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분벽화 의의와 특징, 고구려 고분벽화 시대별 분류, 고구려 고분벽화 분포, 고구려 고분벽화와 고구려 문화, 고구려 고분벽화로 본 사회생활, 고구려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춤, 고구려 고분벽화 제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구려 고분벽화 의의와 특징, 고구려 고분벽화 시대별 분류, 고구려 고분벽화 분포, 고구려 고분벽화와 고구려 문화, 고구려 고분벽화로 본 사회생활, 고구려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춤, 고구려 고분벽화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고구려 고분벽화의 의의

Ⅲ. 고구려 고분벽화의 특징

Ⅳ. 고구려 고분벽화의 시대별 분류
1. 4C-5C 초(평양 천도 전)
1) 안악 사원 ‘동수의 무덤’
2) 덕흥고분
2. 5-6C(장수왕)
3. 6C말-7C전반

Ⅴ. 고구려 고분벽화의 분포

Ⅵ. 고구려 고분벽화와 고구려 문화

Ⅶ. 고구려 고분벽화로 본 사회생활
1. 문화의 변천
2. 산수화의 발전 과정
3. 사회 형태와 경제
1) 사회 형태
2) 어로와 수렵
3) 농업
4) 수공업 : 농업 생산에서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Ⅷ. 고구려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춤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타난 내용의 특성상 인접 학문의 모든 분야와 서로 연결이 되고 있으며, 벽화 자체의 연구는 어느 정도의 학문적 성과가 이루어졌다.
고구려 고분벽화의 연구동향을 대체적으로 살펴보면 고고학, 미술사, 역사학분야로 크게 나누어지는 데, 비교적 미술사(美術史)와 생활사(生活史) 방면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으며 역사학 분야에서의 접근방식은 정치사회사와 종교사상사, 문화예술사로 대별 될 수 있다. 특히 춤과 관련된 문화예술사(文化藝術史) 부문에 대하여 전호태는 문화예술사 부문을 세분하면 생활일반, 천문과학, 민속복식, 음악무용의 네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생활일반이란 가내생활의 여러 모습을 비롯한 일상생활의 제요소에 대한 개별적 접근을 말하는데, 북한에서 사회사적 접근의 일환으로 다루어질 뿐 아직 본격화하지는 않은 연구 분야이다. 천문화과학(文化科學)방면의 접근은 구체적 연구의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 민속복식(民俗服飾)방면의 접근은 남북한에서 비교적 적극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복식연구에 보다 집중되고 있다. 한국의 연구는 집안지역의 점무늬옷의 뿐 아니라 평양 지역의 제 1기 고분벽화에 등장하는 중국계 복식과 제2기 고분벽화의 서아시아계 복식에 대해서도 언급하는 등 복식상의 동·서문화 교류양상에도 관심을 보이나, 북한에서는 집안지역 고분 벽화에 등장하는 점무늬옷의 독자성과 이 같은 복식이 이후 고려 및 조선에 끼친 영향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경향을 보여 상호 대조적이다.
음악(音樂)과 무용(舞踊) 방면의 연구는 주로 한국에서 이루어지며, 고구려 악기(惡器)의 구성과 종류, 계통, 악기와 무용의 관계 등이 언급되고 있다. 북한의 연구는 고구려 악기의 연원을 고조선(古朝鮮)에서 찾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고분벽화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각 분야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민족문화와 문화예술의 관점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당대 사람들의 춤에 대하여는 아직 연구 성과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고대 춤에 속하는 고구려 춤에 관한 연구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한국 무용사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었을 뿐 그 연구가 미미하여 이렇다 할 성과가 이루어지지 않은 형편이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춤은 우리 민족의 몸짓이 최초로 형상화된 매우 구체적인 자료로서 그 가치와 중요성에 대하여는 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즉, 고구려 춤 연구는 한국 춤의 이론적 정립이라는 명제의 중요한 출발점이라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고분벽화에 나타난 춤 연구는 곧 고구려 춤 연구로서 춤의 몸짓을 통하여 우리 민족의 본질을 찾아 들어가고 뿌리를 캐는 근원적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그 당시 사람들의 춤뿐만 아니라 그와 연결된 생활 동작을 큰 의미의 춤으로 확대 포함시켰다.
필자는 1995년과 1998년 여름 두 차례 집안에 있는 고구려 무덤벽화의 춤을 살피기 위하여 현지를 답사한 바 있다. 그 당시 유일하게 볼 수 있었던 통구 다섯무덤5호묘, 춤무덤, 씨름무덤 등에 그려진 고구려 춤은 마치 살아있는 고구려 사람들의 한판 춤이었고, 서정적 삶의 혼백은 생생한 춤사위와 함께 살아있는 역동적 형상으로 다가왔으며 신과 신선들의 하늘 춤은 극락 선경의 세계와 함께 우주 전체가 춤판으로 출렁이고 있는 듯 하였다.
Ⅸ. 결론 및 제언
고구려의 벽화는 박진감 넘치는 정리된 화면, 대조적인색채의 과감한 사용과 자신 있는 색채 감각, 대상묘사의 치밀하고 완벽한 처리와 세련미 등은 고구려의 높은 회화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세계어디에 내놓아도 결코 빠지지 않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유산이다. 물질문화가 발달한다고 해도 정신적 지주가 사라지면 그 문화는 살아있는 문화가 될 수 없고 종속적일 수밖에 없는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귀중하고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에 대한 우리의 관심은 어디에 있는가? 하루빨리 우리 모두의 자기반성을 통하여 역사에 대한 좀더 올바른 지식과 인식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문화를 더욱더 발전시켜 나가야 하겠다.
참고문헌
1. 김원룡(1980), 한국벽화고분, 일지사
2. 유송옥(1993), 벽화에 나타난 고구려벽화, 집안고구려고분벽화, 조선일보사
3. 아지마 우시오, 진영선·안병찬·한경순·이종송(2005), 고구려연구재단 연구총서, 03 고구려 벽화의 이미지 복원, 고구려연구재단
4. 조선 일보, 아! 고구려, 조선 일보사
5. 전호태(2000),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주)사계절출판사
6. 최무창·임연철 편저(1990), 고구려 벽화 고분, 신선원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9.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38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