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방어기제에 대해 설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건강]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방어기제에 대해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1. 프로이드의 기본전제
2. 프로이드 이론에서 인식의 수준
3. 구조적 이론
4. 발달 단계
1) 구강기(출생~18개월)
2) 항문기(18개월~3세)
3) 남근기(3세~5세)
4) 잠복기(5세~12세)
5) 생식기(사춘기 시기~성인기 이전)
5. 꿈의 해석
6. 증상

Ⅲ.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방어기제
1. 보상(compensation)
2. 합리화(rationalization)
3. 투사
4. 억압(repression)
5. 부정(denial)
6. 반동형성(reaction-formation)
7. 동일시(identification)
8. 퇴행(regression)
9. 분리(isolaton)
10. 전치(displacement)
11. 승화(sublimation)

Ⅳ.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태도, 가치, 성격 그리고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것으로 채택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 사회적 지위가 별 볼일 없는 어떤 사람이 **국회의원과 자신을 동일시하여 ‘**는 자신의 고등학교 동창이고 친한 친구였다’며 자랑하는 것.
- 자신이 이루고자 했던 젊은 시절의 꿈인 의사가 되고 싶은 아버지가 자식과 자신을 동일시하여 자식에게 그 꿈이 이루이 지도록 강요하는 것.
8. 퇴행(regression)
퇴행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정상 발달되었으면서도 위협이나 불안을 일으키는 상황에 직면할 때 생의 초기에 만족했던 행동양식에 많이 의지함으로써 위협이나 불안을 모면하려는 방법이다.
예컨대, - 중병에 걸려 입원한 환자가 병실에서의 외로움이나 무료함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는 못하여 간호원에게 아이같이 졸라대 보호본능을 자극하여 관심 받고 싶어 하는 행동.
- 대소변을 잘 가리던 아이가 동생이 태어나게 되면, 엄마의 관심을 동생에게 빼앗겼다는 위기감으로 인해 대소변을 못 가리는 발달 전단계의 행동을 하는 것.
9. 분리(isolaton)
분리는 과거의 고통스러운 기억과 연관된 감정을 의식에서 떼어내는 것으로서 감정이 사고와 분리된다.
예컨데,-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말할 때는 슬픈 감정을 느끼지 못했던 젊은이가 아버지를 연상시키는 영화를 보면서 비통하게 우는 경우.
- 어머니에게 부당한 일로 꾸지람을 들었던 어떤 아이가 그 상황에서는 화나는 감정을 전혀 못 느꼈으나 친구의 비슷한 경우 이야기를 들으며 매우 화내는 경우.
10. 전치(displacement)
전치는 본능적 충동의 표현을 재조정해서 그것이 위협을 많이 주는 사람이나 대상으로부터 덜 위협을 주는 것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다.
예컨대, - 직장 상사에게 핀잔을 들은 아빠가 집에 돌아와 상대적으로 약자인 부인이나 자녀들에게 화를 내는 것.
- 우리속담의 ‘종로에서 뺨맞고 한강에서 화풀이 한다.’는 내용
11. 승화(sublimation)
승화는 용납할 수 없는 소원들을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으로 표출하는 가장 성숙한 방어이다.
예컨대, - 외과의사의 수술 장면도 하나의 공격성이다.
- 공격성이 있는 어떤 남자아이가 축구를 아주 좋아하여 축구선수가 되는 것.
Ⅳ. 결 론
프로이드는 인간행동에 대해 전적으로 새로운 견해를 제시한 학자들 중의 한 사람으로서 정신질환을 이해하는 주요 근원으로서 무의식적 심리 과정의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므로 그의 이론은 모든 정신질환에는 기질적인 원인이 있다고 주장하는 입장과는 구분된다.
그는 자유연상 방법을 통해서 환자의 묻혀버린 생각과 감정을 새로 복원시키도록 도와줌으로써 환자를 치료했다.
자유연상의 방법은 ‘기탄없이 이야기하기’ 즉, 환자 마음속에 떠오른 어떤 생각이라도 밖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히스테리라는 용어는 생리적으로는 설명할 수가 없는 기억상실이나 신체질환에 적용되는 말이다.
예를 들면 어떤 환자가 손의 감각을 상실하는 손 마비 증세를 호소하였는데 생리학적으로는 아무런 이유가 없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프로이드는 환자들이 어떤 소원이나 감정을 의식으로부터 차단하거나 억압하고 있기 때문에 억압된 에너지가 신체적 증상으로 표현된다고 보았다.
프로이드는 환자가 연상의 진행에 강하게 저항하는 경험을 통해서 마음속에 억압하는 힘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저항이란 연상이 차단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환자는 어떤 욕망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스스로 용납할 수 없는 것이므로 억압되고 따라서 갈등이 생긴다는 것이다.
우리 모두는 자신이 스스로 인정할 수 없는 생각이나 욕망을 가지고 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방어기재를 사용하는데 가장 기본적이며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억압이다. 억압이란 불쾌한 사고나 갈등을 무의식에 묻어두는 방어기제이다.
사람들은 죄책감을 야기하는 욕구나 불안을 유발하는 갈등, 고통스러운 기억 등을 억압하는 경향이 있다.
억압은 "동기화된 망각"이라고도 한하는데, 예컨대, 치과에 가야할 사람이 약속시간을 잊어버리거나 싫어하는 사람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은 억압의 결과이다.
자기기만은 투사(projection)와 치환(displacement)의 형태로도 나타나게 된다.
투사란 자신의 감정, 생각, 동기 등을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리는 방어기제이다.
다른 사람에 대한 투사는 때때로 죄책감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여자 동료에게 성적 충동을 느낀 남성은 그로 인해 죄책감을 느낄 것이고 이러한 죄책감을 없애기 위해 그 여자 동료가 자신을 유혹한다고 믿을 수 있다.
이것은 자신의 성적 충동을 여자 동료에게 투사한 결과이다.
치환이란 어떤 대상에게서 느낀 감정을 다른 대상에게 전환시키는 방어기제이다. 예을 득어 직장상사에게 굽실거리고 기를 펴지 못하는 남자사원이 집에서는 자녀나 아내에게 큰소리를 치게 된다. 이런 현상은 원래의 대상과는 무관한 대상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는 것이다.
또한 반동형성, 퇴행, 동일시라는 방어기제도 있다.
반동형성이란 자신의 실제 감정과 상반되게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성적 욕구에 대한 죄책감 때문에 반동형성이 작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동성애를 지나치게 비난하는 것은 자신의 동성애적 충동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같이 반동형성이 작용한 행동은 상당히 과장되어 있다.
퇴행이란 미숙한 행동양식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어른들은 자신의 가치에 대해 불안을 느낄 때 마치 어린아이처럼 허풍을 떨거나 유치할 정도로 자랑한다.
동일시란 어떤 사람이나 집단과 실제적 또는 상상적으로 닮아감으로써 자존심을 고양시켜 나가려는 것을 말한다.
유명한 배우, 가수, 운동선수들을 동일시함으로써 자신의 자존심을 높이려 한다.
[참고 자료]
Bruno Bettelheim, 김종주 역, 프로이드와 인간의 영혼, 하나의학사, 2001
김상인, 방어기제와 정신건강, 한국전인교육개발원, 2009
정도언, 프로이트의 의자, 웅진지식하우스, 2009
CHARLES S.CARVER, 김교헌 역, 성격심리학, 학지사, 2005
예지각 편집부, 정신건강, 예지각, 2010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9.24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39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