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건축과 관광해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2) 초석(礎石)
3) 기둥(柱)
4) 보
5) 도리(道里)
6) 대공(臺工)
7) 처마
8) 가구형식(架構形式)
9) 지붕
10) 기와
11) 벽체(壁體)
12) 바닥
13) 창호(窓戶)
14) 천장
15) 단청(丹靑)
16) 대문(大門)

3. 전통건축의 양식(樣式)
1) 주심포양식(柱心包樣式)
2) 다포양식(多包樣式)
3) 익공양식(翼工樣式)
4) 절충양식(折衷樣式)
5) 소로수장(小累修粧)집
6) 장혀수장(長舌修粧)집
7) 민도리집

4. 주거건축(住居建築)
1) 주택의 변천
(1) 고구려의 주택
(2) 백제의 주택
(3) 신라 및 통일신라의 주택
(4) 고려시대의 주택
2) 조선시대의 주택
(1)조선시대 주택형성의 요인
(2)조선시대 주택의 분류
(3)조선시대의 상류주택

5. 한국전통건축의 공간성
1) 배치.평면의 특성
2) 구조상의 특성
3) 공간적인 특성

본문내용

나라의 서긍(徐兢)이 저술한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과 조선 후기의 유학자 한재렴이 저술한 고려고도징(高麗古都徵)등이 있다.
기록에 의하면, 개성의 민가는 산이나 언덕을 따라 세워지고 대부분 초가이며, 귀족은 송나라 귀족과 별 차이가 없는 침실생활을 하였고 건물의 위치, 규모, 형태 등은 풍수지리설에 입각하여 결정하는데 2층 이상의 높은 집을 짓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상류주택은 지붕을 기와로 얹고 벽에는 회칠을 하였으며 바닥은 주로 마루바닥이었고 서민주택은 초가가 대부분으로 기둥은 적고 벽은 흙담으로 만들었으며 난방은 온돌이 대부분이었다고 한다.
이같은 기록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주택은 풍수지리의 영향을 매우 강하게 받았으며, 주택의 규모나 세부장식은 신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귀족계층은 주로 마루 생활을 하였고 일반 서민들은 온돌을 기본으로 생활을 영위하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2) 조선시대의 주택
(1)조선시대 주택형성의 요인
① 가사제한(家舍制限)
조선시대에는 양반(兩班). 중인(中人), 이교(吏校), 양인(良人), 천인(賤人)등 5계급으로 신분을 구분하였으며, 신분에 따라서 주택의 규모와 크기 그리고 장식 등을 법으로 명시해서 주택을 함부로 짓는 것을 규제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이나 경국대전, 대전회통 등의 문헌기록에 의하면 대군(大君)의 60칸에서부터 서인(庶人)10칸에 이르기까지 주택을 형성하는 주요 부재의 크기와 장식부재의 사용 등을 제한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상공업의 발달과 지배체제의 붕괴로 인하여 부를 축적한 지방의 중인계급에서 소위 부농계층의 호화주택을 지으면서 조선 후기에는 이러한 가사제한의 효력이 많이 약화된다.
② 유교사상(儒敎思想)
조선왕조의 사상적 기본이 되었던 유교의 기본 강령인 조상숭배와 남녀유별, 장유유서 등은 주택의 배치에 많은 영향을 미쳐서 가묘(家廟)의 설치와 사랑채, 안채, 행랑채, 등 한 집안에서도 성별과 신분에 따라 생활하는 공간을 구분하게 되었다.
③ 풍수지리(風水地理)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동양의 제 민족들의 중요한 사상적 기반을 이루고 있는 것이 음양오행설이다. 음양오행설은 음양설과 오행설이 하나로 합쳐진 것으로 음양설은 천지간의 사물을 음과 양으로 대별하여 이들이 서로 순환, 조화하여 우주와 인생의 생성발전을 이룩한다는 것이고, 오행설은 화(火), 수(水), 목(木), 금(金), 토(土)의 다섯가지 기본요소에 의해 서로 상생(相生)하거나 상극(相剋)하여 구체화된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양오행설이 뒷받침이 되어 발달한 것이 풍수지리설인데, 풍수지리설은 소박한 지모적신앙(地母的信仰)과 음양오행설이 결부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지하의 생기(生氣)가 순환하는 통로가 지맥(地脈)이고 생기가 집중되는 곳이 혈(穴)인데 이곳에 묘자리나 택지를 정하면 이 생기를 받아들여 부귀영화를 누린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조선시대에는 마을의 입지에서부터 집의 좌향(坐向), 심지어는 문(門), 방(房), 주(廚), 측( )을 주택의 사주(四柱)라 하여 각 방의 위치까지도 풍수의 힘을 빌리기도 하였다.
(2)조선시대 주택의 분류
① 계층적 분류
조선시대의 주택은 사회신분제도에 의하여 서민주택, 중류주택, 상류주택으로 분류할 수 있다.서민주택은 일반 평민의 주택으로 이들은 농(農), 공(工), 상(商)에 종사하고 조세와 군역의 의무를 지는 계층의 집으로서, 신분상으로는 물론 경제적으로도 빈곤하여 자연히 주택도 다른 계층보다 빈약하였다.
중류주택은 중인계급의 주택을 말하는데, 서민주택과 상류주택의 성격과 특성을 동시에 지니는 양면성을 갖고 있다. 중류주택은 현존 유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성격과 특성을 논하기는 불가능하나, 다만 현존 유구를 통하여 서민주택과 유사한 평면형을 구성하면서 기타의 부속공간(사랑채·행랑채)을 더한 것과 안채를 대지의 경계선에 인접시키지 않고 담장과 분리되게 건축한 것을 볼 수 있다.
상류주택은 양반이나 이에 준하는 신분을 가진 사람들의 주택으로, 서민주택과는 달리 서울(궁 및 문화중심권) 지향적인 주택으로 비교적 지방색이 엷다.
평면의 형상에 따라 일(日)자형, 월(月)자형, 구(口)자형, 용(用)자형 등으로 나뉘는 길상문자형을 선호 하였는데, 지역과 환경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가 있었다.
② 지역적 분류
지역적인 분류는 우리나라의 지형조건과 이에 따른 자연환경을 기준으로 다양하게 분류된다. 산간지역, 평야지역, 해안지역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며, 함경도, 평안도, 중부, 남부, 제주도 지역 등 지방별로 구분하기도 한다.
지방에 따른 평면의 특징은 남쪽지방으로 내려 갈수록 개방공간인 마루나 대청의 분포가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남쪽의 기후조건이 평면구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된다, 지역적 구분은 특히 서민주택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일반적인 분류는 다음과 같다.
③ 형태나 재료에 따른 분류
서민주택은 지붕의 구조와 재료에 따라 초가집·너와집·굴피집·띠집·까치구멍집 등으로, 벽체의 구조와 재료에 따라 귀틀집·투막집·토담집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3)조선시대의 상류주택
상류주택은 양반과 양반에 임용될 자격을 갖춘 사람의 주택을 지칭한다. 상류주택은 대문채, 사랑채, 안채, 사당 등 여러채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배치형식은 구자형의 배치형태를 기본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평면이나 배치형태는 기후적인 영향이나 문화성에 따라 지역적인 특색을 보이고 있다.
4. 한국전통건축의 공간성
1) 배치.평면의 특성
(1) 채와 채의 배치가 비대칭의 대칭 또는 비대칭균형을 이루고 있다.
(2) 채(棟)와 간(間)의 분화에 특성이 있다.
2) 구조상의 특성
(1) 목조가구식구조로서 단측구조로 일관하고 있다.
(2) 기단의 형성이 뚜렸하다.
(3) 척도사용에 있어서의 융통성이 크다.
(4) 바닥구조의 특성
(5) 장부와의 맞춤으로 부재의 접합을 일관.
3) 공간적인 특성
(1) 외부공간은 선적구성을 하고 있으나 내부공간은 면적인 구성을 이루고 있다.
(2) 외적으로는 폐쇄성을 가지나 내적으로는 개방성을 가진다.
(3) 자연과의 조화를 이룬다.
  • 가격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3.29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07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