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습(金時習)의 생애를 통해서 본 금오신화(金鰲新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시대적 상황
Ⅲ. 김시습의 일생
Ⅳ. 금오신화
 ⑴창작배경
 ⑵작품소개
 ⑶내면의식
 ⑷美적특질
Ⅴ. 맺음말

본문내용

표현 할 만큼 끔찍했던 것이며 그에게 현실은 염부주로 느껴졌을 것이다. 최영희, 앞의 논문
김시습은 타락한 현실을 지옥 같은 염부주로 본 것이다.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그러한 상황 속에서 새 정권의 안정과 작자의 명분과 현실 중 어느 길에 들어설지 심각한 내적 고민을 또한 하였을 것이다.
다음으로 「용궁부연록」내면의식을 간략하게 정리 하겠다. 주인공 한생이 꿈속에서 용궁 체험을 현실로 돌아오게 되는데 꿈속에서 용왕은 한생에게 야광주와 빙초를 선물 한다. “꿈을 깨었는데 용궁에서 받은 선물이 그대로 있었다.”는 것은 꿈속에서 누렸던 환대를 격하할 수 없다는 절대적 가치 부여를 한다. 용궁에서의 호화스러운 대접을 받음은 김시습이 부(富)에도 관심이 있었을 것이라 보여 진다.
또한 “그 후 한생은 이 물건을 간직하면서 세상의 명예와 이익을 생각에 두지 않고 명산에 들어갔는데 그 마친 바를 알지 못 한다”하였는데 이는 현실에서는 비록 패배자가 될지라도 끝까지 자기의 의지를 굽히지 않고 세상으로부터의 횡포를 거부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낸 표현으로 보아야할 것이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금까지 《금오신화》의 작품을 당대의 시대상황과 작자의사실과 연결 지어 살펴보았다. 종합해보자면 전체적으로 《금오신화》는 전기소설의 관습을 빌어서 꿈이나 이계(異界)를 배경으로 잡아 겉으로는 남녀의 애정문제 등으로 형상화 하고 있지만 그 내면 속에는 15세기 조선의 불안과 혼동의 시대를 고뇌하며 살다간 작가 김시습의 내면의식이 깊숙하게 투영 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금오신화 속에는 주인공과 상대역의 만남과 비극적 결말 즉 ‘비극적 만남’이 설정 되어 있는데 이는 바로 금오신화의 전체를 관통하는 주요한 테마 蘇仁鎬, 앞의책
이다. 이 ‘비극적 만남’이 설정된 이유는 단종의 죽음과 왕위찬탈을 보고 방황의 길을 떠난 김시습이 자신을 인정해주지 않는 모든 문이 폐쇄 된 고립된 현실을 억울해 하고 슬퍼하고 고독감에 사로잡혀 있었기에 이 고독감을 이해해줄 정신적 대상을 구하고, 그 욕망을 표출하기 위해서 ‘기이한 인물과의 만남’을 설정 해 놓았다고 볼 수 있다. 그 상대역 인물들은 모두 현실에서 정당하게 평가받지 못하고 있는 주인공들의 존재가치를 제대로 평가하여 인정해주는 한편, 그들의 신념이나 가치관에 대한 지지를 통해 이를 정당화해 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이원수, 앞논문
이렇듯 금오신화에서 제기되는 문제의식은 김시습 의 내면 심리와 관련 된 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이는 그 범위로만 보고 넘어가서는 안 될 요소이다.
⑷美적특질
앞의 내면 의식에서 언급하였지만 이해를 돕고자 조금 더 구체적이고 간략하게 설명 하겠다. 전기소설류에서는 문인적인 취향이 두루 나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작가의 불우한 처지를 반영하는 모습도 적지 않다. 「최치원」에서도 작자 자신이 느끼는 고독감을 최치원의 고독감에 그대로 투영시키고 있으면서 자신의 고민을 풀어내고 결말을 통해서 세상을 초월한 면모를 표현하였다. 이런 면모는 『금오신화』에서 더욱 뚜렷하고 강렬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박희병, 앞의책
이렇게 때문에 금오신화에서는 ‘고독’과 ‘초월’에 대한 예술적인 특성을 볼 수 있다.
금오신화의 결말 ‘죽음’과 ‘不知所終’으로 끝이 나는데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의 세 가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① 아무런 전망도 없이 죽음으로써 끝을 맺는 경우 -李生窺墻傳
② 아무런 전망도 없이 부지소종으로 끝을 맺는 경우 -萬福寺樗蒲記, 龍宮赴宴錄
③ 별계에서의 새 삶이 암시되면서 죽음으로써 끝맺는 경우
-醉遊浮碧亭記, 南炎浮洲志
위에서 알 수 있듯이 금오신화는 죽음으로 끝을 맺든 부지소종으로 끝을 맺든, 또 죽는 순간 별계에서의 새로운 삶이 암시되든 그렇지 않든, 그런 차이와는 관계없이 다 같이 그 결말을 통해 현세의 생에 대한 절망과 전망 상실, 그리고 현존하는 세계에 대한 부정과 초월을 표현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금오신화를 특징짓는 비극적 미학의 근거도 바로 여기서 찾을 수 있다.즉, 절망과 전망 상실 부정과 초월 비극성이 하나로 묶여 있는데 금오신화에서 비극성의 최종적 근거는 초월에 있으며 초월은 비극성을 담지하고 있어, 서로 불가분리적인 관련을 맺고 있다. 이 점이야 말로 금오신화의 미학을 특징짓는 가장 주요한 특성인것이다. 박희병, 앞의책
Ⅴ. 맺음말
지금까지 우리는 김시습의 삶을 통하여 금오신화에 나타난 그의 내면의식을 살펴보았다. 15세기의 혼란한 상황으로 인해 자신의 재능을 펼치지 못하고 방외인이 될 수 밖에 없었던 김시습의 사상과 내면의식이 잘 드러난 작품인 금오신화. 금오신화에 드러난 그의 내면의식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당시의 그가 느꼈던 생각이나 포부를 한층 더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의 고독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금오신화가 보여주는 미학과 예술적이고 사상적인 성취를 이해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많은 사람들이 그 당시 꿈을 펼치지 못하고 좌절했던 천재적 문인인 김시습을 한층 더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참고문헌
박희병, 『韓國傳記小說의 美學』, 1992
박희병, 1955『금오신화(金鰲新話)』 창작의 연원(淵源)과 배경, 토론 1992
박희병, 전기소설의 장르관습과「금오신화」1992
심경호, 『매월당 김시습의 금오신화』
이원수, 『금오신화에 투영된 김시습의 내면의식』 , 경남대학교 1996
최영희, 『금오신화에 나타난 작가의식 연구』,
문영오, 『금오신화에 굴절된 한의 고찰』,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198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1986
박일용, 『남염부주지의 이념과 역설』 홍익대학교 2006
김명호, 『김시습의 문학과 성리 사상』 [한국학보] 35집
안동준, 『동아시아 초기소설의 성격』 1999
김창현, 『금오신화』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金一烈, 『古典小說新論』
蘇仁鎬, 『韓國傳奇文學硏究』
안창수, 『<용궁부연록>의 작품 세계와 의미』
김현정, 『<龍宮赴宴錄>의 심리적 고찰』
김미연,「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의의
안동준, 동아시아 초기소설의 성격 2001
윤채근, 김시습 문학의 존재 미학적 고찰
김상기, 금오신화론
  • 가격8,4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10.17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