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화 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상화 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시인 이상화

Ⅱ.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 대한 해석
1. 상실된 조국에 대한 자기 자조와 통한의 마음
2. 조국 상실의 울분과 회복에의 염원

Ⅲ. ‘나의 침실로’에 대한 해석
1. 조국이 처한 시대적 배경과 관련하여
2. 남녀간의 애정을 소재로 한 아름답고 영원한 안식처 갈구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다.
1연부터 마지막 12연까지 시적 화자는 연속적으로 ‘마돈나’를 부름으로써 급박한 상황을 부여하고 있다. 시적 화자는 ‘구석지고도 어두운 마음의 거리에서’ 밝음이 오기 전에 ‘마돈나’가 오기를 간절히 애원하고 호소한다. 이미지 형성면에서 보면, 연가풍의 서정시에서 볼 수 있는 애인의 모습에 대한 것은 거의 없고 대부분이 긴박한 시간에 대한 것들이다. 이러한 것들은 시적 자아의 긴박한 심리를 드러내 주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해 주는 것은 묘사의 주체가 마돈나가 아니라 ‘나’라는 것이다. 피곤하고 두려워 떨며 기다리며 얄푸른 연기로 꺼져가고 마음과 목이 탄다는 심리 묘사가 그것이다. 단지 마돈나가 형상화 된 것은 ‘수밀도의 가슴’이라는 관능적인 묘사 한 군데 뿐이다. 유시욱, 『한국현대시연구』, 이화문화출판사, 1995, pp.24-25.
6연까지의 전반부에서 강하게 나타나던 관능적 어조는 후반부에 이르러 어느정도 완화될 뿐 아니라 ‘침실’의 상징 의미도 ‘부활의 동굴’로 가시화되어 관능적 쾌락의 측면도 희석된다. 번민과 고뇌로 가득찬 것이 낮의 세계라면 그러한 것들을 감싸주는 것은 밤의 세계이다. 그러므로 11연의 ‘밤이 주는 꿈’, ‘우리가 얽는 꿈’, ‘사람이 아나고 궁구는 목숨의 꿈’이 동일하다고 하는 것이다. 시적 화자에게 중요한 것은 지상을 벗어난 환상의 세계, 바로 꿈의 세계이다.
그렇다면 그들이 그토록 가고 싶어하는 ‘침실’의 상징 의미는 무엇일까? 침실의 의미는 밀실, 현실의 도피처, 안식처, 조국의 광복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될 수도 있지만, 뉘우침과 두려움의 결단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꿈과 부활의 동굴로서의 의미를 갖게 된다. 그리고 작품 전편에서 침실은 ‘지난 밤이 새도록 내 손수 닦아 둔’ 침실로, 다시 ‘뉘우침과 두려움의 외나무다리 건너 있는’ 침실과 ‘어린애 가슴처럼 세월 모르는 아름답고 오랜 나라’로 다양하게 변주(變奏)되면서 정신적 안식과 활력을 주는 재생의 장소로 구체화되는 것이다.
또한 ‘마돈나’는 기독교의 성모 마리아일 수도 있고, 시적 화자가 사랑하는 어느 젊은 여인의 애칭일수도 있으나, 이들의 공통된 상징 의미는 ‘구원의 여성’으로 표상된 점이라 할 수 있다.
위의 여러 가지 점들로 미루어 보아 이상화의 <나의 침실로>는 남녀간의 애정을 소재로 하여 관능적, 감상적, 낭만적 표현방법에 의해 아름답고 영원한 꿈과 같은 안식처를 갈구하는 내용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김재용, 이상경, 오성호, 하정일 지음, 『한국 근대 민족문학사』, 한길사, 2000.
김흥규, 『한국 현대시를 찾아서』, 한샘, 1995.
송하선, 『한국 명시 해설』, 국학자료원, 1998.
유시욱, 『1920년대 한국 시 연구』, 이화문화출판사, 1995.
______, 『한국현대시연구』, 이화문화출판사, 1995.
이기철, 『근대 인물한국사 508 이상화』, 동아일보사, 1992.
한계전, 『韓國 現代詩 解說』, 관동출판사, 199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사전 17』, 1991.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8.22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61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