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 연구-시세계의 변모양상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지용 연구-시세계의 변모양상을 중심으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언
Ⅱ. 본언
1 초기시 - 동시의 가족애, 향수, 이국정조
1.1 동시
1.2 향수
1.3 이국정조와 소외의식
2 중기 사물시와 종교시
2.1 사물시
2.2 종교시
3. 후기시 - 동양고전 정서와 자연친화
Ⅲ.결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메아리 소리 쩌르렁’의 의성어는 고요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눈과 밤이 조히보담 희고녀’와 ‘달도 보름을 기달려 흰 뜻은’의 백색의 이미는 청결, 명증, 순결의 느낌을 준다 전체적으로 깔려 있는 분위기라거나, 생각과 발상이 초기의 서구적인 것에서 동양적인 것으로 이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모든 인간적인 것을 끊어버리고 장수산 속에서 지내겠다는 것은 동양 정신중 無慾淸淨의 세계를 다룬 것이다. 인간적인 고민과 고뇌는 정적 속에서도 흔들리는 법이므로 인간적인 일체를 끊어버리고 장수산 속을 견디겠다는 것은 虛靜無爲의 성격을 보여준다.
이러한 산문시 형식으로 되어 있으면서 맥락이 닿는 시에는 정지용의 대표적인 후기시인 <백록담>이 있으며여기에서는 동양의 고전과 더불어 두보의 시가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1.絶頂에 가까울수록 뻑국채 꽃키가 점점 消耗된다. 한마루 오르면
허리가 슬어지고 다시 한마루 우에서 모가지가 없고 나종에는 얼
골만 갸옷 내다본다. 花紋처럼 版박힌다. 바람이 차기가 咸鏡道끝과
맞서는 데서 뻑국새 키는 아조 없어지고도 八月한철엔 흩어진 星辰
처럼 爛漫하다. 산그림자 어둑어둑하면 그러지 않어도 뻑꾹채 꽃밭
에서 별들이 켜든다. 제자리에서 별이 옮긴다. ①나는 여귀서 기진
했다.
4. ②鬼神도 쓸쓸하여 살지 않는 한 모롱이, ③도체비꽃이 낮에도 혼자
무서워 파랗게 질린다.
5. ④바야흐로 海拔六千尺우에서 마소가 사람을 대수롭게 아니녀기고
산다. 말이 말끼리 소가 소끼리 망아지가 어미소를 송아지가 어미말을
따르다가 이내 헤여진다.
8. 고비 고사리 더덕순 도라지꽃 취 삭갓나문 대풀 石茸 별과 같은 방
울을 달은 高山植物을 색이며 醉하며 자며 한다. 白鹿潭 조찰한 물
을 그리여 山脈우에서 짓는 行列이 구름보다 莊嚴하다. 소나기 놋낫
맞으며 무지개에 말리우며 궁둥이에 꽃물 익여 붙인채로 살이 붓는다.
9. ⑤가재도 긔지 않는 白鹿潭 푸른 물에 하눌이 돈다. 不具에 가깝도록
고단한 나의 다리를 돌아 소가 갔다. ⑥쫓겨온 실구름 一抹에도 白鹿潭
흐리운다. 나의 얼골에 한나잘 포긴 白鹿潭은 쓸쓸하다. ⑦나는 깨다
졸다 祈禱조차 잊었더니라. <백록담>중에서
이 시에서 화자는 자연과 아주 친하거나(④) 자연에 취하거나, 자연에 몰입되어 자기를 잊고 있는 忘我之境에 빠져 있다.(①,⑦) 그가 찾은 자연은 생기발랄하고 시끌시끌한 공간이 아니라 <장수산1>에서도 보았듯이 거의 움직임이 배제된 부동과 정적의 공간으로 그려지고 있다.(②,③,⑤) 또한 그곳의 인간의 흔적이 드물며, 있다해도 ④처럼 자연물과 동일화된 인간들이 존재하므로 人間事나 世俗事의 애증이 끼어들 여지가 없는 세계‘로 그려지고 있다. 이처럼 자연과 자아가 합일된 경지를 보여줌은 지용의 시가 도적인 시정신을 지녔다는 근거가 된다 오옥순, 앞의 논문, pp. 48~49.
.
지용이 동양적인 것에 관심이 많았고, 감정의 지적 균형이나 관념 표출의 자기 억제가 의미하는 대로 시에서 관념과 감정이입을 아주 고도의 세련된 기술로써 억제했기 때문에, 종교시에서는 그의 시 이념과 시완성을 이룩할 수 없었기에, 또한 암울한 현실을 살았던 나약한 지식인이었기에 그는 마음의 휴식을 제공하는 자연에서 안주하지 않을 수가 없었던 듯 하다. 즉 시대적 상황으로 보나 지용의 시적 경륜으로 보나 이런 산수시가 나오게 되었던 것은 당연한 귀결로 보여진다. 만약 지용의 시가 종교시에서 끝났다면 이렇게 그의 위치가 뚜렷해지지 않을지도 모른다. 또한 《백록담》시집 이후의 작품은 그다지 주목할 만한, 시적 형상화가 뛰어난 작품이 드물다는 점도 그의 산수시가 그의 시력의 완성을 보여주는 작품들로 해석할 수 있게 하는 근거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위의 논문, p. 55.
Ⅲ.결언
한국 현대시의 개척자로서 공헌한 정지용에 대한 연구는 근래로 올수록 많아지고 관심이 경주되고 있다. 그가 2,30년대에 있어 우리의 시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 대표적 시인임을 간접적으로 증명해 보이는 것이다.
그의 시는 통시적으로 초기시에는 가족의 부재나 소멸에서 오는 상실감과 소외감 등을 나타내거나 따뜻한 애정과 신뢰감을 인간과 가족에 대한 애정으로 노래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동시에 주로 나타난다. 이러한 감정은 고향의 향수를 노래하고 있다. 그리고 유학동안에 서구시의 형식과 기법에 영향을 받아서 이국정조를 나타내는 모더니즘 계열시로 구분할 수 있다. 중기시에서는 사물에 관념이나 의지가 배제고 감각적 표현과 묘사적 이미지의 구사로 감정의 지적 균형을 이룬 사물시와 시적 형상화가 부족하며, 구조적으로 밀도력에서 실패한 것으로 보고있는 종교적 관념을 노래한 종교시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후기시는 동양 정신을 담은 산수시의 경지에 이른 작품들은 주로 바다 대신 산이 등장하고, 부동과 정적의 공간에서 시적 화자는 그곳에 묻혀 자연과 일체가 되어 있거나 그것을 관조하고 있다. 그의 이런 정신은 극도로 감정이 절제된 무욕의 철학으로 이어져 죽음까지도 담담하게 바라보는 초월적인 세계관을 획득한다. 무욕의 철학과 절제의 미학을 드러내어 동양정신에 입각한 시 정신의 깊이를 바탕으로 하여 현대성과 정통성을 동시에 획득하고 있는 것이다. 시에 의미를 부여하기를 꺼렸던 그가 종교시에서 반성을 시도했으나 결국 자연으로 다시 돌아가게 된 것이다.
정지용 우리 현대시의 시적 출발의 확실한 발판을 마련했으며, 서구적 모더니즘에 수용에 있어서 단지수용에만 머물지 않고 시인 자신의 독자적이며 우리 전통적 시세계를 새로 열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우리 나라 20세기의 대표적인 시인이다
<참고문헌>
오순옥, 「정지용 시의 변모 과정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90
은희경, 「정지용론」,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2
문덕수, 『한국모더니즘시 연구』, 시문학사, 1981
양왕용, 『한국근대시연구』, 삼영사, 1982
민병기, 『정지용』,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6
김춘수, 『시론』, 송원문화사, 1979
김학동, 『정지용연구』, 민음사, 1987
최동호, 『현대시의 정신사』, 열음사, 1981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12.01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0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