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_관광자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무 형 문 화 재

● 지 방 무 형 문 화 재

● 중 요 무 형 문 화 재



▒ 유 형 문 화 재

● 건 축 물

● 공 예 품

● 문 예 품

본문내용

리고 모든 탈이 코를 중심으로 좌우비대칭적이어서 보는 위치에 따라 표정이 바뀜을 볼 수 있다.
가령 탈을 쓴 광대가 웃기 위해 고개를 뒤로 젖히면 탈은 입이 크게 벌어지며 피안대소하는 표정이 나타나고, 화를 낼 때에도 광대가 고개를 숙이면 탈은 턱과윗 입술이 붙어 입을 꾹 다문 화난 표정을 짓기도 한다.
이를 뒷받침하듯 "탈은 신령스러워 탈 쓴 광대가 웃으면 탈도 따라 웃고 탈 쓴 광대가 화를 내면 탈도 따라 화낸다"라는 말이 마을에서 전해져 내려온다.
그 밖에도 선의 흐름과 면의 각도에 따라 표정이 역동적으로 변화한다.
한편 하회탈은 마을에서 매우 신성하게 여겨, 탈을 함부로 다루게 되면 "탈 난다"하여 탈을 꺼내거나 볼 때에는 탈이 들어 있는 궤앞에 제사를 지낸다음 탈을 꺼내었다고 한다.
이상 하회탈은 정적일 때는 고정된 표정이지만 동적일 때는 특히 보는 시각에 따라 인간의 희노애락이 생동감있게 표출된 예술적 가치를 충분하게 지니고 있으며, 아울러 신성함도 함께 내포되어 있다.
하회탈은 모두 오리나무를 깍아 한지를 입히고 채색한 후 최종적으로 옷칠로 마감하였다. 그 제작 년대는 대략 고려중엽쯤으로 추정되며,원래는 12종류였으나 전해내려 오던 도중에 총각,떡다리,별채 등 3점은애석하게도 유실되고 양반,선비,중,백정,초랭이,할미,이매,부네,각시탈 등 9점이 1965년 국보로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현재 소장중이다.
http://www.tal.co.kr/main.htm
● 문예품
가야금(伽倻琴)
좁고 긴 장방형의 오동나무 공명판 위에 명주실로 꼰 12개의 줄을 걸고, 줄마다 그 줄을 받치면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작은 나무기둥[雁足]을 세워놓은 현악기. 연주자는 오른손으로 줄을 뜯거나 퉁기고, 왼손으로 줄을 떨거나 눌러서 소리를 조절한다. 음색이 맑고 우아하며 연주기교가 다양하다. 궁중음악이나 풍류에 사용되는 것을 법금(法琴) 또는 풍류가야금이라 하며, 민속악에 사용되는 것을 산조가야금이라 하는데, 법금이 원형이고 산조가야금은 19세기말 이후에 널리 쓰게된 것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가야국의 가실왕이 6세기에 당나라의 악기를 보고 만들었으며, 우륵(于勒)에게 명하여 12곡을 지었는데, 그 뒤 가야국이 어지러워지자 우륵은 가야금을 가지고 신라 진흥왕에게로 투항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4세기 이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의 흙인형(土偶)에서 가야금이 발견되고, 중국의 문헌인 《삼국지》 중 <위지 동이전>에 삼한시대에 이미 고유의 현악기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진흥왕 이후 가야금은 신라에 널리 퍼져 그 곡 수가 185곡에 이르렀다고 하며, 고려와 조선시대에도 궁정과 민간에서 크게 애호되었다. 19세기말 김창조(金昌祖) 등에 의하여 가야금산조가 창시되면서, 전통적인 가야금, 즉 법금보다 빠르고 다양한 산조 기교에 적합한 소형의 산조가야금이 만들어져 널리 보급되었다.
법금과 산조가야금은 크기와 구조가 서로 다르다. 법금은 하나의 오동나무 판의 뒤를 파서 만들고, 부들을 고정시키는 공명동 하단에 T자 모양의 양이두(羊耳頭)가 있지만, 산조가야금은 거문고처럼 오동나무 앞판에 밤나무로 된 뒤 판을 붙여 만들고, 양이두 대신 봉미(鳳尾)를 붙인다. 법금은 길이가 151㎝, 너비 28.5㎝이며, 산조가야금은 공명동의 길이가 136㎝이며, 너비가 20㎝ 정도이다. 가야금줄은 명주 생사로 만드는데, 음높이에 따라 줄의 굵기가 달라, 낮은 음은 굵고, 높은 음은 가늘다.
가야금은 영산회상과 보허자계 변주곡, 가곡반주 등 지난날 풍류방에서 연주되었던 대부분의 악곡에 편성되는데, 이 경우는 법금을 주로 사용한다. 산조가야금은 민속풍류, 가야금병창, 민요, 창극, 무용곡 등의 반주로 널리 쓰이지만, 19세기 말경에 발생한 산조에서 악기의 특성이 가장 두드러진다. 이 가야금산조야말로 예술적 가치가 높은 순수한 기악독주곡이다. 현재 연주되고 있는 산조로는 강태홍(姜太弘), 김병호(金炳昊), 김윤덕(金允德), 김죽파(金竹坡), 성금연(成錦鳶), 심상건(沈相健), 최옥삼(崔玉三), 서공철 등의 가락이 있다. 특히 가야금은 1960년대 이후 새롭게 만들어진 창작국악곡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하였는데, 황병기, 이성천 등의 작품을 통하여 독주악기로서의 가치와 그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런 무형유형 문화재 같은 무한한 관광자원를 잘만 개발홍보하면 우리 나라 관광사업에 큰 도움이 될 듯 한데, 그렇지 않고 등한시하고 우리 기억속에만 남아있는 과거의 물건, 문화라고만 생각하는 현실이 안타깝다.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2.23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9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