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강수량][강수와 습도][지역강수량 계절예측][강수에코]강수의 개념, 강수의 형태, 강수의 형성과정, 강수와 습도, 지연상관된 광역규모 예측인자 이용한 지역강수량의 계절예측, 청천대기로부터의 강수에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강수][강수량][강수와 습도][지역강수량 계절예측][강수에코]강수의 개념, 강수의 형태, 강수의 형성과정, 강수와 습도, 지연상관된 광역규모 예측인자 이용한 지역강수량의 계절예측, 청천대기로부터의 강수에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강수의 개념

Ⅲ. 강수의 형태
1. 대류성 강수
2. 지형성 강수
3. 전선성 강수

Ⅳ. 강수의 형성과정
1. 빙정설
2. 병합설

Ⅴ. 강수와 습도
1. 습도
1) 절대습도
2) 상대습도
3) 혼합비
4) 포차
5) 건조기후지역
2. 습도의 변화
1) 기온하강
2) 응결온도 = 露點(노점)

Ⅵ. 지연상관된 광역규모 예측인자 이용한 지역강수량의 계절예측

Ⅶ. 청천대기로부터의 강수에코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야 하므로 파장이 10cm 미만인 레이더에서는 쉽게 관측되지 않는다(Atlas, 1990).
대기 중에서 난류에 의하여 공기덩이가 이동할 때, 이동해 온 공기덩이는 주위공기와 혼합되어 기압수증기압 등이 주위공기와 동일하게 되지만 온위와 비습은 단열과정에서 보존되는 양이므로 원래의 특성을 그대로 가진다. 따라서 혼합이 일어나는 영역에서 온위와 비습의 차이에 의해 굴절율의 불균질성이 발생한다. 이러한 굴절율의 차이는 잠재 굴절율의 연직 경도에서 크게 나타나고(Otterstenl., 1969) 잠재 굴절율의 평균 연직 기울기에 비례하여 레이더 반사도가 큰 값으로 나타난다(Larsen and Rottger, 1983). 잠재굴절율의 연직경도 M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Larsen and Rottger, 1989).
여기서 T는 온도(K), θ는 온위(K), P는 계산에 이용되는 고도(z; m)에서의 기압(hPa), q는 비습(gkg-1)이다. 일반적으로 M의 값은 대류권 하부에서, 수증기가 많을 때, 특히 갑작스런 침강이나 역전층이 있을 경우 크게 나타난다(Atlas et al., 1966).
(1) 한반도에서 관측된 비 강수에코는 대부분이 봄철해상에서 나타났으며 과대굴절에 의하여 생성되었다. 과대굴절의 정도에 따라 탐지거리 접힘 에코가 발생하여 중국 및 일본 해안선이 관측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Ducting이 발생한 경우도 종종 나타나고 있었다. 이 에코의 가장 큰 특징은 주로 복사 역전층이나 지표면에 접촉된 안정층이 형성되어 있는 늦은 밤이나 새벽에 강하게 탐지되고, 늦은 오후나 초저녁에는 최소가 되었다. 대기 안정도에 따라 조금의 차이는 있지만 이 에코는 해상에 거의 정체 또는 느리게 이동하지만 육지로 유입되지는 않았다. 관측기간 중 해무가 발생한 날도 있었으나, 해무의 위치와 비 강수에코의 위치가 서로 달라, 레이더가 해무를 직접적으로 관측하였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해무와 같은 하층 습윤층으로 인하여 과대굴절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2) 한반도에 자주 나타나는 또 다른 형태의 비 강수에코는 가는 선(또는 줄) 형태를 띠고 있으며, 주로 가을겨울철에 낮 동안 육상에 많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에코는 상층한기가 강할 때 나타났으며, 구름의 경계부분에서도 관측되었다. 이 에코는 수증기 영상에서 암역과 수증기 역의 경계부분이나, 700T-Td에서 건조역과 습윤역의 경계부분, 또는 850hPa 상당온위 분포도나 925hPa 일기도 등에서 한기측과 난기축의 경계부분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3) 맑은 날 중 비 강수에코가 발생한 날과 발생하지 않는 날의 차이점을 살펴보기 위하여 각각의 대기선도를 살펴보았다. 비 강수 에코가 나타난 날과 그렇지 않은 날의 가장 뚜렷한 차이점은 대기 하층의 안정도로 나타났다. 비 강수에코가 나타나지 않은 날은 대기하층에 역전층이 존재하지 않았다.
참고문헌
강인식ㆍ허창회ㆍ민경덕(1992), 한반도 여름철 강수량의 장기예측, 한국기상학회지, 28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 수질자료(2000)
허창회ㆍ강인식(1988), 한국 지역 강수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4
환경부, 물은 생명, 우리의 미래 - 21세기 국가 경쟁력, 물에 달려있습니다
Koenig(2006b), Berlin`s water harvest . In : Water 21, Magazine of the International Water Association, London, UK.
Mikio Kasahara, 박정호ㆍ최금찬(1996), 강수에 의한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세정특성, 한국대기보전학회지 제12권 제2호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0.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7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