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의 정의, 종류, 기능, 구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생물학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의 생성 과정 설명을 위한 신경 인지적 모형 개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절차
1) 연구 방법의 개관
2) 연구 대상과 측정 도구

3.결론

생명현상 관찰에서 과학적 의문생성의 신경생리적 경로 모델 개발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절차
가. 연구 방법의 개관
3. 결론

본문내용

9장으로 총 275장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동물과제군에 대한 의문생성 빈도가 다른 생물과제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의문생성 유발 사진 과제 시스템은 MEG 수행 과제로 사용되어 과학적 의문의 유형별 특징을 확인하고, 신경생리적 경로모델 개발을 위해 사용
되었다.
둘째, 시계열적 두뇌 처리과정에 기초한 생명현상 관찰시 생성되는 과학적 의문의 유형별 패턴은 고유한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측적 의문의 경우 다른 의문과는 달리 초기 old & new effect를 반영하는 P1m이 frontal에서 관찰이 되지 않았다. ERPs 연구에서는 이것을 대상 인식의 불명확성에 기인함에 따른 것으로 P1 components가 비친숙성을 반영한다는 사실을 본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후기 old & new effect가 다른 의문 과제들에 비해 늦게 나타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대상 인식에 있어 추측적 의문의 다른 의문 유형들 보다 어려워함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인과적 의문의 경우 다른 의문 유형들과 달리 이른 EM effect(Episodic Memory effect) e-FM400이 left prefrontal에서, 후기 EM effect(Episodic Memoryeffect) l-FM400은 right frontal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인과적 의문이 다른 의문들에 비해 관찰 현상에 대한 가설을 찾기 위해 장기기억으로부터의 귀추과정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측적 의문의 경우 P2m~P3bm에 이르는 components들이 좌반구 frontal에서 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예측적 의문의 경우 Top-down 방식을 통해 연역적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생명현상 관찰시 생성되는 과학적 의문의 신경생리적 경로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는 MEG Invert 과정을 통해 ROI를 선정하여 가상의 모델을 구축하고, 확인하는 방법을 통해 가능하였다. Source localization을 통해 선정된 ROI는 Inferior Frontal Gyrus(BA46, L), Right Caudate, Lingual Gyrus(BA19,R), Middle Occipital Gyrus(BA19, R)로 총 4개였다. 이를 기반으로 신경생리적 가상 모델을 구축하고, DCM을 통해 과학적 의문의 신경생리적 경로모델을 개발하였다. IFG의 경우 VLPFC(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장기기억으로 부터 지식을 재인하는 top-down방식을 안내하고, 다양하고 복잡한 장기기억 속에서 필요로 하는 적절한 요소를 선별해 내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과학적 의문의 과정이 귀추적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MOG와 LG은 모두 시각중추에 해당되지만, 이중 MOG의 경우 'what'과 'where' 시각 경로를 결정짓는 영역으로 보고되고 있어 과학적 의문 유형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Caudate는 학습과 기억 시스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feedback processing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것은 Caudate가 IFG와 Occipital 영역 사이를 매개하는 부분으로 MEG 피험자들의 과학적 의문생성력 검사 결과가 높은 학생일수록 Caudate에서 Occipital 영역으로, IFG에서 Caudate로의 인과적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과학적 의문생성력에 있어 Caudate가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신경의 정의, 기능, 구조,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신경에 관한 연구 논문들을 살펴보았다. 신경에 대한 정의나 기능 등의 개념들은 오래전부터 많은 주장이 있어왔고, 공공성을 받아온 터라 자료가 많았으나 신경관련 연구에 대해 찾아볼 때는 자료가 많이 없어서 아쉬웠다.
불안과 신경에 대한 연구를 한 여러 논문을 봤는데, 그런 실험은 연구자가 초기 불안상태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연구 결과가 나온다. 과학이란 것이 객관성을 바탕으로 해야 성립되는 것이지만 연구자의 주관이 결과와 전혀 무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불안과 신경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하여 어떠한 객관적 결과물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리고 신경에 대한 보고서를 쓰면서 자료들이 너무나 기계적이라는 생각을 많이 했다. "이러하여 그 결과 이러하다,"라는 식의 기계적 알고리즘만을 가진 자료보다는 자료를 찾는 이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단순화되고, 좀 더 유해진 자료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참고문헌
James W. Kalat(2004). 생물심리학. 시그마프레스. p38-44, 45, 50-52, 59-60, 71.
박찬웅, 김승업(1990). 신경과학. 민음사. p15-50.
김상협, 김전, 김진호, 노제규, 라봉진, 명호진, 박찬웅, 선우일남, 심보성, 이광우, 이상복, 이순형, 장기현, 정희원, 조병규, 지제근, 최길수 & 한 대희(1987). 신경학. 서울대학교출판부. p7-12.
생물학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의 생성 과정 설명을 위한 신경 인지적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Neurocognitive Models for Explaining the Generating Process of Scientific Emotion in the Generating Process of Biological Hypothesis(2006),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중등과학교육 전공. 신동훈. 박사학위논문. p.2-6, 72-76, 185-186
생명현상 관찰에서 과학적 의문 생성의 신경생리적 경로 모델 개발: MEG 연구
Development od Neurophysiogical Path Models of Scientific Question Generation during Observation of Biological Phenomena : A MEG study(2009),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공통과학교육 전공. 권석원. 박사학위논문. p2-4, 21-22, 86-88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11.27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66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