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음악 표현상 분류][음악 구성요소][인간][문학][국가보안법][음악의 영향]음악의 의의, 음악의 성격, 음악의 표현상 분류, 음악의 구성요소, 음악과 인간, 음악과 문학, 음악과 국가보안법, 음악의 영향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악][음악 표현상 분류][음악 구성요소][인간][문학][국가보안법][음악의 영향]음악의 의의, 음악의 성격, 음악의 표현상 분류, 음악의 구성요소, 음악과 인간, 음악과 문학, 음악과 국가보안법, 음악의 영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음악의 의의

Ⅲ. 음악의 성격

Ⅳ. 음악의 표현상 분류
1. 종교음악(Religious Music)
1) 정의
2) 성립과정 및 내용
2. 절대음악(Absolute Music)과 표제음악(Program Music)
1) 절대음악
2) 표제음악
3. 화성음악(Homophony)과 다성음악(Polyphony)
1) 정의
2) 내용

Ⅴ. 음악의 구성요소

Ⅵ. 음악과 인간

Ⅶ. 음악과 문학

Ⅷ. 음악과 국가보안법
1. 천리마(경기남부총련 노래패)의 ‘청춘송가’
2. KBS 방송에서 ‘적기가’의 사용

Ⅸ. 음악의 영향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널리 불리게 됐다는 해석이다. 지난 97년 \'항일혁명가에 침투한 일본노래\'라는 논문을 발표했던 민경찬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교수는 이미 적기가는 일본이 1921년 민중혁명가로 만든 번안곡 \'아까하타노 우타(赤旗の歌)\'의 선율과 가사를 그대로 차용한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이렇게 ‘적기가’가 완전한 북한의 노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단지 북한에서 혁명가로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국보법을 적용해 처벌하는 것은 강경한 처사이다. 이는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팝송이 북한에서 즐겨 부른다고 해서 우리나라에서 금지하는 것과 같은 처사라 보여 진다. 사실, 흔히 우리 국민이 노래방에서는 물론이고 길거리에서조차 흥얼거리고 다니는 ‘휘파람’ 또한 명실상부한 북한의 가요임에 틀림없다. 이렇게 같은 사안에 대해 다르게 적용하는 국보법이 끼워 맞추기는 여기에서도 보여 지고 있다.
Ⅸ. 음악의 영향
아리스토텔레스는 음악은 영혼의 정열과 감정상태인 부드러움, 노여움, 용기, 절제 또는 이런 감정의 반대상태나 기타 감정들을 모방하여 표현해 주고 있다고 했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특정 감정을 묘사해 주는 음악에 노출되면 그와 같은 감정에 빠져 들게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고상하지 못한 성격 형서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소위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저서 [시학론] 제 8권에서 주장하고 있는 ‘모방론’이다.
이와 같은 말을 플라토도 그의 저서 [공화론]에서 하고 있다.
또한 음악이 인간 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언급은 로마를 대표하는 음악철학자며 정치가였던 보에티우스의 저서에서도 나타난다.
그는 “음악이란 우리 인간 본성의 일부이다. 음악은 우리 인격을 향상 또는 저하시키는 힘을 소유하고 있다.” 라고 쓰고 있다.
이것은 형이상학적인 무형의 이성 기능과 유형의 실존을 합일시켜주고 인간 영혼의 의식적, 이성적인 부분을 영혼의 직각적인 통찰과 동물적인 감정과의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주며, 우리 몸의 각 지체의 조화와 지체의 원활하고 잘 정비된 동시성을 갖도록 하는 원리인 것이다.
그렇다면 음악은 다른 예술과 달리 인간에 대해 미치는 다른 특징이 있는가?
음악은 다른 예술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주의를 전적으로 집중하도록 되어 있다. 음악의 충전된 감정이 야심찬 악보 속에 담겨져 있기 때문에 수많은 음묘 사이에서 길을 잃지 않으려면 필요한 곳에서 순간적으로 정신 집중을 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추어야한다. 음악은 지성적인 능력을 가진 사람의 깨어 있는 마음을 요구하고 있기는 하지만 지성적인 행동과는 거리가 멀다. 게임을 위한 게임으로서의 음악의 지적 활동은 극소수의 전문가들만이 매력을 느낄지 모르지만 음악의 리듬적 율동, 선율적인 흐름, 화성적 긴장, 음악의 표현적인 음색이 사람들의 잠재의식 깊은 곳까지 뚫고 들어가지 못하면 음악은 음악의 참된 의미를, 본질적인 중요성을 잃게 된다. 음악은 이러한 지성과 감성의 순간적 결합으로 음악적 지성 활동을 어떤 감정적 목적을 향해 추진시켜 나가는 그러한 융합이 음악예술로 하여금 다른 예술 분야와 구별된다.
이처럼 음악은 다른 예술 분야와는 다른 특징을 지니며 우리 인간에게 무의식적으로 영향력을 미쳐왔다. 그러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에 대해서는 어떠한가?
음악의 사회학적인 연구는 최근의 일이지만 음악의 사회적, 교육적 영향이 국가와 국민에 미치는 그 정도가 지대하다. 한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은 과히 그 시대의 정신이나 감정을 대표한다고도 할 수 있다. 고대 시대에 제사 의식에 쓰이던 음악이 아닌 다른 리듬과 운율로 짜여진 음악이 그들에게 들려지면 아마 그들은 무척이나 당황하고 두려움을 가질 것이다.
그리고 그 시대에 정형화된 리듬이나 운율, 가사에 대비되는 음악에 나올 경우에는 철저히 배척하거나 저질 음악으로 치부해버린다.
이처럼 음악이 가지고 있는 힘은 과소 평가 되지 못한다.
Ⅹ. 결론
음악이라는 말은 「뮤직(music)」과 대응하는 말인데 뮤직은 원래 그리스어·라틴어에서 유래하였다. 그리스어 무시케(musik)는 무사(musa)들이 관장하는 기예(技藝)라는 뜻이다. 무사(복수로는 무사이)는 그리스신화의 주신(主神) 제우스가 기억의 여신 므네모시네에게 낳게 한 9명의 여신(女神)으로, 시신(詩神), 또는 시의 여신으로 번역되며, 각기 서사시·서정시·비극·희극·무용·역사·천문 등을 맡아보았다. 따라서 그리스에서의 무시케는 아주 넓은 의미를 지녔고, 특히 예술분야 뿐만 아니라 역사나 천문까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무시케가 시간이나 운동과 깊은 관계를 지닌 인간활동의 총체를 나타내기 때문이며, 역사나 천문도 그와 같은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라틴어의 무시카(musica)도 독특한 의미를 가진 말이다. 소리와 울림에 관한 이론 및 실천의 양면을 포함하는 이 무시케는 기초학과로서의 자유7과 가운데 수(數)에 관계되는 4과의 하나가 되어 있었다.
뮤직(music)이라는 의미로서의 음악이 소리를 소재로 하는 예술활동으로서 파악되기에 이른 것은 근세 이후의 일이다.
동양에서도 처음부터 음악이라는 말이 쓰인 것은 아니다. 중국 및 한국에서는 옛날부터 「악(樂)」이라는 말이 일반적으로 쓰여왔다는데 이 말은 원래 악기와 이를 거는 걸게(架)를 나타내는 상형문자(象形文字)였다. 그리고 중국의 고대나 한국에서의 「악(樂)」은 고대 그리스의 무시케와 같이 도덕이나 윤리와 밀접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여겼으며 이를 예악(禮樂)이라고 하였다.
한국에서는 개항 이후 1880년대에 선교사들이 들여온 서양음악을 아악(雅樂) 등 재래의 음악과 구분해서 양악(洋樂)이라 불렀는데 「음악(音樂)」이라는 용어가 일반인에게 오늘날과 같은 상식적인 의미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10년 전후의 일이다.
참고문헌
류덕희(1985) : 음악교육학개론, 학문사
백대웅(1988) : 인간과 음악, 서울 : 이론과 실천
이강숙(1985) : 음악의 이해, 서울 : 민음사
이성천 외(1994) : 한국의 음악교육을 진단한다, 서울 : 풍남
이홍수(1991) : 음악 교육의 현대적 접근, 서울 : 세광 출판사
한명희(1998) : 우리가락 우리문화, 조선일보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8.3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8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