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 제123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분석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국문 가사 및 한문 가사

2. 관련 사적

3. 작품 분석

4. 현대어 풀이 및 정리

본문내용

사가 ‘-’의 형태로 실현되었다.
한편, ‘들’, ‘마쇼셔’를 통해서는 체언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오거나 용언의 어간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 소리 나는 대로 적는 음소적인 표기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살아’, ‘일우려커든’이 이어적기되지 않은 것은 뒤에 오는 ‘ㅇ’이 후두 유성 마찰음의 음가를 지니기 때문이다.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김상억, “용비어천가”, 1993, 을유문화사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편”, 2010, 교학연구사
조규태, “용비어천가”, 2010, 한국문화사
허웅, “우리 옛말본”, 1975, 샘문화사
허웅, “용비어천가”, 1955, 정음사
  • 가격1,2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2.27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98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