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문화예술정보시스템]문화예술의 중요성, 문화예술의 재정투자, 문화예술과 인터넷, 문화예술과 벤처기업, 문화예술의 문화예술정보시스템, 문화예술의 문화예술회관, 문화예술의 정책 과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예술][문화예술정보시스템]문화예술의 중요성, 문화예술의 재정투자, 문화예술과 인터넷, 문화예술과 벤처기업, 문화예술의 문화예술정보시스템, 문화예술의 문화예술회관, 문화예술의 정책 과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문화예술의 중요성

Ⅲ. 문화예술의 재정투자

Ⅳ. 문화예술과 인터넷
1. 예술가와 인터넷공간
2. 정보디자인 등장
3. 웹사이트 디자인
1)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2) 컴퓨터기술에 대한 이해
3) 웹사이트 평가시 점검해야 할 주요사항

Ⅴ. 문화예술과 벤처기업

Ⅵ. 문화예술의 문화예술정보시스템
1. 정보 열람/이용 기능
2. 정보교류 기능
3. 자료보존 및 뉴미디어 기능
4. 문화예술의 제작지원 및 상담기능
5. 문화예술 촉매활동 기능

Ⅶ. 문화예술의 문화예술회관
1. 문화예술회관에 대해 설정된 그 목적 자체다
2. 이는 극장 역할에 대한 설정의 오류와, 기능의 한계를 지움으로서 생기는 문제이다
3. 이제부터 이번 주제와 걸 맞는 예산과 중앙 또는 지방정부의 지원부분에 대한 문제이다

Ⅷ. 문화예술의 정책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위까지 문화기반시설이 건립된 것은 아니나 좁은 나라에서 이만큼 공연장을 갖고 있는 나라는 많지 않으며, 일부 각시도의 문예회관은 시설 면에서 사실 호화스럽기까지 하다. 정부는 읍면동 단위시설인 문화의 집을 총 650개를 건립할 계획이다.
이런 문예회관은 실제로 극장을 이용하는 측면에서 보면
첫째, 쓸만한 기능을 갖춘 극장을 찾기가 어려우며,
둘째, 극장의 기능보다는 외장 등 불요불급한 시설부분에 과다 투자한 나머지 극장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고 건축적 과시효과가 더 크다.
셋째, 연간 가동일수가 연평균 30%를 넘지 못함으로서 극장건립의 이유가 무엇인지 의심스럽고,
넷째, 극장에 대해서 뭔가 좀 알고서 운영하는 문예회관을 찾기가 어렵다.
다섯째, 연간 예산의 80~90%가 운영유지관리비이며 프로그램 사업비는 10~20% 선인 1억원부터 많아야 20억 원 정도다.
그러나 극장은 한번 지어놓으면 가만히 놔둬도 건립비의 최소 10~20%예산이 연간 필요하며 연간예산의 1/3이 시설유지 관리비에, 그리고 1/3이 인건비로 소용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1/3이 사업비에 해당되는 것이다.
예술의전당의 경우 200억원의 예산이 바로 이런 기준 하에 집행되고 있지만 여타의 문화예술기관의 경우는 거의 전부가 시설유지관리비에 충당되고, 국공립 시설 유지관리가 그 전부인 것이다. 이런 형편에 지역의 문화예술회관에 대해 어떤 역할을 기대를 하는 것 자체가 무리이다. 기대가 무리인 또 다른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설사 예산이 충분하더라도 지역 문화예술회관이 건립목적을 다하는 데는 또 다른 이유로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우선 예산 이외의 가장 큰 지역문화예술회관 운영의 한계는
1. 문화예술회관에 대해 설정된 그 목적 자체다
지역극장은 그 지역사회의 문화적 중심체가 되는 공간이다. 지역사회공간인 것이다. 지역 문화예술회관은 서울 극장의 지부도 아니며 서울 프로그램의 공급소도 아니다. 그런데 지역극장으로서의 고유기능과 역할이 무엇인가를 고민하고 운영하기보다는 서울 문화의 최종 시장으로서의 기능이 고작이다. 다시 말해 지역밀착형 극장은 찾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지역주민과 유리된 공간이 현재의 한국지역문화예술회관이다.
2. 이는 극장 역할에 대한 설정의 오류와, 기능의 한계를 지움으로서 생기는 문제이다
극장은 단순한 공연장의 기능을 벗어나 그 역할을 넓힌 지 오래다. 단순한 흥행극장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형태가 문화의 집이건, 영국의 아트센터 이건, 일본의 현 회관이건 지역을 기반으로 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우리 나라의 지역문화예술회관도 예외가 아니다. 우선 공연장으로서의 공연 행사는 기본이다. 평생 교육센터로서의 기능 역시 본래적인 것이며, 셋째는 지역사회 계층구성에 따라 공급기능의 다양화와 특화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지역 문예회관은 어린이 연극, 청소년음악회 정도로 그 교육기능을 다했다고 생각하고 있는 듯하다.
현재 한국의 지역 문화기관은 문예회관, 문화의 집, 사회복지라는 이름 하에 지어진 여성회관과 도서관, 군민회관, 시민회관, 체육관 등이 있고, 지역에 따라서는 향토 사료관이 있기도 하다. 여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여성회관에서, 지역주민의 문화소양프로그램 교육은 군민회관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공연장인 문예회관은 단지 공연이 전부다. 각각의 문예회관과 기타 문화기관과의 기능과 역할의 재정립을 통한 기능활성화 방안 강구가 필요하다.
3. 이제부터 이번 주제와 걸 맞는 예산과 중앙 또는 지방정부의 지원부분에 대한 문제이다
이 부분부터 본론으로 다루고자 하며, 이에 대한 결론은 앞서의 여러 부분들과의 연계성 하에 결론을 낼 수 있는 것이다. 기능과 역할을 새롭게 정의하는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결론을 낼 것이다. 왜냐하면 필자는 단지 극장운영의 활성화가 지원방법의 개선이나 새로운 제안 하나로 지역문화예술회관의 운영이 쉽사리 개선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돈 있다고 좋은 극장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것은 운영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해야할 문제인 것이다.
Ⅷ. 문화예술의 정책 과제
□ 디지털과 트랜스 장르의 시대에 원소스 멀티유즈로 대표되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세계시장에서 지식 문화주도의 콘텐츠 산업 발전은 두드러지고 있다.
ㅇ 그러나, 이러한 산업의 발전과 디지털 시대의 환경에도 불구하고 문화예술을 활용한 전문인력의 공급은 도제식 시스템을 위주로 인해 효율적인 숙련인력 수급이 원활치 못하다.
ㅇ 예체능대학을 통한 인력확보, 기존 인프라와 재교육 시스템도 심각한 실정이며, 질적, 양적으로 인력난 해소 또한 어려울 전망이다.
ㅇ 문제는 수의 문제가 아니라 문화예술 분야 배출인력의 현장 적합도이며, 이는 구조의 문제에서 기인한다.
□ 양적 확대 뿐 아니라, 교육의 내실화, 첨단인력양성 프로그램 등을 통한 교육기관 배출인력의 자질을 향상하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ㅇ 선택과 집중을 통한 비교우위 분야의 투자(음악, 미술, 스토리, 미디어기술 분야 인력 흡수 및 교류), 순수 예술분야 창작기획력과 기술력을 결합하는 방향으로 육성, 수요 중심의 인력 양성과 교육 훈련 품질 강화의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산업현장 수요에 부응하는 인력양성을 위해 기초연구, 전략, CT분야 최정예 인력양성 등이 단계적으로 필요하다.
□ 결론적으로 문화콘텐츠 산업의 궁극적 발전을 위해서 프리랜서의 평생교육 지원, CT기술인력 양성, 특성화 학과 지원 등 노력이 경주되어야 하며, 전문인력 세계화, 산학연 공동 인력 및 문화예술분야의 콘텐츠 산업 접목 교과과정 개발, 외국교육기관과의 교류 확대 등 인력 공급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1. 김우정, 문화산업시대의 마케팅
2. 강민제, 뉴미디어개발 육성방안연구, 정보통신학술연구과제, 정보통신부, 1996
3. 노먼 제이콥스, 강현두 역, 대중시대의 문화와 예술, 홍성사, 1980
4. 박신의 외, 문화예술경영, (주)생각의 나무, 2002
5. 박진우, 정보통신 산업동향 - 컨텐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999
6. 한국예술종합학교, 그 끝없는 도박 - 업 코리아, 2004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9.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39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