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춘향전 갈등구조][춘향전 북한문학사]춘향전의 시대적 배경, 춘향전의 특징, 춘향전의 줄거리, 춘향전의 등장인물, 춘향전의 시대반영, 춘향전의 갈등구조, 춘향전의 북한문학사, 춘향전 관련 제언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춘향전][춘향전 갈등구조][춘향전 북한문학사]춘향전의 시대적 배경, 춘향전의 특징, 춘향전의 줄거리, 춘향전의 등장인물, 춘향전의 시대반영, 춘향전의 갈등구조, 춘향전의 북한문학사, 춘향전 관련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춘향전의 시대적 배경

Ⅲ. 춘향전의 특징

Ⅳ. 춘향전의 줄거리

Ⅴ. 춘향전의 등장인물
1. 춘향
2. 이도령과 방자
3. 이도령 부모와 월매, 변학도

Ⅵ. 춘향전의 시대반영

Ⅶ. 춘향전의 갈등구조
1. 춘향과 변학도의 갈등
2. 이몽룡과 변학도의 갈등
3. 춘향과 사회와의 갈등

Ⅷ. 춘향전의 북한문학사
1. 북한문학사에서의 춘향전
2. 북한식 춘향전의 특징
1) 계급전형적 인물 형상화
2) 리얼리즘 원칙에 따른 사건 구성(실학파적 구성)
3) 우리식의 강조
4) 문화어 표기 원칙에 따른 한자, 한시 배제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꽃이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양반의 아들인 이몽룡과 천한 신분인 퇴기의 딸 춘향사이의 사랑을 주제로 하면서 사랑은 신분관계로는 갈라놓을 수 없다는 ‘종자’를 밝히고 있다는 것이다. <춘향전>은 이러한 종자를 형상으로 꽃피우는 과정을 통하여 이조 말기 우리나라 사회에서의 사회적 불평등을 비판하고 남녀 청년들이 재산과 신분에 상관없이 서로 사랑할 수 있다는 진보적인 사랑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춘향전>의 한계성에 대해서도 비판하고 있다.
2. 북한식 춘향전의 특징
1) 계급전형적 인물 형상화
북한 문학의 존립 이유는 투쟁에의 복무에 잇다. 김일성은 교시 <우리혁명에서의 문학예술의 임무>에서 문학예술의 기준에 대해 “우리의 새로운 민주주의 적 예술은 반드시 깊은 사상성을 가져야 하며 인민에게 투쟁의 무기로서 복무하여야 합니다. 높은 예술성과 결합된 고상한 사상성 이것은 예술작품의 가치를 규정함에 있어 유일하고 정당한 기준입니다.”고 하여 ‘투쟁의 무기로 복무’하는 문학예술, 그리고 사상성과 예술성의 결합만이 작품의 가치를 규정하는 기준임을 분명히 하였다. 문학을 통해 투쟁으로 나서게 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이 인물이다. 즉 작중인물들의 형상창조를 통해 계급적 모순을 체험하게 하고 이를 보여줌으로써 투쟁에 나서게 하는 것이다. 북한 <춘향전>의 인물형상화의 또 다른 특징은 <춘향전>의 인물 가운데에 춘향, 월매, 방자, 향단 등의 인물들이 판소리에서 보여주었던 해학성보다는 윤리적이면서 진지한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는 것이다. 동시에 이들은 당대 상황 속에 무기력하게 좌절만 하지 않으면서 적극적으로 현실에 개입하여 춘향을 위해 탄원하는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하층민을 적극적이면서 윤리성을 지닌 인물로 윤색하여 하층민의 건강성을 부각시킴으로서 역사의 주체로서 인민들을 강조하고 있다. 춘향을 비롯해 이몽룡 등 계급 전형적 인물들의 형상화로 인민들의 투쟁심을 불러일으키게 하고 더 나아가 묵시적인 그들만의 세계를 강조하기 위한 윤색을 하였다.
2) 리얼리즘 원칙에 따른 사건 구성(실학파적 구성)
인물형상화를 통한 계급갈등의 극대화와 더불어 북한 <춘향전>윤색에 드러난 특색은 사실성의 확대에 있다. 전술했듯이 북한에서는 <춘향전>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만 내린 것은 아니다. 특히 부분적인 설정에 따른 사실성의 결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북한에서는 <춘향전>의 비현실적인 사건이나 전후 문맥이 맞지 않는 부분을 적극적으로 고쳐 사실감을 높였다. 예를 들어 춘향이가 기생점고를 할 때 원본에서는 부임하는 날 바로 기생이 되었지만, 현실에 맞지 않다하여 ‘체면을 생각하여 육방관속 점고 후 송사를 먼저 처리한 다음에 기생점고’라 바꾸었다. 이 밖에 춘향이의 꿈풀이도 맞지 않다하여 이 부분은 삭제를 하였다.
3) 우리식의 강조
북한 <춘향전>의 윤색에서 나타난 또 다른 특성은 북한에서 말하는 ‘우리식’화이다. 고전소설에서는 흔히 인물됨이나 상황을 극단적으로 묘사하기 위하여 상투적으로 사용하는 인물이나 표현법이 있는데, 윤색에서는 이러한 표현법은 일체 사라지고 정통의 인물이나 지명에서 인물을 차용하고 있다. 이는 일반인들에게는 크게 와 닿지 않는다하여 인민들이 쉽게 알 수 있는 인물이나 지명을 사용하는 표현법을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자면, 무릉도원 홍류수를 지리산골짝의 홍류동 붉은 내물이라 표현하고 맹산군의 눈썹을 강계포수의 눈썹이 이라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인명을 중국인물 대신 우리 역사의 인물로 대신한 것은 <춘향전>의 민족성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였다. 인명뿐만 아니라 묘사에서도 우리 식을 따르고 있다.
4) 문화어 표기 원칙에 따른 한자, 한시 배제
<열녀춘향수절가>에는 여러 편의 한시가 사용되어 극적인 긴장감이나 묘사의 효과를 기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춘향전>에서는 한자의 사용이 극히 제한되어 있다. 철저히 한문을 피하고 순 우리말로 대치하고 어쩔 수 없는 한자어도 대치하고 풀어서 서술하거나 괄호 설명의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북한이 1966년부터 시작된 ‘말다듬기사업’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남한과 빗대어 생각해보면 오히려 북한이 우리문화와 말과 글을 더 잘 계승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
Ⅸ. 결론 및 제언
춘향전은 생성이후 소설정착본, 판소리창본, 창극연희본의 3가지로 분류되고 있다. 소설과 창본의 경우 단장의 명시 여부 이외에는 명확한 변별성을 찾기 어려우며, 사설이 일반 고전소설과 달리 많은 시가류가 삽입되어 짜여졌으며, 역사적 형성과정에서 현장성을 바탕으로 한 창자들의 연희에 의해 미의식이 드러난 구전 판소리의 정착이라는 점에서 이 춘향전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실학사상이나 기타 근대적인 소설과 사상이 대두되기 이전의 그 시대적인 민중정신으로 말미암아 성장하고 있던 민중들에게 체제에 대한 저항적인 의식을 담고 있는 것이 춘향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춘향전은 적층문학이자 성장문학으로 그 시대의 사회상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의식, 무의식적인 심리문학이다. 의식이 없는 사회에서 의식이 있는 사회로의 변화,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근대사회가 와야만 한다는 것을 알았기에 이 소설은 지금까지도 인기 있고 많은 사람들에게로 전파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작품에서 이도령과 춘향이의 깨인 사람들의 전형은 당시 계급타파의 원칙은 깨인 서민과 양반들의 생각이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며 모든 민중들도 양반과 같이 한 번 잘살아 보자는 욕망의 표현으로 나왔던 것이다.
춘향전의 감동은 온갖 고통을 이겨내고 간절한 소망을 이루어내는 흐뭇함에 있다. 춘향은 성취의욕과 자기결단력이 감하며 무엇보다도 강인한 성격을 가진 인물로서 한국적인 민중광과 함께 여인상의 한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금동욱, 춘향전 연구
금의정, 고전소설연구, 화경고전문학연구회
설성경(1994), 춘향전의 통시적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이사원·주석, 춘향전, 정음사
전경욱(1990), 춘향전의 사설 형성 원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정광수, 춘향전, 서울 : 민중서관
장자백, 김진영·김현주 역주(1996), 춘향가, 박이정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10.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83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