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신화 열풍의 이유
1-1. 근원적 측면
1-2. 기능적 측면

2. 사례
2-1. 그리스 로마신화
2-2. 북유럽 신화
2-3. 동양 신화
2-4. 한국 신화

3. 한국 신화의 취약점



Ⅲ결론

- 한국 신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 정리

-출처

본문내용

등장해 이들의 이름을 딴 던전, 지명 등 명칭과 스토리,
용어와 연관
-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같은 대표적인 게임도 북유럽 신화를 차용하고 있다.
2-3. 동양 신화
서양의 신화보다는 내용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주변에서 동양 신화가 활용된 예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중국 신화 :동양신화의 대표적 위치 차지.
· 활용된 대표적 예:
ex) 마법천자문
우리나라 아울북에서 출간한 20권 완간 예정
장편 스토리로, 중국신화 서유기의 내용을
토대로 함. 영화, 게임, 어린이용 완구, 뮤지컬
등 성공한 OSMU의 대표적 사례.
· 중국의 대표적 신화 -서유기란?
-<삼국지연의> <수호지> <금병매> 등과 함께중국의 사대기서(四大奇書) 중 하나.
-손오공이 하늘나라에 죄를 짓고 오행산에 감금되는 이야기와 삼장법사가 손오공을 제자로 삼고 천축으로 불경을 구하러 가는 도중에 벌어지는 이야기.
-당나라 시대 실존인물이었던 삼장법사 현장 스님과 여러 가지 신통력을 지닌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 등이 등장.
· 서유기의 특징과 강점
- 캐릭터들이 친근하게 그려질 수 있음
- 세세하고 구체적인 모험적 이야기
일본 신화 :건국신화를 제외하고 특정한 신화를 꼽을 수 없을 정도로 수많은 신화 존재.
· 활용된 예: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들
일본 신화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상상력을 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함.
ex)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일본의 신화와 민담이 차용된 대표적 작품- 신의세상,인간의 세상으로 뚜렷하게 나누어지는 배경- 일본 신화속의 각종 신 등장. 강의 신, 오물 신, 가오나시, 유바바 등
· 일본 신화의 특징과 강점
- 이미지의 나라, 신화의 나라
- 수많은 신이 존재하는 만큼 건국신화 뿐만 아니라 수많은 신화가 존재
- 어느 민족이나 신화를 갖고 있지만 특히 일본은 신화가 단순히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실을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음.
- 일본의 역사 속에서 중요한 계기엔 언제나 신화적 발상이 배경에 깔려 있음.
- 게임, 만화, 영화, 캐릭터,종교 산업 등 수 많은 영역에서 신화 활용.
- 일본이라는 나라 자체에 묻어있는 신화의 현실성, 인정성.
- 수 많은 이야기, 다양한 캐릭터 존재.
인도 신화 :동양의 그리스로마 신화
· 활용된 대표적 사례: 애니메이션
ex) 애니메이션 영화 - 하누만
인도 애니메이션 중 가장 흥행한 작품.
인도 신화 라마야나에 등장하는 원숭이 신인 하누만의 이야기
· 인도 신화의 특징과 강점
-대표적 신화는 『마하바라타(Mahabharata)』 & 『라마야나(Ramayana)』로,
높은 스토리밸류를 지니고 있는 작품들
- 오랜 세월에 걸쳐 전승, 사람들로부터 이미 검증 받은 이야기
- 전지전능한 신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세계에서 벌어지는 갖가지 갈등과 고뇌를 다룸
- 돈, 사랑, 권력, 명예, 영생이라는 인간의 보편적 욕망을 추구
이 외에 대표적인 동양 신화 활용 작품들
이집트 - 살아 움직이는 ‘미이라’ 를 차용한 영화, 완구, 레고장난감, 소설 등
중동신화 - ‘알라딘’(중동 민화 속에서 신으로 등장하는 지니 차용) 월트디즈니에서 대표적인 캐릭터로 차용
2-4. 한국 신화
· 활용된 대표적 사례
ex) 삼신할머니 신화- 공연 ‘생불왕’
- 동해용왕과 서해용왕 딸에게서 태어난 아이와인간세상의 명진국에서 태어난 아이가 각각아기를 잡아가고 죽은 영혼을 차지하는 신인구삼승과 아기를 잉태하는 신인 삼승할망이 되는 과정을 그린다.
· 한국 신화의 특징
-한국의 신화는 크게 건국신화와 무(巫) 신화로 나뉘는데, 한국의 건국 신화는 단군 신화 및 삼국 시대의 동명왕 개국 설화 및 비류 온조 신화와 같은 영웅 신화·천손 신화적 성격을 띤 북방계와 박혁거세 알영 신화, 석탈해, 김알지의 난생 신화 등의 남방계의 두 가지로 크게 나뉜다.
-대표적인 건국신화를 제외하고는 인지도, 활용도가 낮다.
3. 한국 신화의 취약점
우리에게 익숙하고 잘 알져 있는 신은 그리스로마의 신들이다. 우리나라의 근대화가 시작되면서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여 왔는데, 그 서양 문물의 뿌리가 바로 그리스로마 신화이기 때문이다. 근대화가 이루어진 기간은 100년이 채 안되지만 그동안 우리는 우리의 신들을 잊어버렸다. 어떻게 해서 이런 현상이 일어난 것일까? 100년 동안 우리는 근대화를 통해 새로운 문화를 따라잡기 위해서 문화의 개혁을 단행한다. 그 과정에서 우리의 것들은 낡고 오래된 것들이라는 생각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 근대화를 통해 눈부신 경제성장은 이루었지만 우리의 문화적 주체성은 잃어버리게 되었다. 예를 들어, 우리들은 인어를 상상하면 월트 디즈니 사의 인어공주의 이미지를 떠올린다. 옛날부터 동양에서는 남자의 모습을 한 인어가 당연시 여겨져 왔지만, 언제부턴가 인어공주로 이미지의 전도가 나타났다.
Ⅲ 결론
-한국 신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
문화의 주체성 되찾기.
우리문화의 주체성을 상실하면 다른 문화에 저항할 힘이 없기 때문에 우리 문화의 뿌리를 잃게 된다. 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을 잃게 된다.
예를 들어 해리포터, 반지의 제왕,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같은 작품들 처럼 그 나라의 고유한 문화를 바탕으로 한 상품이 가치가 있다.
상상력의 제국주의 극복하기 - 정체성 찾기
우리 신화의 귀환을 일으켜야 한다. 그렇다고 서양의 신화를 배척하는 이분법적인 사고를 가져서는 안 된다. 단순한 상상력의 복원이 아니라 재 통합을 해야한다. 먼저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우리의 신을 알아가는 일이다. 우리나라에는 약 99명의 신들이 있고, 이 신들은 모두 옛날부터 우리들의 삶 속에 있었다. 다만 생활방식이 바뀌고 근대화가 이루어지면서 잊혀졌을 뿐이다. 잊혀진 우리의 신들을 다시 불러내어 잘 다듬어 낸다면 얼마든지 우리만의 고유한 문화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출처
신화와 이미지 - 조지프 캠벨
신화와 전설 - 필립 윌킨스
http://www.kado.net/news
http://100.naver.com/
http://www.wikipedia.org/
www.balganesh.com
www.indianetzone.com
이코노믹타임즈
라이브민트
outlook 매거진
  • 가격3,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4.04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8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