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교육][인형극][정서교육의 프로그램][정서교육의 방법][정서교육의 방향]정서교육의 목표, 정서교육의 범위, 정서교육과 인형극, 정서교육의 프로그램, 정서교육의 방법, 정서교육의 방향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서교육][인형극][정서교육의 프로그램][정서교육의 방법][정서교육의 방향]정서교육의 목표, 정서교육의 범위, 정서교육과 인형극, 정서교육의 프로그램, 정서교육의 방법, 정서교육의 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정서교육의 목표

Ⅲ. 정서교육의 범위

Ⅳ. 정서교육과 인형극

Ⅴ. 정서교육의 프로그램
1. The celebration of learning program
2. Nell Noddings의 도덕성 교육
3. Affective self-esteem(정의적 자존감) : Lesson plans for affective education(정서 교육을 위한 수업 계획)
4. Faith, family, and freinds(신념, 가족과 친구들) : Catholic Elementary School Guidance Program(카톨릭의 초등학교 가이던스 프로그램)
5. Conflict Resolutino in Middle school(중학교에서의 갈등 해결): A curriculum and Teaching Guide(교과 과정과 교수 안내)
6. Decision skill Curriculum(결정 기술 교과과정)

Ⅵ. 정서교육의 방법

Ⅶ. 정서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적인 차원에서 가르치는 것이다. 즉 기존의 교과목을 가르치면서 그 교과목의 내용이 개인의 삶을 이해와 자아의 실현에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교육하는 방식과 우리의 내면 세계를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련된 심리학적 지식을 하나의 교과목으로 정하여 가르치는 것이다(Mosher와 Spinthall, 1970).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교사들이 자료에 내재한 정의적 교육의 가능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숙달해야 할 뿐 아니라, 가르치는 내용을 학생들의 삶의 세계로 통합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경험적인 방법은 학생들이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서 개인적인 성장과 발달, 그리고 다른 이와의 관계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으로 상담의 방법이 이에 활용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교육이 지식, 기능, 기술, 등의 직접적인 전수에 초점을 두었다고 한다면, 인간의 마음의 세계를 심층적으로 조명함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을 확장시켜 나가는데 중점을 두어온 상담은 인간 정서의 세계를 이미 오래 전부터 다루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상담에서도 지식, 기능 기술, 태도 등 전통적인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내용을 비중 있게 다루기는 하나, 그것에 머물지 않고 내면과정의 의식, 잠재의식, 그리고 무의식의 내용을 탐색하여, 그 속에 있는 감정, 동기, 심상, 생각, 신념, 전제 등에 구체적인 행동과 삶의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분석하여 내담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박성수, 1995; Rogers, 1959).
Ⅶ. 정서교육의 방향
아리스토텔레스 이후의 철학자들이 주장해 온 도덕적 삶은 모두 자기 관리에 근거한다. 그에 관련된 성품의 요체도 공부를 하는 것이든, 일을 끝마치는 것이든,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이든, 결국에는 자기 자신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자신을 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덕적 상황 속에서 정서에 의해 압도당하는 경험을 지니는 경향이 있는 사람들은 그러한 정서들을 자신의 통제 하에 둠으로써 도덕적 반응이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받아야 한다.
인간의 정서는 질투, 분노, 탐욕, 자기 연민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자신은 물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이러한 정서를 인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는 그러한 비도덕적 정서들을 통제하고, 그 경로를 바꾸는 방법들을 학습해야만 한다. 그러나 비도덕적 정서들의 경로를 바꾸고, 그것들을 통제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우리가 그러한 정서들을 지니고 있는 한, 우리는 비도덕적인 정서들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비도덕적 정서의 통제는 궁극적으로 도덕적 동기화의 발달과 관련되어져야만 하는 것이다.
정서를 통제하는 데는 자제, 인내, 용기와 같은 의지력의 덕들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자제(self-control)는 노여움, 분노, 악의에 찬 기쁨, 경멸, 미움과 시기의 정복일 수 있다. 인내는 노여움, 분노, 지루함을 정복하는데 관련되어 있고, 용기와 관련되어 있는 정서는 두려움과 불안이다. 예를 들어 내가 누군가를 두려워한다면, 두려움을 다루는 한 가지 방법은 똑바로 서고, 그를 뚫어지게 응시하며, 단호한 목소리로 말하는 것이다. 두려움이 전적으로 사라질 수는 없겠지만 덜해질 수는 있을 것이다. 로버츠(R. C. Roberts)는 또한 정서를 통제하는 방법으로 능숙한 자기대화(skillful self-talk)를 들고 있다. ‘마음을 가라앉히고 참아야지, 곧 끝나게 될 거야.’처럼, 이러한 자기대화는 조바심 나는 상황에 닥쳤을 때 자기자신에게 말을 거는 것이다. 노여움을 누그러뜨리거나 심지어 일소하도록 할 수 있다. 도날드슨(M. Donaldson)도 어떤 종류의 명령을 우리자신에게 하기 위하여 속으로 하는 말(inner speech)-혹은 가끔씩 밖으로 나타내는 말-을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한다. 이것은 언어를 통해 정서를 통제하는 것이다.
정서의 통제와 관련하여 실제적인 사례로 골만(D. Goleman)의 교육과정을 들 수 있다. 그 프로그램에는 학교생활 초기부터 학생들이 그들의 충동을 억제하는 것을 배우는 것과 그들의 감정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그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교육내용 중의 하나는 노여움을 관리하는 것이다. 노여움에 대해 아이들이 배우는 기본적인 전제는 ‘모든 감정들을 갖는 것이 괜찮은 일이지만’, 어떤 반응들은 괜찮고 다른 반응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자제를 가르치는 도구 중의 하나로서 정지 신호등(stoplight) 훈련이 있다.
충동 통제에 관해서는 6단계의 ‘정지 신호등’ 포스터를 눈에 잘 띄는 곳에 게시하는 방법을 쓴다.
붉은 신호등 :
① 정지하라, 진정하라, 그리고 행동하기 전에 생각하라.
노란 신호등 :
② 문제점과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말하라.
③ 긍정적인 목표를 설정하라.
④ 여러 가지 해결책을 생각해 보라.
⑤ 결과에 대해 미리 생각해 보라.
초록 신호등 :
⑥ 계속 노력하여 최선책을 실천하라.
이상의 정지 신호등 개념은 아이들이 분노를 터뜨리려고 하거나, 사소한 모욕에 발끈하거나, 괴롭힘으로 눈물을 흘릴 때마다 규칙적으로 상기되어서 힘든 순간을 신중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단이 되어 준다.
현 도덕 문제의 대부분이 자신의 격렬한 감정을 통제하지 못해서 일어난다. 하지만 우리의 학교교육에서 정서의 통제와 관련된 교육을 행하고 있는 것 같지 않다. 정서의 통제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우리의 학교교육에도 도입될 필요성이 있다.
참고문헌
김경희(1995), 정서란 무엇인가?, 서울 : 민음사
김미자(1993), 정서교육을 위한 Physical Activity의 필요성, 학생지도 연구, 22서울교육대학교 학생연구소
문용린(1996), 정서지능의 의미와 중요성, 유아교육 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 사단법인 한국어린이육영회
박성옥(1999), 정서지능(EQ)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이재봉(1995), 도덕적 정서 교육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제12호,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이창희(2000), 정서를 알면 삶이 보인다, 파암서각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8.2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80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