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문화][북한음악][북한문화 문예정책][북한음악 성격][북한음악 음악정치]북한문화의 특성, 북한문화의 목표, 북한문화의 문예정책, 북한음악의 성격, 북한음악의 특징, 북한음악의 원칙, 북한음악의 음악정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문화][북한음악][북한문화 문예정책][북한음악 성격][북한음악 음악정치]북한문화의 특성, 북한문화의 목표, 북한문화의 문예정책, 북한음악의 성격, 북한음악의 특징, 북한음악의 원칙, 북한음악의 음악정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북한문화의 특성

Ⅲ. 북한문화의 목표

Ⅳ. 북한문화의 문예정책
1. 문화예술의 원칙이자 목표 당성, 노동계급성, 인민성
2. 문학예술의 기능적 측면 강조

Ⅴ. 북한음악의 성격

Ⅵ. 북한음악의 특징

Ⅶ. 북한음악의 원칙

Ⅷ. 북한음악의 음악정치
1. ‘조선은 노래가 많은 나라’라는 점이다
2. ‘노래로 난관을 극복해 나가는 나라’라는 점이다
3. `노래를 사상이나 총대처럼 중시`한다는 점이다
4. ‘김정일총비서의 령도예술’이라는 점이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은 음악예술작품창작에서 견지하여야 할 중요한 원칙의 하나이다. 우리는 음악예술을 우리 식으로 주체성 있게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우리 인민의 민족적 감정에 맞지 않는 노래는 우리 식의 노래가 아니며 그런 노래는 우리 인민이 좋아 하지 않는다. 누구나 자기의 감정에 맞지 않는 노래는 좋아 하지 않으며 부르지 않는다. 인민들이 즐겨 부르지 않는 노래는 인민적인 노래라고 할 수 없다. 우리 인민은 선률이 맑고 유순하며 밝고 선명하고 부드럽고 은근한 노래를 좋아 한다. 우리는 노래를 하나 지어도 우리 인민의 민족적감정에 맞게 지어 누구나 즐겨 부르도록 하여야 한다.
민족적 정서를 살리되 현재는 과거와는 다른 주체시대에 살고 있기에 현재 인민들의 감성에도 맞아야 한다. 이것이 곧 주체음악이다. 북한 음악계에서 진행된 민족악기개량 사업과 배합관현악 편성, 민요의 발굴과 현대화, 주체창법의 계발, 우리식 전자음악단의 창단 등이 이러한 원칙에 따라 이루어진 구체적인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북한에서 작가, 예술인들에게 ‘조선민족 제일주의’ 정신을 주제로 한 가요를 더 많이 창작할 것을 촉구하고 나선 것도 당원과 근로자들의 \'민족적 자존심\'을 고취시키는데 가요가 중요한 몫을 담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김정일 노동당 총비서의 ‘음악정치의 생활력’을 높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음악은 민족성이 가장 강한 장르. 예술의 보편성을 반박하는 논리로 등장한다. 이에 따라서 전통민요의 현대화와 신민요 재해석을 통하여 일제시대 1920~30년대 불러진 가요도 비판적 관점에서 긍정적 관점으로 평가되었다.
2. ‘노래로 난관을 극복해 나가는 나라’라는 점이다
‘난관’이란 곧 북한이 처한 대내외적인 어려움을 의미한다. 김정일의 예술영도는 해당시기의 정치사회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는 현시대 북한이 처한 난관이 무엇인가를 규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3. \'노래를 사상이나 총대처럼 중시\'한다는 점이다
노래를 사상과 총대와 등가화하고 있다. 이는 노래, 음악의 사상성을 의미한다. 북한 음악의 내용은 북한 정권 수립초기부터 결정되었던 문제이다. 북한 음악의 방향과 음악인들의 역할에 대해 김일성은 1966년 4월 30일에 작곡가들과의 대담인 <혁명적이며, 통속적인 노래를 많이 창작할 데 대하여>를 통해 혁명가요의 창작 지침을 내린다. 이 교시의 내용은 혁명적으로 교양하여 적군을 와해시키는 사업에서 음악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대중의 사상과 정서에 맞는 음악작품을 많이 창작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4. ‘김정일총비서의 령도예술’이라는 점이다
이는 후계자이면서 새로운 지도자로서 김정일의 위상을 강화한 것으로서 김정일의 예술영도에 초점을 둔 것이다.
김정일 체제의 공식적인 등장이다. 김정일이 후계자로서 위상이 강화되기 시작한 것은 이미 196,70년대였다. 1981년 후계자 호칭이 사용되었으며, 1986년 5월 공식화되었고, 1991년에 조선인민군최고사령에 올랐으며, 1992년 4월 군 ‘원수\'칭호, 1993년 4월 국방위원회 위원장에 임용되면서 김일성 주석과 함께 실질적인 최고통치자의 한 사람으로 군림하여 왔다. 그러나 김일성 주석의 사망이후 3년여의 공백기를 거치면서 1998년 9월 헌법개정을 통하여 주석직을 폐지하고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추대 되면서 명실상부한 최고 지도자로서 등장하였다.
참고문헌
고대평화연구소, 북한교육의 조명, 서울 : 법문사, 1990
김형찬 편, 북한의 교육, 서울 : 을유문화사, 1990
문화체육부, 한식 문화예술 창작 방법론 연구, 1998
서연호·이강렬, 북한의 공연예술 Ⅱ, 고려원, 1990
오기성, 남북한문화통합론, 서울 : 교육과학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8.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71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