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우 저자 “언어”를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시사점, 총체적 조사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부 서론
제 1장 언어학의 과제
제 2장 동물의 “언어”
제 3장 언어의 기원
제 4장 언어의 소리

*제 2부 이 론
제 5장 음운론
제 6장 형태론
제 7장 통사론
제 8장 의미론

*제 3부 응용
제 10장 언어와 사회
제 11장 언어와 심리
제 12장 언어와 문학
제 13장 언어와 음악
제 14장 언어와 두뇌

*맺음말
*부록
*참고문헌
*과정 및 소감

본문내용

문장 안에서의 위치도 인 접해서 나타나려는 일반적인 경향, 즉 심리와 언어는 비례한다는 원리에서 찾아 볼 수 있음
언어와 심리와의 밀접한 관계는 언어가 기억력의 지배를 받는데서 나타남
* 언어 구조가 심리 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예) 소리실험
제 12장 언어와 문학
* 언어 없이 존재할 수 없는 문학
-문학이라는 예술의 매개체는 언어이기 때문
* 언어의 기능과 성격
문학언어
일상언어
학술용어
내인적(內人的)
intrapersonal
주관적(내심적)
상상의 세계
대인적(對人的)
interpersonal
외관적
육안의 세계
외인적(外人的)
extrapersonal
객관적(과학적)
물리적세계
* 언어와 문학의 관계
언어가 그 언어의 문학 형식에 주는 제한 내지 속박
언어분석이 작품의 이해와 해석에 줄 수 있는 설명
언어학이 원문분석에 주는 공헌
1. 문학형식의 한계
- 문학은 언어의 예술이기 때문에 그 형식은 언어의 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을 수가 없음
- 예) 음보 , 운각 , 자수율 , 각운
2. 해석과 이해
- 작품의 분석은 그 작품에 생동성을 부여하고 그 작품을 새롭게 인식 할 수 있게 해줌
*일반 언어에 없지만 문학 작품에 있는 언어 요소
그 작품을 한 묶음 혹은 한 다발로 묶어주는 언어적 요소 - 시문 , 운문
음성적 상징 - 소리에서 뜻을 연상시키게 함
비유
3. 원문분석
-언어학은 문학작품의 원본의 분석과 연구에도 공헌을 할 수 있음
** 언어는 문학의 입력(input)이기도 하고, 또 그 출력(output)이기도 함
제 13장 언어와 음악
* 'music'(음악)이라는 단어의 어원 자체가 언어와 음악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음
* 언어와 음악의 관계의 근거
-둘이 소리(음성)이라는 매개체를 공유하고 있다는 데서 시작
-음악에서의 초분절소의 사용과 통제는 언어에서보다 훨씬 더 깊고 엄격하게 규범 화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매개체가 인간의 동일한 인지작용이라는 사실에서 유 래 되는 심층적인 유사성이 있음
토박이 화자가 자국어에 대한 언어본능이 있듯이, 청자가 음악을 처리 할 때에도 음악의 본능을 토대로 음악의 문법을 적용
<유사성> 넓은 범위: 언어와 음악이 인간의 인지 기능을 공유
좁은 범위: 음악도 언어처럼 계층적인 내면 구조를 가지고 있음
*언어와 음악의 관계
-산문은 음악이나 운문에 비해서 그 형식(짜임)이 덜 규제화
-그럼에도 산문도 운문이나 음악에서와 같은 현상을 지니고 있음
-언어에도 악절과 시행에서처럼 그 구성단위들이 무리를 지어 계층을 이루며 리듬 이 있음
예) 소나타곡에서 보았던 기승전결의 원칙은 산문, 설화 등 에서도 발견됨
-강세 언어에서 강세가 인접 음절에 연거푸 오는 법이 없음
* 언어와 음악에 공통점이 존재하는 이유
- 인간의 인지 작용의 산물
- 각 형식의 입력에 구조를 부과
- 시간적 공간적으로 연속적이고 복잡한 현상을 좀더 처리하기 쉬운 불연속적 현상 으로 단순화 시키려는 노력의 소산
제 14장 언어와 두뇌
* 두뇌의 생김새와 짜임
-두뇌는, 프라이팬에 약간 지져서 겉을 그슬린 두부처럼, 겉은 좀 거므스름하고 안은 희끄무리한, 또 그 농도도 두부와 비슷한 1400그램 정도의 세포조직
*두뇌에서의 언어 소재지
- 좌반구에서 언어정보를 처리 함
*두뇌의 언어처리 현상
-낱말을 들을 때는 피가 Temporal lobe에 가장 많이 모여 있음
-말할 때는 피가 Central sulcus
-낱말을 볼 때에는 Occipital lobe
-낱말을 생성할 때는 Broca's area
* 근래의 연구에 얻은 결과들
두뇌의 언어기능은 세분화 되어있다.
언어와 지능이 완전히 독립되어 있다.
☞ 맺 는 말
인간은 언어가 있기 때문에 인간 특유의 감정의 하늘과 지성의 세계를 날 수 있다. 문학, 과학, 예술, 의술까지 모두 언어 때문에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언어는 아직도 신비스러운 존재로 남아있다. 따라서 우리는 아직도 해야할 연구가 많이 있으며 인간의 두뇌에서 열쇠를 찾아야 한다.
☞ 부 록
* 언어의 기능
- 통화
- 우리가 일상생활을 할 때 주위의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하게 하는 것
* 문자가 나오게 된 계기
- 눈앞에 보이는 청자와의 직접적인 통화뿐만 아니라, 화자의 음성이 미치지 못하 는 거리나 시간에 처해 있는 보이지 않는 청자와 통화를 해야 할 필요성
- 시간과 공간의 장애를 초월해서 의사를 전할 수 있는 언어의 매개체를 모색하게 됨
* 수 천년을 두고 몇 단계를 거쳐 진화된 결과의 산물 - 문자
-1단계 : 실물에 가까운 그림을 그림으로써 사물을 나타내는 것
-2단계 : 그림문자의 형체가 간소화 되면서, 사물만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물과 관 련된 개념들도 표시
-3단계 : 문자의 형체가 원래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으리만큼 더욱 간소화 되고 인습화됨
표의문자가 표음문자로 이전되기 시작함
* 음절 문자 (音素文字, syllabary)
-4단계 : 상형문자의 의미와 발음이 분리되어 발음만이 남게 되는 과정
* 음소 문자 (音素文字, phonemic 또는 alphabetic writing system)
* 한글
- 우리말을 표기하는 우리 고유의 음성 표기체
- 현대 언어학의 이론을 무려 오백년 앞당겨 적용해서 만들어짐
- 세종임금은 표면상의 음성형 뿐만 아니라 기저형과 음운규칙에 대한 개념까지도 계획하고 계셨음
☞ 참고문헌
강범모 : 2002 생성어휘부 이론의 다의어 기술방법과 그적용
강석근 : 언어학과 인지
강정희 : 2002 언어 접촉과 언어 변화 『국어학』
김민수 : 1981 『국어의미론』서울 일조각
김완진 : 1872. 『언어와 문학』 서울 탑출판사
도수희 : 1987 『한국어 음운사 연구』서울 탑출판사
박영배 : 2001 『앵글로색슨족의 역사와 언어』서울지식산업사
송향근 : 2000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서울 박이정
심재기 : 2000 『국어어휘론의 신강』서울태학사
안상철 : 1998 『형태론』서울 민음사
양동휘 : 1994 최소이론. 장석진편 : 『현대언어학지금어디로』
이익환 : 1985 『의미론개론』서울한신문화사
이장송 : 1999 『담화표상이론』 서울한국문화사
-등등 이하생략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2.07.06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49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