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부산항만)의 약력, 부산항(부산항만)의 건설계획, 부산항(부산항만)의 도시네트워크화, 부산항(부산항만)의 유류오염확산예측시스템, 부산항(부산항만)의 북항개발, 부산항(부산항만)의 발전 방안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산항(부산항만)의 약력, 부산항(부산항만)의 건설계획, 부산항(부산항만)의 도시네트워크화, 부산항(부산항만)의 유류오염확산예측시스템, 부산항(부산항만)의 북항개발, 부산항(부산항만)의 발전 방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부산항(부산항만)의 약력

Ⅲ. 부산항(부산항만)의 건설계획

Ⅳ. 부산항(부산항만)의 도시네트워크화

Ⅴ. 부산항(부산항만)의 유류오염확산예측시스템

Ⅵ. 부산항(부산항만)의 북항개발

Ⅶ. 부산항(부산항만)의 발전 방안
1. 신항 조기건설 등 인프라 확충
2. 기존 부산 북항의 기능 재정립 및 신항만과의 연계 활성화 모색
3. 배후부지 활성화 등 부산항의 고부가가치화 추진
4. 항만 생산성 제고를 통해 화물유치 기반을 지속적으로 확대
5. 동북아시아 국가간 물류협력체계 활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
○ 금년에 마스터프랜을 마련하고, 북항 1 2부두를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재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Ⅶ. 부산항(부산항만)의 발전 방안
1. 신항 조기건설 등 인프라 확충
○ 부산신항을 차질 없이 건설하여 18선석(30선석)을 조기에 확충하고, 배후부지 134만평을 조성한다.
- 1단계 3선석과 배후부지 25천 평을 완공한다.
- 북컨테이너부두 13선석 완공에 맞추어 북측 물류부지 31만평을 조기에 공급
○ 18선석이 완공되는 ’08년까지 부산신항 배후도로(가락IC~초정IC)와 배후철도(낙동강~녹산) 완공을 추진한다.
2. 기존 부산 북항의 기능 재정립 및 신항만과의 연계 활성화 모색
○ 북항 일반부두는 신항 개장과 연계하여, 물류 비즈니스, 해양관광 및 레저 등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재개발한다.
- 북항 기능정비 T/F를 구성하여, 신항 피더네트워크 구축 등 18개 세부과제를 검토 중이며,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한다.
○ 신항 3선석 개장에 대비, 신항개장 준비기획단을 설치(부산청), 신항 조기 운영 정상화 및 북항과 연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3. 배후부지 활성화 등 부산항의 고부가가치화 추진
○ 부산항 감천부지에 다국적 물류기업을 입주시켜 본격 가동하고, 부산신항에 5개 기업을 신규 유치한다.(MOU 체결)
※ 부산항 감천부지 4만평에 미쓰이물산, 헨리베스&선, 스타인벡 등 3개 다국적 물류기업을 유치한다.
○ 선박 급유 등 항만물류산업 선진화를 위한 종합육성계획을 수립한다.
- 항만물류산업의 체계적인 지원을 위한 부문별 육성전략 등을 마련하고, 항만 및 물류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법ㆍ제도의 개선을 추진한다.
※ 부산항 부가가치 창출액은 34억불로 로테르담(245억불), 싱가포르(164억불)의 14~16% 수준
4. 항만 생산성 제고를 통해 화물유치 기반을 지속적으로 확대
○ 컨테이너 크레인 등 하역장비의 증설과 현대화를 통해 항만 생산성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한다.
※ 현재 선석당 3기 내외 수준인 C/C(Container Crane)를 3.5기로 증설을 유도하고, 8천TEU급 컨테이너선 등 초대형선 기항에 대비하여 C/C의 주종을 단계적으로 20열 이상으로 교체한다.
○ 터미널(부두) 운영사의 대형화 추진을 통하여 항만시설 및 장비의 이용 효율성을 제고한다.
※ 1선석 1운영사 체제인 부산 감만부두를 통합 추진하고, 일반부두 터미널 운영사도 단일화를 추진한다.
○ 부산항의 항만 노무공급체계를 개편하여 상용화를 추진하고, 1일 24시간 근무제를 단계적으로 확산한다.
※ 경쟁항만의 경우 대부분 1일 24시간 근무체제를 채택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컨테이너 부두는 대부분 22시간 내외 근무
5. 동북아시아 국가간 물류협력체계 활용
○ 한국중국일본간 논의되고 있는 국제물류협력체제는 각 항만간의 역할정립을 통해 불필요한 과다경쟁을 줄일 것이다.
○ 중국항만일본항만과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은 부산항의 강점을 부각시킬 것이다.
※ 중국과 일본에 정부간 대화체인 한중일 물류장관회의를 제의한 상태이다.
참고문헌
김기철(2000) / 부산항 해역의 유류오염 확산예측 시스템 개발, CIIPMS 연구결과 발표논문집
부산항만공사(BPA)(2008) / 부산항 컨테이너화물 처리 및 수송통계
이기석(1998) / 세계적 수준의 도시네트워크와 자유무역지구의 건설, 월간국토, 국토개발연구원
최성광 / 부산항 항만관련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전략, 부경대학교 경영학 석사 학위 논문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7) / 부산항 북항 및 신항의 물동량 유치 경쟁 Position 분석
해운항만청(1996) / 부산항 기본계획 변경(안) - 가덕 신항만 기본계획 보고서

키워드

부산항,   부산항만,   항만,   항구,   선박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0.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