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임당(申師任堂)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1.연구목적

Ⅱ.신사임당의 생애
 1.신사임당의 생애
 2.신사임당의 예술세계
  2.1 당시의 시대적 배경
  2.2 신사임당의 시세계
  2.3 신사임당의 영향을 받은 율곡의 시 세계
 3.신사임당의 서(書), 화(畵)에 나타난 특징
  3.1 서(書)
  3.2 화(畵)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끔한 성격을 나타내며 화면이 조화를 이루 면서도 가끔 보이는 굴고 담대한 터치는 사임당의 인품에 있어서의 조화감이나 담대함의 표현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사임당은 포도 그림에 있어서는 그 진위를 알 수 없는 전칭 작이 여러 폭 전할 정도로 이름이 높다. 현재 간송미술관에 보관되어 있는 묵포도 가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다. 성글게 열린 포도송이의 서로 다른 흑색이 선염의 묘와 더불어 사실 표현의 극치에 달한 느낌이며 화면이 가득한 듯 하면서도 여백이 적절히 안배되어 전혀 어수선한 느낌을 주지 않은 것은 구성에도 뛰어남을 엿보게 하는 것이다.
사임당의 초충도 는 곤충들이 살아 움직이는 것 같은 동세를 느낄 수 있으며 색체의 사용에 있어서 실물과 유사하고 그 묘사가 섬세하여 잎과 줄기가 바람에 흔들리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또한 벌레, 나비, 꽃, 오이는 모양이 실물과 꼭 같을 뿐 아니라 그 맑은 기운이 산뜻하다고 광산 김진규는 사임당의 초충도 후문에 적고 경의를 표한 바도 있다.
내게 일가 한분이 있어 일찍이 말하되 집에 율곡선생 어머님이 그린 풀벌레 그림 한 폭이 있는데 여름철이 되어 마당 가운데로 내어다 볕을 쬐자니 닭이 와서 쪼아 종이가 뚫어졌다.
아마 닭의 눈에도 볕에 쬐어 말려두려고 내어 놓았던 사임당의 그림 속의 풀벌레가 정말 살아 있는 것 샅이 보여 단숨에 쪼아 먹었던 모양이다,
사임당의 초충도는 조선 초기의 초충도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으며 소박하고 단순한 구도, 선명한 색채 등 천진난만하고 개성이 뚜렷한 그림이다, 초충도에서 가장 중시되는 것은 곤충의 표정, 위치, 계절 이다, 곤충 등 동물의 표정과 형상이 살아있는 것처럼 나타나야하기 때문이다. 움직이려는 동작, 날으려는 의지, 뛰려는 형태, 울려는 모습 등이 분명히 표현되고 있는 것이다. 곤충의 경우 움직이려면 날개를 펴지 않으며 울려고 할 때에는 날개를 털고 다리를 세운다. 뛰려고 할 때에는 다리에 힘을 준다. 하지만 사실적인 표현을 넘어 한국 특유의 해학이 담겨있는 것이 우리 초충도의 빼 놓을 수 없는 자랑이다. 사임당의 그림에서처럼 연약한 꽃에 나비가 따른다. 자연의 섭리임이 분명하지만 여성이 억압받던 그 시대의 애환을 생각하면 다시 한번 음미 해볼 만한 것이다.
Ⅲ.결론
지금까지 사임당의 생애와 함께 사임당이 자질을 나타내었던 시,서,화 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사임당에 대해서는 후세 사람들의 다양한 평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사임당을 잘 알았던건 아들 율곡이다. 사임당의 행적을 간략히 정리한 선비행장 은 어머니에 대한 율곡의 감회를 잘 나타낸 글이다. 사임당의 행적에대해서는 후세 사람들도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숙종 때의 학자이며 정치가인 권상하는 “아아 율곡은 과연 백대의 스승이라. 이제 그 어머님의 필적을 보고나메 그 경모되는 바가 과연 어떻다 할꼬” 라고 찬탄했으며 사계 김장생의 후손인 김진규는 “내가 들으니 부인은 시에도 밝고 예법에도 익숙하였다. 율곡의 어진 덕도 실상은 그 어머니의 태교로 된 것이다” 라고 말하였다. 이밖에도 숙종 때 송상기는 “부인의 정숙한 덕과 아름다운 행실은 지금까지 이야기하는 이들이 곤범의 으뜸이라고 일컫거니와 하물며 율곡을 아들로 둔데에 있어서야 선생은 백세의 사표이니 세상이 어찌 그 분을 본받으면서 어찌 그 분을 본받으면서 그 스승의 어버이를 공경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냐”라고 말하였다.
사임당은 효성 지극한 자식으로서의 도리를 다하였으며, 율곡이이와 같은 대학자를 배출할 수 있었던 유교적 소양과 자질을 갖춘 조선시대 어머니의 표상이며, 또한 남편을 잘 섬기고 때로는 그를 인도했던 지혜로운 부덕을 겸비한 인물이었다. 그리고 시, 서, 화 에도 각별한 재주가 있어 여성예술가로서 당대뿐만 아니라 지금에도 높이 존경받는 여성이기에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여성상의 본보기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책.
오시림 , 「신사임당」, 성문사 , 1992
박인수 , 「신사임당의 생애와 교훈」 , 박영문고 , 1979
안영 , 「신사임당」 , 동이 , 2007
논문.
김남현 , 「신사임당 의 시, 서, 화」 , 강릉시 관동대학교 영동문화연구소 , 2006
이은해 , 「신사임당 연구」, 대구대학교 사범대학교 국어교육과 , 2003
김남홍 , 「신사임당의 교육관과 예술관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7
김지영 , 「신사임당의 초충도에 나타난 표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2008
박성원 , 「사임당문학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1979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10.12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8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