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훈민정음에 대해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훈민정음의 기원 문제
 2.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1)초성의 제자 원리
  2)모음의 제자원리
 3. 훈민정음의 초, 중, 종성 체계
  1)초성
  2)모음의 제자원리
  3)종성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08. p. 20~21
원칙이라고 한다면 분명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월인천강지곡과 용비어천가만이 8종성법을 지키지 않고 있다면 원칙보다는 허용, 예외가 더 많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八字可足用’에서 ‘足’을 ‘충분하다’라는 뜻을 살려 ‘8글자로 사용하는 것이 충분하다’라고 해석한다면 이것이 원칙이라고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8종성법은 허용규정이 아닌 원칙이라고 규정짓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렇게 본다면 ‘ㄷ, ㅅ’이 현대와는 다르게 발음상의 차이가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기문은 조선관역어에서 어말의 ‘ㅅ’을 위해 ‘思’자를 이용하였지만 ‘ㄷ’을 위해서는 아무런 방법도 마련하지 않았음을 이유로 ‘ㅅ’과 ‘ㄷ’의 차이를 인정했다. 또한 안병희는 종성에서 ‘ㅅ’과 ‘ㄷ’이 중화되었다고 볼 수 없는 여러 예를 제시하며 이 두 자음이 기본형 말음의 음성부류를 배려한 표기가 아니라 실제 발음의 차이를 반영한 표기라고하여 ‘ㄷ’과 ‘ㅅ’이 실제 발음으로 구별되었음을 주장한다. 안병희, 『국어학』, 「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 국어학외, 2003, p. 8~16
훈민정음은 15세기의 국어이다. 따라서 현대 우리의 발음과 얼마든지 다를 수가 있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존재했던 ‘ㆆ,ㅿ,ㆁ,ㅸ,ㆀ,ㅥ,ㆅ,ㆍ’등 많은 문자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소실하고 음가가 변화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그런데 현대에 ‘ㅅ’발음이 안된다는 이유로 당시에도 ‘ㅅ’은 발음이 안되었을 것이라는 선입견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표음적 표기였던 훈민정음을 고려해 보았을 때에도 ‘ㅅ’과 ‘ㄷ’은 분명 발음이 구분이 되었을 것이다.
결론
지금까지 훈민정음의 기원, 제자원리, 초 중 종성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살펴본 후 나름의 의견을 제시해 보았다. 여러 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각을 정리하는 것이었지만 지식이 얕은 나에게는 무척 큰일이었고, 많은 생각을 할 수 있게 했던 과정이었다. 내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문제나 부족한 문제들은 좀더 실력이 쌓이고 지식이 깊어지면 다음 기회에 풀 수 있을 지도 모를 것이라는 기대를 하며 훈민정음에 대한 고찰을 마지도록 하겠다.
<참고 문헌>
권성기, 『 한성어문학』,「훈민정음(訓民正音) 자형기원에 관한 일고찰 - 초성 5자를 중심으로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1982, p. 236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08. p. 20~21
김윤주, 『 한성어문학』, 「훈민정음(訓民正音) 자음자(子音字)와 가획(加劃)의 원리」, 1984, p. 93
리의도, 『한글』, 「훈민정음 ‘중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 1984. p.163
문효근, 『한글』, 「훈민정음의 종성부용초성의 이해」, 1986, p. 140
안병희, 『국어학』, 「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 국어학외, 2003, p. 8~16
이근수, 『훈민정음신연구』, 보고사, 1995, p. 49~59
이기문, 「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 국어학회, 1974, p. 2
이기문, 『국어사 개설』, 태학사, 2006. p. 143
이성구,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5, p. 95
이병근, 『훈민정음의 이해』「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 한신문화사, 1993. p. 68
이환묵, 「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 한국언어학회(언어), 1987, p. 351
조영진, 『국어국문학』, 「훈민정음(訓民正音) 자형(字形)의 기원(起源)에 대하여」, 1969, p. 201
황경수, 『새국어교육』,「훈민정음 기원설」, 한국국어교육학회, 2005, p. 223~224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5.26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95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