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일생과 시민비극 Miß Sara Sampson,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희극론과 비극론,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계몽주의적 종교관,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에밀리아 갈로티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일생과 시민비극 Miß Sara Sampson,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희극론과 비극론,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계몽주의적 종교관,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에밀리아 갈로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일생

Ⅲ.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시민비극 Miß Sara Sampson

Ⅳ.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희극론

Ⅴ.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비극론
1. 레싱의 비극에 나오는 주인공의 성격
2. 개연성의 법칙
3. 레싱의 비극론이 갖는 계몽주의적 성격

Ⅵ.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계몽주의적 종교관

Ⅶ.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에밀리아 갈로티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석하고자 시도하는 가운데 집필한 되어진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고전적 작품 이상에 접근하는 미적 완결체라고 평가되고 있다. 프리드리히 슐레겔(Friedrich Schlegel)은 이 작품을 ”기하학적으로 잘 짜여진 위대한 전형(ein groBes Beispiel dramatischer Algebra)“이라고 평한 바 있으며 히페(Hippe)는 이와 연계하여 이 작품을 18세기 독일 희곡의 절정이라고 극찬하면서 이 작품에서는 ”함부르크 희곡론(Hamburgerische Dramaturgie)\"의 구체적인 실천과 이에 따라 세익스피어적인 의미에 접근하는 독일 희곡의 개선을 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에밀리아 갈로티”를 완결된 예술품으로 보는 기존의 사고는 자체 내의 모순점을 내포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와의 이론적 실천적 차이는 어느 정도 인정하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밀리아 갈로티”를 포함한 레씽의 작품들이 완성에 도달했다고 보는 기존의 시각은 그 당시의 시대정신과 정면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작품을 일종의 심미적 전형으로 이해하고 이를 초시간적 완성으로 이해하려고 하는 것은 어쩌면 작가, 작품과 관객 사이의 관계 특히 사회적, 개인적, 이념적 조건들에 의해 규정된 각 개인과 작품사이의 교감을 근본에서부터 거부하는 것이 될 것이다. 레씽의 작가관이나 또는 그의 정신적 배경이라고 일반적으로 일컬어지는 시대사조인 계몽주의를 보더라도 그가 작품과 관객사이에 아무런 영향관계도 설정하지 않았으리라고는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드라마의 유형에 대한 고찰은 1941년 파울 클룩크혼(Paul Kluckhohn)에서 출발하여 뵐핀(Wolffin)을 거쳐 오스카 발젤(Oskar Walzel)에 이르러 개방적-폐쇄적(offen-geschlossen bzw. tektonisch-atektonisch)으로 규정되기에 이르렀고 후에 폴커 클로츠(Volker Klotz)에 와서 그 분류의 타당성이 구체적으로 증명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우리가 사용하려고 하는 개방적(offen)이라는 개념은 이러한 기존의 의미에서의 대비, 즉 폐쇄적=고전적, 개방적=현대적이라는 클로츠적인 시대적 대비개념이 아니다. 또한 더 나아가서 클로츠 이론의 두 분류라고도 할 수 있는 쫀디(Szondi)와 브레히트(Brecht)적인 의미라고도 하기 어렵다. 쫀디는 그의 유명한 저서 “현대 드라마 이론(Theorie des modernen Dramas)”에서 작품과 관객의 관계를 완벽한 일치와 완벽한 분리로 분류하였는데 레씽의 작품을 완벽한 분리로 이해하기에는 고전적 드라마에 전형적이라 할 수 있는 요소들이 너무나 자주 등장하기 때문이다. 브레히트의 서사적(episch)이라는 개념은 고전적, 폐쇄적이라는 단어와 광범위하게 대비된다는 점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개방적이라는 단어와 유사할 수도 있으나 그 자체 이데올로기로 채색되어 있음으로 해서 진정한 의미의 개방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하겠다. 물론 비판적 사회의식, 관객에 대한 계몽의지, 더 나아가서 작품의 기능성에 대한 신뢰 등의 측면에서는 레씽과 브레히트의 밀접한 연관관계가 논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이 논문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개방적’이라는 개념은 시대적 분석이나 유형적 분류를 거절하는 지극히 중립적인 것으로써 발터 힝크(Walter Hinck)적인 의미에서의 “개방극론(offene Dramaturgie)”의 의미로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힝크는 그의 저서에서 한트케(Peter Handke)를 예로 들며 자신의 개방극론을 설명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개방극이란 “무대 위 사건의 관객에 대한 개방성(die Offenheit des Buhnenvorgangs zum Zuschauer bzw. zur Publikumswirklihkeit)”을 전제로 “선동적 요소(das Element der Provokation)”도 또한 포함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 무대 위의 사건이 끝나더라도 관객에 의해 그 보충이 실현되기를 기대하고 있는 또는 실현되어져야만 하는 극의 형식이다. 그는 Adam Muller가 비극과 희극을 무대와 객석 사이의 상호연관으로 구분, 정의했던 것을 인용하면서 이러한 개방적 극론을 낭만주의 이 전까지 소급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개방적이라는 힝크의 개념을 본 논문이 차용하게 된 보다 중요한 이유는 그가 개방적 극의 교육적 기능에 대하여 주목했기 때문이다. 즉 그는 연극이 사회적 현실을 변화시킬 수는 없다 하더라도 연극을 통해 관객을 교육시키고 그럼으로써 사회 변화의 단초를 제공할 수는 있다고 설명하여 교육적 기능을 개방적이라는 개념의 본질적인 것으로 제시함으로써 레씽 작품의 구조적 개방성을 연구하는 데에 주요한 단서를 제공하였던 것이다. 개방적 구조는 교육적 기능을 생산하고 또 역으로 교육적 기능이 작용하기 위해서는 개방적 구조가 필요하다는 그의 분석은 레씽의 작품을 분석하고자 하는 본 논문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Ⅷ. 결론
독일 산문을 훌륭하게 만들어 그 영향력을 크게 떨친 사람은 레싱 이다. 그는 예민한 비판정신, 대화적이며 심지어 극적인 소질을 가진 지성, 남성적이며 전투적인 에네르기, 끊일 줄 모르는 진취적인 의욕, 시적 천분을 다 함께 가지고 있었다. 만일 자기 의식에 대한 용기와, 그리고 체험한 진리에 부여하는 용기에 관해 말하자면, 그는 정신 활동의 에토스 속에 소멸되지 않는 영향력이 있는 것이지, 그의 미학적 통찰과 비판적 예술론, 그리고 종교 사상과 학문적 저술 속에 있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오늘날의 무대에서 그 생명력이 증명되고 있는 그의 연극 작품 속에서조차 없을지도 모른다.
참고문헌
ⅰ. 맹주완(2003),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현자 나탄’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ⅱ. 메링·프란츠(2005), 레싱 전설, 한길사
ⅲ. 윤도중(2002), 레싱·드라마와 희곡론, 유로서적
ⅳ. 윤도중, 레싱의 현자 나탄에 나타난 관용적 박애사상, 독일문학 47집
ⅴ. 안진태(2004), 가족극 관점에서 본 레싱의 에밀리아 갈로티, 독일문학 71권
ⅵ. 장순란(1994), 레싱의 독일비극 에밀리아 갈로티, 독일문학, 54집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10.0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4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