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업][어업권][자율관리어업][연근해어업][원양어업]어업의 정의, 어업의 현황, 어업의 자유, 어업권, 자율관리어업, 연근해어업, 원양어업 분석(어업, 어업권, 자율관리어업, 연근해어업, 원양어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업][어업권][자율관리어업][연근해어업][원양어업]어업의 정의, 어업의 현황, 어업의 자유, 어업권, 자율관리어업, 연근해어업, 원양어업 분석(어업, 어업권, 자율관리어업, 연근해어업, 원양어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어업의 정의

Ⅲ. 어업의 현황

Ⅳ. 어업의 자유

Ⅴ. 어업권

Ⅵ. 자율관리어업

Ⅶ. 연근해어업
1. 대형선망어업
2. 대형기선저인망어업
3. 중형기선저인망어업
4. 근해채낚기어업
5. 근해안강망어업
6. 기선선인망(권현망)어업
7. 자망어업
8. 근해트롤어업
9. 통발어업
10. 연승어업

Ⅷ. 원양어업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이후 대상자원의 감소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그간 어선감척으로 인해 최근의 단위생산성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동해구트롤어업은 처음에는 새우트롤어업으로 번성하여 왔으나 이후 대상자원의 지속적인 감소로 경영에 애로를 겪어오다 최근 오징어를 대상으로 조업하는 어선이 늘어 생산량이 안정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생산량은 144천 톤으로 전년(142천 톤)보다 1.3%가 증가되었다.
9. 통발어업
통발어업은 동해, 서해, 남해 및 동중국해 등 우리나라 주변수역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는 어업으로 소형의 연안어선부터 대형의 근해어선까지 어선규모도 다양하다.
이 어업은 어획대상에 따라 장어통발, 기타통발(어류게류고둥류), 문어단지 등으로 구분된다.
장어통발어업은 경남 통영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으나 1990년대 들어 자원감소 및 어장축소로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최근 들어 점차 회복되는 기미를 보이고 있고, 기타통발 중 대형어선은 중국 양자강 하류의 동중국해에서 꽃게를 대상으로 조업을 하여 왔으나 한일 및 한중어업협정으로 인해 우리 EEZ로 이동 조업을 하게 되어 자망, 저인망, 연안어업 등 기존어업과 경쟁조업이 불가피한 실정에 놓여 있다.
그러나 장어통발의 붕장어 어획의 대폭 증가와 기타통발어업에서의 붉은 대게 어획의 호조에 힘입어, 꽃게골뱅이의 어획 부진에도 불구하고 생산량은 54천 톤으로 전년(51천 톤)보다 5.9%가 증가되었다.
10. 연승어업
연승어업도 동해, 서해, 남해 및 동중국해 등 우리나라 주변수역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는 어업으로 소형의 연안어선에서 대형의 근해어선까지 어선규모도 다양하다. 주 어획대상으로 갈치옥돔어귀복어가자미장어볼락류 등이며, 일반적으로 망어구에 의한 조업이 불가한 암초지역에서 조업이 간단히 이루어져 기업형보다는 선주 겸 선장 형태의 소규모 형태로 조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연승어업은 낚시를 이용한 선택적 어법으로 어획기복이 심하지 않은 어업이나 근해연승의 경우 갈치잡어 등의 어획 부진으로 생산량은 15천 톤에 그쳐 전년(16천 톤)보다 8.6% 감소되었다.
Ⅷ. 원양어업
원양어업 - 遠洋漁業 - deep-sea fishery
연안에서 멀리 떨어진 해역에서 조업하는 어업. 동일 어종을 대상으로 특정 해역을 어장으로 하여 조업하는 것이 많고, 저인망어업에서는 가자미 대구 도미 등, 선망어업에서는 가다랑어 참다랑어 등이 주체이다. 조업기간은 1개월 이상에서 1년에 걸치는 장기간이며, 어선의 규모도 대형으로 30~50명이 조업한다. 조업해역은 북태평양 남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남극해의 넓은 해역으로 되어 있다. 1977년부터 미국을 비롯한 연안 각국의 200해리 경제수역 선포로 어획량의 삭감, 입역료 입어료의 고가지불 등으로 어장이용이 어려운 정세에 놓여 있다. 새로운 어장의 개발이나 연안 각국과의 적극적인 어업교섭의 촉진에 의한 조업어장의 확보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원양어업은 1957년 제동산업(주) 지남호(230만 톤급)의 인도양 진출(참치연승시험조업)을 시작으로 인도양, 대서양, 북태평양, 남서태평양 등으로 어장을 확대하였다. 이 시기부터 1960년대의 원양어업정책은 원양어업 개척기라고 할 수 있으며, 절대빈곤에서의 탈피라는 국가적 사명 하에 수산정책 기조도 증산위주의 정책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국민경제 정책적 사명 하에 당시의 원양어업은 식량자급과 동물성 단백질 공급 확대 및 수산물 수출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였다. 당시 정부는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960년에는 수산물수출진흥책을 수립하였으며, 1966년에는 수산진흥계획 및 수산물 수출 5개년 계획을 수립하였다.
1970년대에도 수산정책은 식량자급과 동물성 단백질 공급 확대, 수출을 위한 증산위주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원양어업 신장기라고 할 수 있는 1970년대의 원양어업은 해외로 적극적으로 진출하여 신어장 개발은 물론이며 국제어업협력증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자 하였다. 남미 수리남 근해에 새우트롤 어선 등이 진출하였으며, 북태평양 트롤어업은 명태 필렛 수출산업으로 전환하는 계기를 만들었으며, 한국원양어업의 활로를 개척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1973년, 1977년 2번의 석유파동과 200해리 경제수역 선포로 원양어업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에너지 절약형 어선개발과 어장조정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하였다.
1980년대의 원양어업은 원양어업 재편기라고 할 수 있는데, 국제조업환경의 악화 및 인건비 상승 등에 따라 원양업계는 구조조정과 적극적인 해외어업협력 강화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1981년 연근해어업진흥책과 함께 원양어업육성대책을 수립하여, 신어장 개발 확대(남빙양시험출어 및 포클랜드 어장) 및 국제수산기구 가입, 적극적인 해외협력 추진, 공해어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따라서 수산정책의 기조도 증산위주의 정책에서 탈피하여 구조조정 및 자원조성과 같은 질적 차원으로 전환되게 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 원양어업을 둘러싼 여건은 유엔해양법 협약 발효에 따른 연안국의 해양관할권 확대와 공해어업규제 강화, UR협상 타결로 수산물 수입 전면개방과 WTO 체제 구축에 따른 무역자유화로 특징지을 수 있다. 원양어업과 마찬가지로 수산정책 전반에 있어서도 1980년대까지의 생산위주의 정책에서 지속가능한 생산정책과 안정적인 공급정책을 고려한 양면정책으로의 전환을 강요받게 되었고, 또한 수산물 수입자유화 문제가 수산정책의 핵심으로 등장하게 된 시기이기도 하다.
참고문원
김계호(1998) - 어업손실 평가에 관한 현행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안, 어업 손실평가의 제문제 심포지엄 보고서,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박차수(1995) - 우리나라 근해 어업자원의 동향과 주변 수역의 자원 관리, 수산계
유동운(1996) - 어업자원과 지대소멸 이론, 수산경제연구원 연구자료
이광남·윤동한(1997) - 어업관리와 조업분쟁 조정에 관한 고찰, 수산경영론집 제28권 제1호
최종화(1998) - 새 한일어업협정의 구성과 법적 성격, 수산경영논집 제29권 2호
해양수산부(2002) - 자율관리어업 육성사업 지원추진계획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8.3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90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