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언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북한의 언어에 대하여
2 남과 북의 언어를 어떻게 볼 것인가?
3-1 북한의 언어정책은 어떤 과정을 밟아왔는가?(1)
3-2 북한의 언어정책은 어떤 과정을 밟아왔는가?(2)
3-3 북한의 언어정책은 어떤 과정을 밟아왔는가?(3)
4-1 북한의 문화어의 정책(1)
4-2 북한의 문화어의 정책(2)
5-1 북한의 한자.한문교육(1)
5-2 북한의 한자.한문교육(2)
6-1 북한의 어휘정리 사업(1)
6-2 북한의 어휘정리 사업(2)
6-3 북한의 어휘정리 사업(3)
6-4 북한의 어휘정리 사업(4)
7 남북의 언어-음운편
8 남북의 언어-문법편
9-1 남북의 언어-어휘편(1)
9-2 남북의 언어-어휘편(2)
9-3 남북의 언어-어휘편(3)
10-1 남북의 언어-문체편 (1)
10-2 남북의 언어-문체편 (2)
11 남북언어 이질화와 동질성?
12 언어 이질화에 대한 단상!!

본문내용

한글 전용 정책(1946년)- 모든 매체에서 모든 한자를 배격하고 순 한글만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한자나 외래어 등의 사대주의적 언어 요소를 배격
1948년 10월 2일-내각 제4차회의에서 교육성에 조선어문연구회를 설치
1949년-한자 폐지, 한글 전용 정책 실시(초등 의무교육제를 실시하면서)
1949년- 월간지 「조선어연구」를 창간(조선어문연구회)/조선어문법」(조선어문연구회1964년 1월 3일 -김일성 교시「조선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문제」
1966 5월 14일 -김일성 교시「조선어의 민족적 특성을 옳게 살려 나갈 데 대하여」
- 문화어 제시(평양말 중심): 외래어 제거, 방언에서 좋은 말 찾아쓰기, 지명 과 사과·벼 이름도 고유어로 다듬기, 학술용어는 우리말로 다듬되 의미가 통하지 않을 정도로 풀어쓰지 말기, 한자어와 고유어의 뜻이 다를 경우 둘 다 사용하기, 표준어 대신 혁명의 수도 평양말을 기준 으로 발전시킨 말을 문화어로 부르기, 고전을 번역할 때 어려운 한자말을 현대어로 바꾸기, 가로쓰기와 인쇄의 기계화 실천하기, 한 눈에 읽기 쉽게 단어를 붙여쓰기, 조선말규범집에 따라 자모의 수는 24자보다 40자로 하기) 등 구체적인 주제에 대해 언급
문화어란?
문화어는 사회주의적 민족어의 전형이다.
노동계급의 계급적 지향과 생활감정에 맞는 언어이다.
전체 인민이 규범으로 풍부하게 발전시킨 민족어이다.
근로 인민대중이 목적 의식적으로 건설한,혁명적으로 세련되고 문화적으로 다듬어진 언어이다.
당과 수령의 '주체적 언어 사상'을 구현한 언어이다.
혁명의 붉은 수도, 평양을 중심지로 발달한 가장 아름다운 언어이다. =>언어를 혁명과 건설의 힘있는 무기라고 생각하는 유물론적(唯物論的) 언어관에 근거하여 언어 정책을 수립하였으며, 이렇게 수립된 정책을 당의 통제하에 획일적으로 강력하게 시행하여 왔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4.09.17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710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