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역관리] 하역의 의의와 요소, 원칙, 분류(유형) 및 하역비관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하역관리

Ⅰ. 하역의 의의와 원칙

1. 하역의 의의
2. 하역의 요소
3. 하역의 원칙
1) 기본원칙
2) 보조원칙

Ⅱ. 하역의 분류

1. 하역시설에 따른 유형
1) 자가시설 하역
2) 영업시설 하역
2. 운송수단에 따른 유형
1) 화물자동차 하역
2) 철도화차 하역
3) 선박 하역
4) 항공기 하역
3. 화물형태에 따른 유형
1) 개발하역
2) 단위적재하역
3) 무포장하역
4) 하역장비에 따른 유형
(1) 컨베이어하역
(2) 크레인하역
(3) 포크리프트 하역

Ⅲ. 하역비관리

1. 하역비의 의의
2. 하역비의 구성
1) 하역노무비
2) 설비, 방비비

본문내용

출입 및 화물 적부작업, 영업용 운송장비에서의 화물 상하차 작업 및 운송거점으로 이용되는 터미널 항만 공항 철도역 등에서 이루어지는 화물 취급작업이다.
2. 운송수단에 따른 유형
1) 화물자동차 하역
자동차운송을 위한 화물자동차에서의 상하차 작업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화물자동차 하역은 화주 공장에서 화물을 상차하는 작업을 시발점으로 하여, 다른 운송수단에의 환적작업을 거쳐 수하인이 지정한 장소에서의 화물하차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종결된다.
2) 철도화차 하역
철도화차에 화물을 상하차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와 같은 철도하역 방식은,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화물자동차의 트레일러 위에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태에서 트레일러를 끌어올리거나 끌어내려 하역하는 방식인 TOFC(Trailer On Flat Car) 형태와 컨테이너 자체를 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 올리거나 내려놓는 하역방식인 COFC(Container On Flat Car) 형태로 구분된다.
3) 선박 하역
수출입 화물의 운송에서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운송수단인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양하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러한 선박 하역작업은, 크레인을 사용하여 화물을 하역하는 L0L0(Lift On/Lift Off 또는 Ramp Point With Cane) 방식과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선박의 램프(ramp)를 이용하여 하역하는 RORO(Roll On/Roll Off 또는 Ramp Point Without Crane)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히, LOLO 하역방식은 대부분의 컨테이너하역에 이용되고 있으며, RORO 하역방식은 주로 자동차 등과 같은 화물의 하역에 이용되고 있다.
4) 항공기 하역
항공기 하역은 항공기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양하하는 작업이다. 이와 같은 항공기 하역의 형태에는 항공용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입하여 컨테이너 자체를 하역하는 컨테이너 하역방식, 항공용 팔레트에 화물을 적재하여 팔레트를 하역하는 팔레트 하역방식 및 컨테이너와 팔레트와 같은 단위적재용기(ULD : Unit Load Device)를 사용하지 않고 무포장 상태로 직접 하역하는 산화물하역방식 등이 있다.
3. 화물형태에 따른 유형
1) 개별하역
개별하역이란 하역대상이 되는 화물이 상자 및 기타 이와 유사한 포장용기 등과 같이 개별적으로 포장되어 있는 상태로 화물을 하역하는 방식이다.
2) 단위적재하역
단위적재하역은 팔레트나 컨테이너와 같이 규격이 일정한 용기에 화물을 집합하여 포장한 경우, 이러한 단위적재용기 자체를 하역하는 방식이다.
3) 무포장하역
무포장하역 방식은 산화물을 화물자동차, 철도화차, 선박, 항공기 등과 같은 운송수단, 보관시설 및 탐재용기에 포장하지 않고 직접 상하차하거나 적출입하는 방식이다.
4) 하역장비에 따른 유형
(1) 컨베이어 하역
하역작업이 컨베이어(conveyor)와 같은 운반기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하역방식은 작업노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산화물과 같은 무포장 화물의 하역에 유용한 방식이지만, 컨베이어 양끝에 작업자가 화물을 올려놓고 내려야 하는 단점이 있다.
(2) 크레인 하역
크레인 하역은 기중기를 이용하여 화물을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켜 하역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크레인 하역방식은 컨테이너와 같은 대량 및 대형화물의 하역에 매우 유용하지만, 화물의 이동거리가 제한적이고 크레인을 설치할 견고한 지지대가 필요할 뿐 아니라 크레인을 화물에 걸거나 해체하는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3) 포크리프트 하역
포크리프트 하역방식은 포크리프트 트럭(forklift truck)을 이용하며 화물을 하역하는 형태로써, 주로 창고 내에서 팔레트 위에 적재된 화물(palletization)의 하역작업에 적합한 방식이다. 포크리프트 하역방식은 인력하역에 비해 화물의 파손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시간과 작업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운반거리에 제한이 있고 작업노면이 좋아야만 작업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III. 하역비관리
1. 하역비의 의의
화물의 생산과정과 유통과정은 물론 화물의 이동 보관 포장 하역 등의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하역비용은 부수 작업비용이므로 그 자체로는 가치와 효용이 부과되지 않는 순수 작업비이다. 생산과정 중 생산비용의 일부로 또는 유통과정 중 유통비의 일부로 분산되어 파악하기가 어려운 특성이 있다.
2. 하역비의 구성
하역비는 하역노무비와 설비, 방비비로 구성된다. 하역노무비는 직접노무비와 간접노무비로 구분되며, 설비, 방비비는 유지비, 가동비, 토지 건물비, 관리비, 재료비 등과 같은 세부항목으로 구성된다.
이들 항목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하역노무비
(1) 직접노무비
제공된 노동의 질과 양에 따라 지불되는 대가로 임금, 시간외 수당, 직무
수당, 상여금, 퇴직금 등이 포함된다.
(2) 간접노무비
고용유지를 위한 제 비용으로 복리후생비, 교육훈련비, 노무관리비 등이 포함된다.
2) 설비, 방비비
지게차, 크레인, 컨베이어 등의 운반장비와 용기, 팔레트 등의 보관용 설비비를 의미하며, 유지비와 가동비 등으로 구분된다.
(I) 유지비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비용으로, 감가상각비, 임차료, 보험료, 세금, 정비비, 예방보수 유지비 등이 포함된다.
(2) 가동비
사용에 필요한 비용으로 동력비, 연료비, 소모품비, 공구비, 용수비 등이 포함된다.
(3) 토지, 건물비
토지, 건물비는 면적비와 토지건물비로 구분되는데,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토지, 건물비의 세부항목
구분
내용
관련 비용
면적비
통로면적비
통로면적에 대한 비용
옥내면적비, 옥외면적비
보관면적비
보관 및 대기장소의 면적비용
재고창고, 부품창고, 반제품창고
장비시설면적비
운반, 하역장비나 시설설치 면적
운반장비 대기장소, 보관장소, 상하차대기장소, 포장기계설치장소, 운반장비설치장소
토지건물비
보관에 사용된 토지 건물비
도로포방비, 교통표시장치비, 조명비, 토지세, 건물감가상각비
(4) 관리비
사무실비, 조사비, 개선비 등이 포함된다.
(5) 재료비
운반보관 용기비, 포장재료비 등이 포함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11.10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3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