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화][동양화 사상][한국화][동양화 작품][동양화 의문점][동양화와 서양화 비교]동양화의 사상적 배경, 동양화의 사상, 동양화와 한국화, 동양화의 작품들, 동양화의 의문점, 동양화와 서양화의 비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화][동양화 사상][한국화][동양화 작품][동양화 의문점][동양화와 서양화 비교]동양화의 사상적 배경, 동양화의 사상, 동양화와 한국화, 동양화의 작품들, 동양화의 의문점, 동양화와 서양화의 비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동양화의 사상적 배경

Ⅲ. 동양화의 사상

Ⅳ. 동양화와 한국화

Ⅴ. 동양화의 작품들
1. 몽유도원도[꿈이 낳은 그림 -(안견 1400-1479년경)]
2. 고사관수도[고요한 그림 -(강희안 1417-1464)]
3. 모견도[평화로운 그림(영모도)- 이암(李巖/1499~?)]
4. 초충도[섬세한 그림-(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
5. 인왕제색도[늙은 화가의 혼 -(정선 1676-1759)]
6. 씨름도[긴장 속의 한마당 -(김홍도1745-1806)]
7. 달마도[거침이 없는 그림 -(김명국1600-1662이후)]
8. 세한도[외롭고 추운 그림 -(김정희 1786-1856)]
9. 조선민화[십장생도(十長生圖)/작가미상]

Ⅵ. 동양화의 의문점
1. 이치에 맞지 않음
2. 같은 형식의 그림

Ⅶ. 동양화와 서양화의 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발전시킨 산수화이다.
① 이 그림은 어떤 상황의 자연을 묘사한 것일까?
② 산수화가 보는 사람에게 친근감을 주는 이유는 무엇일까?
③ 박력과 기세 넘치는 이 작품을 제작할 당시 작가 나이는?
6. 씨름도[긴장 속의 한마당 -(김홍도1745-1806)]
일정한 사회적 계층을 드러내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전형적인 한 모습을 그려내는 그림을 풍속화라 한다. 단원 김홍도는 가장 조선적인 토속미 넘치는 풍속화를 그려낸 화가로 해학과 익살이 담긴 이야기를 표현한 작가이다.
① 당시 상황으로 어떤 곳에서 일어났을 것 같은 장면인가?
② 시선이 씨름꾼에게 끌리도록 하는 그 힘은 무엇일까?
③ 씨름꾼이 벗어 놓은 오른쪽 빈 공간 신발들은 전체 화면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④ 그림 안에 모여 있는 모든 사람의 표정을 자세히 읽을 수 있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7. 달마도[거침이 없는 그림 -(김명국1600-1662이후)]
예리한 붓끝으로 빠르고도 조심스럽게 몇 줄을 그어 작품이 완성된다. 이 화면에는 살아 움직이는 듯한 역동성과 고요한 느낌을 한 화면에서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여기에는 색이 없다. 필요한 모든 색이 묵선(墨線) 속에 모두 갖추어져 있다. 먹의 선은 형태이기 전에 정신의 흐름이기 때문에 온갖 존재의 출발점이 되며, 모든 색을 낳을 수 있는 생명의 원점(原點)이 된다.
① 달마도는 몇 분 만에 완성된 그림일까?
② 그림을 제작한 김명국의 어떤 성격을 가졌을까?
③ 이 그림에서 서로 대조되는 두 가지 느낌은 무엇인가?
8. 세한도[외롭고 추운 그림 -(김정희 1786-1856)]
세한도(歲寒圖)는 추사 김정희가 1844년 환갑의 나이로 제주도에서 5년째 유배생활을 하던 중에 그의 제자 이상적이 자신을 대하는 한결같은 마음에 감격하여 그려낸 작품이다. 이 작품은 마른 붓질 몇 획이 쓸고 지나간 흔적에 지나지 않으나 거기에는 세상의 혹독한 인정과 씁쓸함, 고독, 선비의 굳센 의지, 고마운 정, 허망한 바람이 담겨있어 이러한 예술성을 문인화(文人畵)의 정수라고 할 수 있다.
① 이 그림을 그린 작가는 어떤 심정에서 작품을 표현했을까?
② 그림 전체에서 어떤 계절의 느낌이 드는가?
③ 먹 선은 어떤 상태로 묘사되었을까?
④ 이 그림에서 잘못된 표현이 무엇이라고 생각되는가?
9. 조선민화[십장생도(十長生圖)/작가미상]
동양에 있어 영원히 죽지 않거나 오래 사는 것으로 여겼던 열 가지 즉, 해산물돌구름소나무불로초거북학사슴을 소재로 한 그림. 이들 십장생은 중국의 신선사상(神仙思想)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으며, 일찍부터 예술의 주된 소재로 사용되었다. 이들 열 가지 모두는 함께 그려지기도 했지만 몇은 독립된 소재로도 발전하였다. 소나무사슴학 그리고 돌을 그린 괴석도(怪石圖)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들 소재는 궁중에서 화원(畵員)들에 의해 화려한 채색의 진채(眞彩)를 사용한 병풍(屛風) 등, 장식화(裝飾畵)의 대작(大作)으로 제작되거나, 민화(民畵) 및 도자기를 비롯해 각종 공예품의 문양으로 등장되기도 하였다.
① 어떤 목적을 가지고 제작된 그림인가?
② 작품에 서명이나 낙관이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③ 일반적인 그림이 일시점(一視點)의 원리라면, 조선의 민화는 어떤 시각에서 사물이 표현된 작품일까?
Ⅵ. 동양화의 의문점
1. 이치에 맞지 않음
○ 나타난 소재의 시기가 다른데 같이 표현한다.
목련(4월초 개화)과 모란꽃(6월), 봄 버들과 여름의 장미, 시든 연잎과 백로
○ 병아리를 기르는 장닭
○ 800년 후에도 같은 이치에 맞지 않은 그림을 계속 그림
2. 같은 형식의 그림
○ 예쁘지도 않은 메추리 - 조 이삭 수와 메추리, 모두 암컷
○ 오리는 버드나무 밑에. 백로는 한 마리, 오리는 두 마리, 까치 두 마리를 그림.
Ⅶ. 동양화와 서양화의 비교
중국을 비롯한 동양권은 자연을 인간과 동일하게 보았다. 지금까지 여러 옛 미술 작품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자연이 풍성하게 나타나 인간 세상을 포근히 감싸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또한 중국 미술은 그 제작에 대해서도 상당히 주관적이고 추상적이라 할 수 있다. 도저히 과학적으로 구도가 맞지 않은 그림이 많다. 이를테면 큰 산 아래 도저히 볼 수 없는 곳에 있는 집이 버젓이 나타나고 있는 것 등이다. 작자가 그 풍경을 둘러보고 자신의 생각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부분을 그리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 서양의 미술은 어떤 면에 있어서 상당히 종교적인 영향을 많이 받았다 할 수 있다. 과거 종교적인 영향으로 발달 했던 조각, 건축 그림 등은 어찌 보면 상당히 딱딱하다는 느낌을 주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인물을 그릴 수 없었던 시대는 오히려 균형과 조화가 잘 잡힌 벽 무늬 궁전 등의 타 미술 분야가 발달했다. 하지만 이는 거의 자연과의 조화가 이루어지지는 못했다, 그 후 기독교 시대에 들어서면서는 고딕 건축과 조각, 특히 기독교적 조각 부분이 발달했다. 또한 종교적 색채가 다분한 인물화 역사화가 발달했다. 이는 서양의 정신이 깊이 잠재되어 있던 신 중심의 사상에서 기원했다. 신을 위해서 인간도 자연도 희생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바가 동서양의 미술문화의 우위를 비교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같은 뿌리에서 시작하여 그 중세가 나뉘어져 다른 방식으로 발달된 여러 미술 문화 중 큰 두 줄기를 잡아 그 사이의 특징들을 비교하여 한층 더 발달된 공통점을 발견하기 위한 탐구이다. 중국을 비롯한 동양권은 자연 동화적 미술 세계 정해진 ,계획적인 틀을 피해 개인의 주관적 느낌을 표현했다. 서양은 각각의 시대에 따르는 종교적 색채에 따라 달리 발달하는 미술사적 역사를 지녔다. 이에 우리는 두 사이의 더 높은 공통점을 찾아 이를 이해해야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송수남 글모음, 한국화의 길, 미진사, 서울, 1995
안동숙 편저, 전통 동양화 기법, 서울, 서예사, 1991
이숙자, 한국근대동양화 연구 - 한국화 정립을 위한 기초조사, 서울, 미술문화사, 1989
진조복 저·김상철 역, 동양화의 이해, 시각과 언어, 1999
최병식 편저, 동양미술사전, 갑을문화사, 서울, 1989
허유 저, 동양화산책, 다빈치, 2000

키워드

동양화,   한국화,   서양화,   그림,   미술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9.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39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