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주의와 이민정책을 통한 외국국적 동포 사회통합적 접근과 과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민정책을 통한 사회통합적 접근
1. 한국의 이민정책 연구
2. 외국의 이민정책 연구
3. 최근 외국의 이민정책의 현상

Ⅲ. 다문화주의와 사회통합
1. 미국의 다문화주의 연구 배경
2. 캐나다의 다문화주의 연구 배경
3. 한국의 다문화주의 연구 배경

Ⅲ. 사회통합적 접근과 과제
1.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접근의 필요성
2. 한국의 보편성과 특수성이 감안되는 접근
3. 정책추진체계의 문제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찬가지 일것이다.
이민자 복지와 기본권을 공유하는 사회통합이 양자택일 또는 강조의 문제인지, 또는 단계별 과제인지 등 방향과 목표설정을 위해 이민 선진국의 경험을 연구하되, 세계화에 따른 시대적, 역사적 추세를 주목해야 하지만, 정태적이고 탈맥락적 접근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사회통합정책과 가족정책, 여성정책의 관계에서 결혼이민여성과 다문화가족 대상 정책은 이민 배경을 염두에 둔 사회통합정책, 가족의 한 유형인 다문화가족에 대한 가족정책, 여성 집단의 일원인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여성정책이 혼재되는데, 이들 간 영역과 관계 설정에 따른 이민정책과 사회통합정책이 마련되어야 할것이다.
참고문헌
<국내문헌>
김이선ㆍ황정미ㆍ인진영. 2007. “다민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 한국사회의 수용 현실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효신. 2009. 캐나다의 이주 난민 아동 청소년 정책. 보건복지가족부 무지개 청소년센터.
무지개청소년센터. 2008. 전문가 워크숍 내부자료.
문경희. 2007. 호주의 이주. 난민 청소년 정책. 보건복지가족부 무지개 청소년 센터.
법무부. 2008년도 출입국 및 외국인정책 통계.
보건복지가족부. 2008.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대책.” 보건복지가족부
주최 ‘2008 다문화가족지원 네트워크 전국대회.’ 11월 4일.
설동훈.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______. 2007. “혼혈인의 사회학: 한국인의 위계적 민족성.”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연구. 52권.
설동훈ㆍ이란주ㆍ한건수. 2003. “국내 거주 외국인노동자 아동인권실태조사.” 국가인권
위원회 편. .인권상황 실태조사 연구용역 사업보고서..
오경석 외. 2007.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서울: 한울아카데미.
강희원. 2003. “노동의 국제적 이동시대와 노동법: 노동과 노동법의 세계화를 위하여.” 『법제연구』24: 7-32.
고현웅. 2004. 『주요국가 이민정책 비교연구』. 법무부.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2007. 『이주노동자지원활동가를 위한 법률메뉴얼』.
권영호.지성우.강현철. 2009.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가정관련법에 대한 입법평가:
김명신. 2007. “다문화가족지원법안의 내용과 과제.” 한국법제연구원. 『외국인정책 및 다문화에 관한 법제의 동향과 과제』.
김영문. 2003. “외국인근로자의 노동법적 문제: 국내 불법장기체류 외국인근로자를 중심으로.” 『법제연구』24: 33-55.
김지형. 2002. “외국인 근로자의 헌법상 기본권 보장: 현행 산업연수생제도의 위헌성 검토를 중심으로.” 『저스티스』제70호.
김현희. 2009. “프랑스의 외국인 이주민의 사회통합 법제의 동향.” 『외국인 이주민의 사회통합 법제의 동향(I)』. 한국법제연구원.
박찬호. 2007. “미국의 출입국관리법제와 그 동향.” 『각국의 출입국관립법제와 그 동향
오성배. 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
______. 2006. “한국사회의 소수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 문화교육 방향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6(4): 137-157.
최연혁. 2009, 스웨덴의 이주 난민 아동 청소년 정책, 보건 복지 가족부 아동 청소년 정책.
<외국문헌>
Abdallah-Pretceille, M . 2004. L’Education interculturelle. Que sais-je. n° 3487 Paris: PUF.
Banks, J. A. 2008.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4th ed.).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Giddens, A. 2003. 현대사회학[Sociology]. (김용학 역). 서울: 을유문화사. (원전은 1982년에 출판).
Hermansson, A. C., Timpka, T. & Thyberg, M. 2002. “The Mental Health of
War-wounded Refugees; An 8-year Follow-up.”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0(2): 374-380.
The National Agenda for Multicultural Australia Report.
http://www.immi.gov.au/media/publications/multicultural/agenda/agenda89/humanres.htm.
Ouellet, F. 2002. “Education interculturelle et l’education a la citoyennete: Quelques
pistes pour s’orienter dans la diversite des conceptions.” VEL Enjeux. n° 129: 146-167.
Sassen, S. 1991. The Global City : New York, London, Tokyo,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Jersey.
Sleeter, C. 2008. “Multiculturalism, Globalization, and the Politics of Knowledge.” 2008 KSCS KSSEE International Conference Multiculturalism, Globalization,
and School Curriculum 37-51. Seoul at Ewha Womans University. 25th April.
<인터넷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정책 복지과 통계자료 http://www.mest.go.kr.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 정책본부 http://www.immigration.go.kr.
보건복지가족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http://team.mohw.go.kr/blss.
프랑스이민부 인터넷 사이트 http://premier-ministre.gouv.fr/iminidco.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8.08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04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