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 비교- 단군신화, 동명왕 신화, 제석본풀이의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화 비교- 단군신화, 동명왕 신화, 제석본풀이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2. 1 단군 신화
2. 2 동명왕 신화
2. 3 제석본 풀이

Ⅲ. 결론
<표 1> 영웅의 일생 구조와 단군 신화
<표 2> 영웅의 일생 구조와 동명왕 신화
<표 3> 영웅의 일생 구조와 ‘제석본풀이’ 신화
<표 4> ‘단군 신화’, ‘동명왕 신화’, ‘제석본풀이’의 비교

본문내용

기리는 노래로 기능과 내용이 바뀌게 되었다 『한국문학통사 3』, 568p.p~569p.p, 조동일, 지식산업사, 1996
고 추측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세 이야기는 일정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먼저 차이점을 살펴보자. 단군 신화와 동명왕 신화는 설화의 영역에 속하는 건국 신화지만 제석본풀이는 서사 무가에 속한다는 점에서 다른 차이점이 파생된다. 그 결과 건국 신화의 마지막 단계인 등극은 신이 되다는 것으로 바뀌게 된다. 또한 구연 및 전승의 주체가 특수 기능인이며, 특수 공간을 무대로 한다 「무가」,『국문학개론』, 489p, 삼지원, 제2판 2000
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물론 건국신화도 건국서사시 형태로 불렸을 때에는 서사 무가와 같은 구연 및 전승 주체로 했을 것이다.
다음으로 세 이야기의 공통점은 나누어 살펴보자.
첫째, 이야기의 기본 구조가 영웅의 일생 구조라는 점이다. 특히 동명왕 신화와 제석본풀이는 마지막 단계에서 왕이 된다는 것과 무속의 신이 된다는 점만 차이가 날 뿐, 고귀한 혈통과 시련과 고난을 겪는다는 점, 그것을 극복한다는 점에서 많은 공통점을 보이는데, 다음에서 살펴볼 유화와 당금애기의 특성을 들어 동명왕 신화와 함께 같은 계보의 신화로 평가되고 있다.
둘째, 우리 문학의 여성 수난사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점이다. 웅녀가 환웅과 결합하기 위해 굴에서 죽음을 상징적으로 경험으로 경험하며 유화나 당금애기가 임신을 한 후 겪게 되는 시련과 고난은 새로운 생명을 탄생시키기 위해서 모체가 죽음을 경험하는 상징적 표현이다. 이러한 시련과 고난은 여성의 수난사로서 민간 전승으로서 깊은 뿌리를 가지며, 후대의 고전 소설을 통해서도 면면하게 반영되어 왔다. 『한국문학통사 3』, 574p, 지식산업사, 1996
한편 유화, 당금애기는 지모신으로서 인정될 근거가 있는데 비해, 웅녀는 지모신의 성격을 찾아볼 수 없다.
셋째, 영웅 또는 신을 주인공으로 하여 이야기가 전개된다는 점에서 다른 이야기 문학과 구분된다.
지금까지의 살펴본 세 이야기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4> ‘단군 신화’, ‘동명왕 신화’, ‘제석본풀이’의 비교
단군 신화
동명왕 신화
제석본풀이
공통점
1. 영웅의 일생 구조(세부 단계는 차이가 있음)
2. 여성의 수난사
-유화, 당금애기는 웅녀와 달리 지모신의 성격이 강함.
3. 영웅 또는 신을 주인공으로 한다.
차이점
건국신화- 건국의 신이한 행적을 기록
서사 무가
-자신이 섬기는 신의 내력을 풀이
※ 참고 문헌 ※
1.『국문학개론』, 김승찬 외, 삼지원, 제2판, 2000
2.『동명왕편제왕운기』, 이규보, 을유문화사, 1991
3.『삼국사기』, 김부식, 을유문화사, 2000
4. 『삼국유사』, 일연, 을유문화사, 2000
5. 『우리신화의 수수께끼』,조현설, 2006, 한겨레 출판
6.『한국무가집』, 김태곤, 집문당, 1979
7.『한국문학사의 쟁점』, 장덕순 외, 집문당, 1999
8. 『한국문학통사 1, 3』, 조동일, 지식산업사, 1996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1.21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57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