.
14) 김 석, 『에크리: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서울:살림출판사, 2007. 11). 148-149.
15) 김 석, 『에크리: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서울:살림출판사, 2007. 11). 151-152.
16) 김 석, 『에크리: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서울:살림출판사, 2007. 11), 152.
17) 시니피앙(signifiant)을 보통 ‘능기’ 혹은 ‘기표’ ‘기호 표현’라는 말로 번역하지만, 라캉과 관련해서는 시니피앙이라는 원어를 사용하는 게 더 좋다고 본다. 라캉은 시니피앙을 고정적인 의미화에 매이지 않는 순수 물질적 질료라고 정의한다. 시니피앙과 짝을 이루는 시니피에(signifie)는 ‘기의’,‘기호의미’로 기호에 대한 대응적인 지시적인 의미를 말한다(김 석, 2007, 288). 시니피앙은 다양한 의미적 상징성을 포함하고 있는 기호로서 임의성에 의해서 고정적이고 지시적이고 약속되어진 의미의 이름이 붙여지기 이전의 선험적이고 본질적인 물자체적 존재이다. 이름이 붙여지지 않은, 어떤 의미로 의식화 되지 않는 무의식의 세계이기도 한다.
18) 권택영 엮음. 『자크라깡의 욕망이론』(문예출판사: 2000.5.), 19.
라깡의 욕망의 공식은 S ◇ a이다. S는 주체이고, a(오브제 아, 프티 아)는 주체로 하여금 욕망을 끊임없이 불러일으키는 허구적 대상이다. 마름모 꼴 ◇은 대상이 결코 주체의 욕망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점에서 결핍이다. 주체의 욕망을 충족시킬 것처럼 보이는 대상, 즉 대체가 가능하리라고 믿는 단계, 이것이 압축이요, 은유이다. 그러나 충족되지 못하고 다시 또 그 다음 대상으로 자리를 바꾸는 전치, 이것이 환유이다. 그러므로 욕망 역시 언어처럼, 무의식처럼, 은유와 환유로 구조되어 있다. 욕망은 환유이기 때문에 대상은 신기루처럼 잡는 순간 저만큼 물러난다. 대상은 욕망을 완전히 충족시킬 수 없기에 인간은 대상을 향해 가고 또 간다. 죽음만이 욕망을 충족시키는 유일한 대상이다. 욕망은 기표이다. 그것은 완벽한 기의를 가지지 못하고 끝없이 의미를 지연시키는 텅빈 연쇄고리이다. 주체는 대상에게 욕망을 느낀다. 그것이 자신이 결핍을 완전히 채워줄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그것만 얻으면 아무것도 욕망하지 않으리라 믿는다. 그러나 그 대상을 얻어도 여전히 남는다. 아무것도 욕망하지 않는 것은 곧 죽음이다. 그렇다면 대상은 실재처럼 보였지만 허구가 아닌가. 대상을 실재라고 믿고 다가서는 과정이 상상계요, 그 대상을 얻는 순간이 상징계요, 여전히 욕망이 남이 그 다음 대상을 찾아 나서는 실재계이다. 그리고 이때 실재라고 믿었던 대상이 대타자이고 허구화된 대상이 소타자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8.02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2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