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론- 향가 배경설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동요(薯童謠)
2. 혜성가(彗星歌)
3. 풍요(風謠)
4. 원왕생가(願往生歌)
5.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6. 헌화가(獻花歌)
7. 원가(怨歌)
8. 제망매가(祭亡妹歌)
9. 도솔가(兜率歌)
10.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11. 안민가(安民歌)
12. 도천수대비가(禱千手大悲歌)
13. 우적가(遇賊歌)
14. 처용가(處容歌)
15. 보현시원가(普賢十願歌)
16. 도이장가(悼二將歌)

본문내용

.
②이때에 대왕이 개운포에서 놀다가(제사를 지내고) 돌아오려 하고 낮에 물가에 쉬고 있는데,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자욱해서 길을 잃었다.
③왕이 괴이히 여겨 좌우 신하들에게 물으니 일관이 아뢰기를 “이것은 동해용의 조화이니 마땅히 좋을 일을 해주어서 풀어야 할 것입니다.”라 했다.
④이에 왕은 일을 맡은 관원에게 명하여 용을 위하여 근처에 절을 세우도록 했다.
⑤왕의 명령이 내려지자 구름이 개이고 안개가 흩어졌으므로 이로 말미암아 지명을 개운포라 하였다.
⑥동해용이 기뻐해서 아들 일곱을 거느리고 왕의 앞에 나타나 덕을 찬양하여 춤을 추고 음악을 연주하였다.
⑦그 중의 한 아들이 왕을 따라 서울에 들어가서 왕의 정사를 보좌하였는데 그의 이름을 처용이라 하였다.
⑧왕은 아름다운 여자를 그에게 아내로 주고 그 뜻을 잡아두고자 또 급간이란 관직을 주었다.
⑨그의 아내가 무척 아름다웠기 때문에 역신이 흠모해서 사람으로 변하여 밤에 그 집에 가서 몰래 동침하였다.
⑩처용이 밖에서 집에 돌아와 잠자리에 두 사람이 있는 것을 보고 이에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고 물러났다.
⑪그 때 역신이 형체를 나타내어 처용의 앞에 꿇어 앉아 “내가 공의 아내를 사모하여 지금 범하였는데도 공은 노여움을 나타내지 않으니 감동하여 아름답게 여기는 바입니다. 맹세코 지금 이후부터는 공의 형용을 그린 것만 보아도 그 문에 들어가지 않겠습니다.”고 하였다.
⑫이로 인하여 나라 사람들은 처용의 형상을 문에 그려 붙이어서 사귀를 물리치고 경사스러움을 맞아들이었다.
15. 보현시원가(普賢十願歌)
①이 향가는 균여가 불교의 대중화를 위하여 《화염경》의 보현십행원의 하나 하나에 향기 한 수씩을 짓고, 11장은 그 결론으로 된 사뇌가이다.
②고려 제4대 광종 연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이 작품은 경남 합천 해인사 장판으로 전하는 《균여전》에 향찰로 기록되어 있다.
③이 노래는 병든 자가 암송하여 병이 나았고 사람들의 입으로 전파되어 담벼락에 종종 쓰였다는 <균여전>의 기록으로 보아 주력과 신이한 영험을 지녔던 작품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러나 불서의 내용을 그대로 옮긴 것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④균여와 같은 시대 사람이며 그의 <원왕가>를 한문으로 번역한 최행귀는 균여의 향기를 중국의 사부를 능가하는 작품으로 평가하였다.
⑤송나라의 군신들에게까지 전파되어 호평을 받았으며, 그들은 균여를 일컬어 “진실로 한 부처가 세상에 오신 것”이라고 칭송하였다고 한다.
16. 도이장가(悼二將歌)
①예종이 1120년(예종15) 왕이 서경(西京:平壤)에 행차하여 팔관회(八關會)가 열렸을 때, 그 자리에 개국공신 김락(金樂)과 신숭겸(申崇謙)의 가상희(假像戱: 가면극)를 보고, 왕이 두 장군에 대한 추모의 정을 이기지 못하여 지은 노래이다.
②신숭겸과 김낙은 태조 왕건이 견훤과 싸우다가 궁지에 몰렸을 때 왕건을 대신해서 죽은 공신이다.
③그 공을 높이 치하해서 태조 때부터 추모하는 행사를 벌였다.
④태조가 팔관회를 열고 여러 신하와 함께 즐기다가 두 공신이 그 자리에 없는 것을 애석하게 여겨, 풀로 두 공신의 허수아비를 만들어 복식을 갖추고 자리에 앉게 했다고 한다.
⑤그랬더니 두 공신이 술을 받아 마시기도 하고, 생시와 같이 일어나서 춤을 추었다고 한다.
⑥이러한 설명을 듣고 예종이 감격해서 한시와 함께 이 작품을 지었다고 한다.
⑦이러한 서술은 누가 두 공신의 가면을 쓰고 허수아비춤을 추는 놀이를 했음을 알려 준다.
⑧그런 풍속은 신라 이래로 오랜 유래를 가진 것이었는데, 두 공신의 일을 연유로 해서 팔관회의 절차에 편입된 다음에 예종 때에도 되풀이되었다고 보면 쉽게 이해가 간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0.28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05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