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사문학교육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서사의 개념과 범위
1.서사의 개념
2. 서사의 범위
1)서사문학의 범위
Ⅲ. 소설의 개념, 특성
1.소설의 개념
2.소설의 특성
3.소설의 요소와 원리
4.고전소설과 현대소설
Ⅳ. 학교 현장의 소설 교육
1.교재수록현황
2.교사의 관점
1)7차 교육과정 문학교육 목표에 대한 인식 및 현장 적용 실태
2)소설 수업에서의 교과서 활용 실태
3)소설 수업의 지도 내용에 관한 교사 인식 및 지도 실태
4)소설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교사 인식과 지도 실태
3.학생의 관점
1)7차 교육과정 문학교육 목표에 대한 인식 및 현장 적용 실태
2)학생의 소설 수업에 대한 흥미
3)소설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에 관한 학생 인식
4.소설 교수-학습의 평가

Ⅴ. 문제점 및 나아가야 할 방향
1.소설 교육에 대한 인식
2.소설 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3.교과서 수록 작품
4.소설 교수-학습의 평가
Ⅵ. 결론

본문내용

당한 어려움이 따르기에 실질적으로 교사가 할 수 있는 일은 학생들의 요구 사항에 귀를 기울이고자 노력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어떠한 교수-학습 방법을 원하는지 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서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를 알기위해 주기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업 방법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3.교과서 수록 작품
교과서에 수록되어있는 소설 작품들의 선정이나 수록 방식과 관련해서도 몇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작품을 선택할 때 지식 전달 위주의 작품을 선택한다는 것이 문제점이다. 「문학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고등학교 소설 교육을 중심으로」, 아주대 교육대학원, 2006에서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학생들의 체험이나 흥미, 정신적·언어적 능력을 바탕으로 작품을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문학사적으로 중요하다는 작품들을 교과서의 제재로 선정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제재들은 교사중심, 암기 위주의 교육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3학년 한국 현대 문학의 흐름과 같은 단원에서는 문학 작품을 단지 지식적으로 암기해야 하는 대상으로 만들어 버렸다는 한계가 있다. 다양한 작품과 한국 현대 문학사의 흐름에 대해 이해시키고자 하는 취지는 좋았으나, 이러한 교육은 앞서 지적했듯이 학생들이 작품의 내용도 알지 못하고, 작품이 본인에게 아무런 감동도 주지 못하는데도 작품의 제목이나 작가, 문학사적 의의만 지식적으로 암기하고 있는 기형적인 현상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과서를 제작할 때, 조금 더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작품들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실제 작품을 수록하여 직접 읽고, 향유하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항상 숙지해야 할 것이다.
4.소설 교수-학습의 평가
현재 소설 교육에서는 약 60~70퍼센트 정도의 평가가 지필고사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필고사는 선택형 문항이나 서답형 문항이나 이미 답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교수자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소설교육이 수용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교수자 중심의 평가를 할 수밖에 없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학생들이 단순히 소설에 대해 습득하는 것만으로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습자가 교수학습 내용이나 방법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펼칠 수 없다는 것이 현재 평가 방식의 문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소설에 대한 이해·감상과 창작을 연계지도 함으로써 조금이나마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소설 교육이 단순히 작품을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비평적 텍스트 혹은 소설의 창작으로까지 이어진다면, 학생들은 평가의 주체로 발돋움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창작교육이 도입된다면 학생들은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평가하여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완성된 서로의 작품을 돌려 읽으며 학생과 학생간의 평가가 가능해기 때문이다.
Ⅵ 결론
이제까지 서사 문학의 교육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서사는 어떤 사실이나 사건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술한 것을 뜻하고 서사의 개념에 대한 정의는 이 외에도 학자들마다 다양한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서사교육론』에 따르면 서사는 경험과 허구의 구분을 서사의 행위자의 입장에서 해석해서 서술주체와 행위주체의 관계, 서사매체를 기준으로, 서사의 연행적 성격에 따라 분류할 수 있고 범주를 좁혀 서사 문학의 범위를 살펴보면 이병기의 2분법에 따라 설화·소설·내간·일기·기행·잡문 등의 ‘산문’을 서사문학으로, 장덕순의 3분법을 따르면 설화·소설·수필 등이 ‘서사적 양식’으로, 조동일의 4분법 체계에 따르면 서사무가·서사민요·판소리·신화·전설·민담·소설이 ‘서사’로 분류할 수 있다. 이어서 서사문학의 대표적 갈래인 소설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았다. 소설이란 ‘작자가 자기의 보는 바 현실적 인생을 구성하여 서술한 창조적 이야기’를 말한다. 소설은 서사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소설은 허구적인 글이고 플롯이라는 소설적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소설의 요소와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고 고전소설과 현대소설을 비교대조하여 분석해보았으며 그 다음으로 논문을 바탕으로 학교 현장의 소설 교육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마지막으로 우리의 소설 교육이 지닌 문제점과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할 지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였다.
현재의 서사 교육은 앞서 말했듯이 소설이 서사의 대표 격으로 인식되어 소설 교육에 대한 연구와 실행이 중점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많은 교사와 학생들이 소설을 교과서 내의 국어 학습의 ‘지식’적 도구로 받아들이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소설을 비롯한 서사 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식에서 벗어나 진정한 문학을 느끼고 감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평가와 교수-학습 방법에도 변화를 주고 이 과정에서 학생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서 변화에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수록 작품을 선정할 때에도 많은 부분을 고려하여 학생과 교사 모두가 진정으로 즐기고 감상하는 서사교육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74685
오탁번(1999), 『서사문학의 이해』, 고려대학교출판부
김대행 외(2000), 『문학교육원론』, 서울대출판부
우한용 외(2001), 『서사교육론』, 동아시아
조동일(2005),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구인환 외(2007), 『문학교육론』, 삼지원
우한용 외(2008), 『실용과 실천의 문학교육』, 새문사
이대연,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의 서사문학에 관한 연구 :단원 구성 및 학습 자료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조선대 교육대학원, 2008
서주희, 「소설 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교육연극적 방법을 중심으로 / 서주희」, 고려대 교육대학원, 2005
강정욱, 「중학교 소설 교육 지도 방법 연구 : 7차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2007
강정욱, 「문학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고등학교 소설 교육을 중심으로」, 아주대 교육대학원, 2006

키워드

서사,   문학,   교육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10.31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11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