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일본의 대안학교 비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서머힐 학교

2. 키노쿠니 학교

3. 각 학교들의 특징

4. 각 학교들에 대한 평가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기는커녕 학생의 개발가능성, 지적 능력을 사장시켜버렸다. 여기서 왜 학생의 능력을 사장시킨다고 주장하는가? 학생들은 자신들이 무엇을 잘하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가지를 교사가 시켜본 뒤 자기가 잘하는 것을 찾아내야 한다. 그러나 너무나 학습자 중심만 중시하다보니 그럴 기회조차 주어지지 못한다. 그것은 바로 아이들이 자기가 흥미 있는 것만 하려고 하는 성향을 가진 데에서 비롯된다. 그래서 그들은 다른 분야를 아예 다루어보지 못한다. 인간의 욕구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는 ‘배고프다’와 같은 신체적 욕구이며, 두 번째는 지적 호기심과 같은 정신적 욕구이다. 그 정신적 욕구는 때로 본인도 모르는 분야의 욕구일 수 있다. 바로 그 욕구를 교사가 찾아내어 어떤 형태로든 습득되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의 역할이 중요한 것이다.
또한 니일은 어린이들로 하여금 ‘적극적으로 일하고 적극적으로 사는 능력을 발견케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니일의 철학도 사회의 문제를 처리해 가는 데 필요한 기초적 기술의 획득 없이는 불가능하다.
(2) 키노쿠니
지식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바로 명제적 지식(Knowing that)과 실제적으로 나올 수 있는 지식(Knowing how) 즉, 실천적 지식이다. 키노쿠니의 장점은 바로 지식이 갖는 또 다른 측면인, 자기내면에 습득되어 실제적으로 나올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측면만 너무 강조하다 보니 명제적 지식의 습득에 소홀하게 되는 부정적 측면이 생겼다. 기초학습시간이 있었지만 명제적 지식을 아이들에게 넣어준다고 할 정도는 아니었다. 비록 서머힐 보다는 명제적 지식을 더 학습시키긴 하지만 말이다. 이처럼 지식의 불균형적이 발달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부정적 결과는 바로 ‘제한된 지식 습득’이다. 즉, 그들은 아는 것은 확실히 안다. 그러나 자기가 탐구하지 않은 분야에서는 전혀 모르게 된다. 이것은 바로 협소하고 제한된 지식습득을 의미한다. 교과내용은 모든 것을 해봐야지만 아는 것이 아니다. 때로는 명제적 지식의 습득이 필요할 때가 있다. 그리고 명제적 지식과 개념을 통해 얻는 것이 분명히 있다. 예를 들면 미분 적분의 개념에 대한 설명과 같은 것이다. 또한 배수와 약수가 무엇인지, 수학적으로 어떻게 사용해야 되는 것인지 과연 알 수 있을 것인가? 그것들의 의미는 대충 알긴 하지만 그 의미를 개념과 연관시킬 수는 없다. 이러한 교육은 키노쿠니의 대상인 초, 중학생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으로, 고등교육으로 갈수록 이러한 교육의 형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경험이란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수단이 될 수는 있지만 경험만으로는 모든 지식의 습득이 불가능하다.
Ⅲ. 결론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은 획일적이고 수직적인 관계를 가진다 하지만 지금 앞에서 본 두 학교인 키노쿠니학교와 서머힐 학교를 보면 이러한 획일적인 교육을 벗어난 수평적인 관계를 맺은 학교 들이다. 이렇듯 학교교육은 그 자체를 통해 삶의 즐거움과 기쁨을 찾고, 삶의 본래적 가능성을 체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의 학교교육이 시대적 · 사회적 요구와는 달리 대학진학을 위한 성적위주의 획일화된 교육으로 학교생활에 흥미를 느끼지 못한 많은 학생들은 비행청소년 및 자살 이지매, 흡연 등의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교교육에 대한 신뢰가 붕괴되고 새로운 교육의 요구가 각계각층에서 일어났으나, 학교 당국은 물론 국가수준의 교육개혁을 통해 교육제도의 변화를 시도했지만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그 결과 기존 학교에 대한 기대가 사라지고 새로운 학교로 대안학교가 대두되었다.
일반학교 교육이 담아내지 못하는 인간성 회복과 창의성 개발을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자유를 허용하고 자연의 소중함을 배우는 차원으로 전통적 방법의 정형화되어진 교육이 아니라 학생 개개인의 개성, 다양성, 창의성 등을 인정하는 새로운 형태의 학교가 대안학교이다.
일반학교 교육이 담아내지 못하는 인간성 회복과 창의성 개발을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자유를 허용하고 자연의 소중함을 배우는 차원으로 전통적 방법의 정형화되어진 교육이 아니라 학생 개개인의 개성, 다양성, 창의성 등을 인정하는 새로운 형태의 학교가 대안학교이다.
현실의 교육은 입시위주의 교육과 교육을 출세지향의 가치관으로 보는 사회적 풍토로 인성부재 교육의 현실에서 대안학교들은 독자적인 교육철학에 근거하여 인성교육의 바탕 위에서 지식교육이 가치로운 것으로 인간성 존중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열린교육, 자연친화적인 교육, 지역사회 학교로 운영하고 있어 특성화 교과의 교사로는 지역사회의 인사를 초빙하거나, 직업교육을 위한 산업체와의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교에서 개발된 농업기술을 지역주민에게 교수하고 있다. 또한 대안학교의 특징인 작은 학교는 대규모의 일반학교 교육이 담아내지 못하는 교육이념을 실천할 수 있고, 가족적 분위기에서 개개인의 개성을 존중해 개개인의 소중함을 체험할 수 있다. 명칭과 운영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전교생과 교직원이 함께 참여하는 전체회의를 통해 민주적 태도를 학습하고 이를 실천하는 기회를 갖고 있다.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역사는 짧고 순탄하지 못하지만 1990년대 이후 시대적, 사회적 요청과 학교교육의 한계점을 느낀 시민들의 우려와 사회적으로 더 방치 할 수 없는 환경문제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정부와 언론에서까지 대단한 관심을 표명하여 다른 개혁과는 달리 대안교육의 합법성을 간접적으로 인정하게 되었다. 그 후 특성화 학교가 제도로 입법화되는 등 제도권 안과 밖에서 대안교육, 대안학교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각계각층의 능동적 참여로 거부감 없이 발전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Ⅳ. 참고 문헌 및 자료
A.S.Neil,「행복한 학교 서머힐」, 양서원,
Dewey, J. 「경험과 교육」, 원미사
호리 신이찌로,「키노쿠니 어린이 마을」민들레
A.S.Neil 「자유로운 아이들」, 아름드리 미디어
호리 신이찌로,「자유와 교육이 만났다. 배움이 커졌다.」민들레
EBS 교육대기획 10부작 “학교란 무엇인가” EBS 홈페이지 동영상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09.2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34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