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과 결혼 호주제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개요

I. 가부장제

III. 호주제
1. 호주제도의 유래
2. 호주제도의 문제점

IV. 결혼
1. 결혼의 구조와 형태: 결혼연령과 가족주기
2. 연애와 결혼의 동기
3. 부부관계
4. 여성을 속박하는 문제들

본문내용

레오나드는(Leonard, 안병철, 1993에서 재인용) 결혼은 실제로는 남성이 여성을 보호해주고 살게 해주는 대신에 여성이 남성에게 평생 노동을 맹세하고 성적 서비스를 제공하며 자식을 낳아주는 노동 관계라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낭만적 사랑이라는 사고가 이러한 실재를 감추어서 이를 눈치채지 못한 여성들을 결혼으로 끌어들인다는 것이다.
미드(Mead, 안병철, 1993에서 재인용)는 모성 결핍론을 남성이 모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체하면서 여성을 자녀에게 더 강하게 옭아매려고 하는 새로운 교묘한 형태의 반여권론으로 본다. 이와 비슷하게 미첼(Mitchell, 안병철, 1993에서 재인용)은 모성이 신화로 사용될 때는 '억압의 수단이 된다'고 주장한다. 즉, 어머니 역할을 벗어나거나 이와 갈등을 야기할 수 있는 여성의 생활, 욕구, 활동 및 관계를 부정한다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이러한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가족 이데올로기는 그 속에 낭만적 사랑이라든지, 여성은 양육자이고, 남성은 가계부양자라는 관념을 내포하고 있고, 그리고 이러한 관념을 계속하여 유지하며, 따라서 여성과 남성은 특정한 젠더 정체감에 구속된다고 본다.
위와 유사하게 우리 사회는 여성을 주부 역할과 동일시함으로써 남성으로 하여금 여성의 노동과 물질적인 환경을 통제하게 한다. 여성에게 주부 역할이 다른 역할들보다 더 중요하다는 가정으로 인해 여성이 가정 밖에서 유급 노동에 참여하는 데 제한을 받고, 따라서 자아실현이나 자아충족의 기회가 박탈되며, 결과적으로 남성들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게 되고, 공적 자원의 배분에서 자신들의 주장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남성은 공적 세계에 접근하는 특권과 이를 통제하는 특권을 가지고 여성을 통제한다. 또한, 가족 사회학자 제시 버나드의 말처럼 "주부가 된다는 것은 그 자체가 여성을 병들게 하는" 것이기 때문인지, 이러한 '본분'을 실천하고 있는 많은 여성들이 자신의 '본분'에 대해 결코 행복해 하지 않는 것을 보면 결코 본분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우리는 가족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어두운 면만을 보아서도 안되고 약점을 보지 못해서도 안된다. 가족은 성공적이라면 '가장 보상적이고 풍성하게' 해줄 수 있지만 만약 실패한다면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하기 때문에 '가장 비참하고 참을 수 없는 인간 경험'이 될 수 있다(Fletcher, 안병철, 1993에서 재인용). 가족은 애정적 관계의 장소로서 긍정적인 정서가 있는 장소인 동시에 또한 파괴적인 정서가 있는 장소이다. 특히, 가부장적인 가족은 커다란 불행의 근원이다. 가정불화의 대부분은 가부장제에 의해 생긴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여성에게 보다 더 큰 불행을 가져오지만 남자들 역시 결코 행복하지 못하다. 즉, 가족은 안식처이자 감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족 생활에 포함되어 있는, 사람에 따라 달리 경험될 수 있는 양면성에 주목하여 가족생활에서는 사랑과 이타심뿐만 아니라 모든 범위의 인간 감정이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관련 비디오를 시청하고 토론한다:
일요스페셜 "가족의 미래 어디로 가는가?" 1999년
일본인 부인의 자기성 쓰기, 평등하게 살기 원하는 한국부부의 부모성 함께 쓰기, 스웨 덴의 남여평등한 자녀양육 및 부부관계 등 평등한 부부를 지향하는 여러 노력들을 보여 준다.
고은광순 (2000) 의료인이 본 남아선호관의 실태와 정부에 대한 문제제기.
(http://antihoju.jinbo.net/databank/광순2.htm)
곽배희 (1994) 상담소 창구를 통해 본 가정문제진단. 한국가정법률상담소.
김상용 (2000) "다시 호주제 폐지를 말한다" 호주제도, 무엇이 문제인가. 호주제도 관련토 론회 자료집. pp. 24-77. 법무부.
김재엽 (1998) 한국가정폭력 실태와 사회계층 변인과의 관계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5호.
pp. 133-156. 한국사회복지학회.
김태현 (1995) 한국가족의 현황. 한국가족의 현재와 미래 pp3-20 서울: 도서출판 하우.
박소현 (2000) 양성평등과 호주에 - 피해 사례를 중심으로.(http://antihoju.jinbo.net/)
서진영 (2000) 여자는 왜. 서울: 동녘.
안병철 (1999) 한국의 중산층 위기와 가족해체 : 그 원인과 대책 모색 중 4. 주제발표 (1) : 이혼의 새로운 추세와 가족해체.
양정자 (1999) "호주제폐지를 촉구한다" (여성신문 99.3.26)
여성을 위한 모임 (2000) 일곱가지 여성 콤플렉스. 서울: 현암사.
이미경 (1999) 신자유주의적 '반격' 하에서 핵가족과 '가족의 위기': 페미니즘적 비판의 쟁점 들. 서울: 공감.
이혼시대 (1995, 1월 9일자). 한국일보, p. A21.
이화숙 "호주제도가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 (http://antihoju.jinbo.net/)
이효재 (1990) 한국가부장제의 확립과 변형, 한국가족론 pp. 1-34. 서울: 까치.
장영아 (2000) 호적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http://antihoju.jinbo.net/)
장현섭 (1995) 이혼경향에 대한 또하나의 해석을 위하여. 한국가족학회 (편) 한국가족문제 진단과 전망 (pp. 25-93). 서울: 도서출판 하우.
한경혜 (1997) 인구변동과 가족생활. 한국인구학회 (편) 인구변화와 삶의 질 서울: 일신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0) 한국가족의 기능과 역할 변화.
한국여성연구소 (1996) 새 여성학 강의. 서울: 동녘.
한남제 (1997) 한국가족제도의 변화. 서울: 일지사.
Hochschild, A. R. (1986) The second shift: Working parents and the revolution at home. New York: Viking Press.
Yang, H. (1998) Envisioning feminist jurisprudence in Korean family law at the crossroads of tradition/modern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1.08.07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3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