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공간개념][집짓기 방법][아파트의 비교][한옥 관련 제언]한옥의 성격, 한옥의 특색, 한옥의 구조적 분류, 한옥의 구분, 한옥의 공간개념, 한옥의 집짓기 방법, 한옥과 아파트의 비교, 한옥 관련 제언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옥][공간개념][집짓기 방법][아파트의 비교][한옥 관련 제언]한옥의 성격, 한옥의 특색, 한옥의 구조적 분류, 한옥의 구분, 한옥의 공간개념, 한옥의 집짓기 방법, 한옥과 아파트의 비교, 한옥 관련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옥의 성격
1. 한옥은 겨울과 여름을 모두 수용한다
2. 한옥은 개방적 구성이다
3. 한옥은 외부공간과 자연을 수용한다
4. 주거공간은 여성적인 공간이다

Ⅲ. 한옥의 특색
1. 한옥의 열림과 닫힘 구조
2. 한옥의 안과 밖
3. 한옥의 낮과 밤
4. 한옥의 허와 실
5. 한옥의 따뜻함과 시원함
6. 한옥의 강함과 약함
1) 관념적인 구조
2) 물리적인 구조

Ⅳ. 한옥의 구조적 분류
1. 안채
2. 사랑채
3. 사당채
4. 행랑채
5. 별당채
6. 곶간채

Ⅴ. 한옥의 구분
1. 상류 주택
2. 민가

Ⅵ. 한옥의 공간개념

Ⅶ. 한옥의 집짓기 방법
1. 조옥(造屋)
2. 반드시 피해야 할 여러 가지 일들
3. 살림집을 꾸미는 법도
4. 목재

Ⅷ. 한옥과 아파트의 비교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공간이 된다고 한다. 우리 나라의 경우 지리적 특징과 기후로 인하여 지역 색이 강하여 북방지역에서는 마루라는 공간이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조선시대 모든 것의 중심인 서울지역의 한옥구조에서는 마루가 존재하였기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생각한다. 마루는 구조상 그 집안의 중심에 위치해 있기에 집안의 모든 일을 처리할 때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옥마을에서 순정효 황후 윤씨 친가의 마루를 보았을 때, 그 당시 양반의 권세를 실감할 수 있었다. 방과 연결되어 있는 마루는 문을 위로 매달아 놓으면 그 경계선이 사라지고, 그 차분한 느낌을 주는 넓은 공간에서는 과거에 대단한 무엇이 일어났을 것이란 생각을 들게 한다. 아파트에서의 마루는 방과 방을 연결해 주고, 그 구성원들이 만날 수 있게 하는 장소이다. 과거 한옥이 대가족으로 이루어졌다면 지금의 아파트는 핵가족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마루라는 공간은 더욱 유용하게 쓰여질 수 있다. 가족끼리 TV를 본다거나 함께 그 무엇을 논의할 때 쓸 수 있는 공간이기에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지금의 공간이 훨씬 좋을 수도 있으나, 각자 방에서 생활하고 밖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집안에서보다 많기 때문에 생각했던 것만큼 유용하지는 않을 수 있다.
한옥에서는 남자와 여자가 거주하는 공간이 나뉘어져있었다. 그 집안의 주인은 사랑채에서 생활하고, 딸들도 따로 건물을 만들어 생활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조선시대가 가부장제를 비롯한 철저한 신분제 사회였기에 옷차림에서의 차이와 마찬가지로 가옥구조에서도 구분이 되어있는 것 같다. 건물이 나누어져 있기에 집안에서도 각자의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다. 주인의 사랑채는 남성으로써의 권위와 강렬함이 느껴졌다. 양반들이 갖추어야 하는 붓, 그림, 먹, 벼루를 비롯하여 나무로 만든 침대( 평상)가 놓여져 있었고 집안을 살펴볼 수 있도록 약간은 개방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그 시대가 양반층 남성에게 요구하는 위치가 집안에서의 사랑채와 비슷하다고 생각된다. 따로 떨어져 있는 딸들의 방은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갖추고 있었고 집안에서도 눈에 잘 띄지 않는 안쪽에 위치해 있었다. 조선시대 여성들을 찍은 사진을 보면 외출할 때 장옷을 입는다. 장옷은 중동지방 여성들이 밖에 나올 때 얼굴을 가리는 것처럼 자신의 얼굴을 남에게 보이지 않기 위함이다. 특히 양반가의 여식인 경우에는 더욱 엄격하게 지켜졌을 것이다. 결혼할 때도 상대편 남성과 대면하지 않는다는 것을 고려할 때 여성 특히 딸 방이 건물에서 떨어져 있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아들의 방은 건물에 있다. 남성위주의 조선사회에서 그 집안이 세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거를 보아야 했고, 그 과거는 남성들의 전유물이다. 모든 중요한 결정이 남성들의 몫이기에 거주하는 방도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아파트에서도 각자 자신만의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물론 경제적 수준이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올라갔기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기도 하지만 가족수가 적어지고 각자의 생활을 존중해주는 것이 옳은 것이라는 사회적 동의나 흐름이 있었기에 더욱 그쪽으로 가려 하는 것 같다. 하지만 아파트에서의 각자의 공간은 조선시대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선 사회적으로 가부장적 모습을 지양하려 하고, 남녀간 차별을 없애려 하기에 방은 사회적 이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아버지의 위치도 집안을 다스려야 한다기보다는 함께 생활해 나아가야 한다는 측면이 더욱 강조되는 것 같다.
부엌살림과 화덕이 또한 한옥과 아파트를 구분해 준다. 조선시대는 신분제 사회이기에 그 집안의 구성원은 나름대로의 일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그 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장소도 나뉘어져 있다. 그래서 부엌살림과 불을 때는 화덕이 독립되어 있다. 지금의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매우 불편하다고 생각되지만 그 당시에는 집안 구성원들이 각자 일을 해야 하기에 더 효율적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아파트에서는 모든 것이 집안에서 해결된다. 난방도 매우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고 부엌도 방 과 마루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기술의 발전 덕분이기도 하지만 사회생활을 해야 하고 시간을 아껴야 하는 사회적 요구로 인한 변화가 아닌가 싶다. 한옥에서 독립된 구조는 각 영역마다 책임질 사람이 존재하지만 현대에서는 집안일을 하는 것이 정해져 있지 않고 사회도 그러한 모습을 요구하고 있지는 않다. 집안 구성원 모두가 가사 일을 수행할 수 있고 있어야 하기에 살림구조는 조선시대에 비해 개방적이고 집안에서도 중요하고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효율적으로 일을 처리하기 위해서 구조가 단순화되어야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러한 구조를 강요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Ⅸ. 결론 및 제언
우리의 전통 한옥은 오랜 시간동안 우리 땅에서 살아오면서 습득한 조상들의 삶의 지혜가 포함되어있는 건축양식이며 가장 자연 친화적인 방식이다. 한옥에서 알 수 있는 과학적인 바탕은 태양고도에 따른 태양광선의 조절을 위한 처마의 길이, 높은 기단, 정원의 배치, 건축물의 재료인 목재와 황토, 온돌-마루, 지역에 따라 다른 가옥의 배치형태, 마을이나 가옥의 배치는 임산배수형의 남향 방향등 여러 가지가 적용되어있다.
우리나라의 기후의 특징인 동해안기후는 같은 위도상의 다른 나라보다 더 더운 여름과 더 추운 겨울을 견디도록 강요 당해왔다. 이런 기후 조건에 알맞은 가장 과학적인 방법으로 한옥이 지어졌다는 사실을 이해하면, 현대에서도 강제적인 냉난방법을 이용하지 않고도 쾌적하게 살아갈 수 있는 가장 좋은 가옥은 우리의 한옥이라는 사실을 잘 알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새로운 한옥을 위한 건축인 모임, 한옥에 살어리랏다, 돌베개, 2007
신영훈, 한옥의 향기(아름다운 종가집 구경), 대원사, 2000
이지연·김주아, 한옥의 보전을 통한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 2007
이심, 한옥의재발견, 2002
유영희 외, 1930년대 이후 서울의 도시한옥 주공간과 주생활 의 변화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5
정민자, (아름지기의)한옥 짓는 이야기 : 전통미와 실용성을 조화시킨 우리시대의 한옥짓기, 중앙M&B, 2003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10.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00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