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국어과 본 차시에 적합한 수업 모형은 무엇인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학교 국어과 본 차시에 적합한 수업 모형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법과 문법교육
 2. 국어지식(문법) 영역의 교육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
 3. 국어지식교육의 필요성 및 목표
 4. 국어지식 교육과정의 변천
 
Ⅱ.본론
 1. 국어과 1~4학년 교육과정 문법 영역 분석
  가. 국어과 1~4학년 교육과정 문법 영역 성취기준
  나. 국어과 1학년 지도서 문법 영역 교수 학습 모형 분석
  다. 국어과 2학년 지도서 문법 영역 교수 학습 모형 분석
  라. 국어과 3학년 지도서 문법 영역 교수 학습 모형 분석
  마. 국어과 4학년 지도서 문법 영역 교수 학습 모형 분석
 2. 모형 활용의 실제
  가. 직접 교수 모형
  나. 문제 해결 학습 모형
  다. 지식 탐구 학습 모형
  라. 역할 수행 학습모형
  마. 전문가 협동 학습 모형(간편 직소 모형)
 3. 본 차시 적합 모형 분석표

Ⅲ. 결론
 1. 토의 준비 과정
 2. 토의 진행
 3. 최종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형도 적용에 무리가 없다. 우리 조는 이렇게 결론을 내렸다.
은지 : 문제 해결 학습모형, 지식 탐구 학습모형을 비교해 봤는데, 학습자 수준에 따라 적합한 모형이 다를 것 같다 미리 국어사전을 차는 방법을 알았다면 지식 탐구 모형이 적합한 것 같고 그렇지 않다면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이 적절한 것 같다.
강주원 : 문제 해결 학습모형도 점수가 잘 나왔는데 너무 탐구 과정에만 치중하면 낱말의 뜻을 아는데 부족 하지 않을까 해서 지식탐구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상황만 알면 되는 것이 아닌가?’로 생각하면 문제 해결 학습 모형도 좋다
교수 : 이 학습의 핵심은 무엇인가? 낱말이 쓰이는 경우만 알면 될까? 아니면 낱말 뜻까지 다 알고 가야할까?
강주원 : 살펴보는 것인지 아는 것까지인지 정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다.
조인성 : 낱말의 뜻에 대해서는 살펴만 보고 가야 하는 것 아닌가?
교수 : 해석하기 나름이다. 하지만 교사가 범주를 명확히 정해 주어야 한다. 동음이의어 다의어를 범주를 정해서 제시해 주어야한다. 문제의식을 같도록 해야 한다. 칠판에 제시된 상황을 다른 단어로 바꿔볼 수 있는가?
일동 : 맥락 알기, 경우 알기?
교수 : 핵심을 정확히 포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아이들은 이해학습이라 무엇인가를 배운다. 아이들이 새롭게 배운 내용을 문장으로 진술해 보자. 예를 들자면 ‘하나의 낱말이 여러 가지 뜻을 가지고 있기도 하구나.’ 정도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진술했다면 다 배운 것인가? 다의어에 대해 학습했는데 학습 목표에는 다의어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는다. 학습 목표가 명확히 기술되어 있지 않다. 여러 가지 낱말이 쓰이는 경우만 살펴보면 되는 것인가? 그것을 넘어서는 무엇인가가 있다. 그것을 아이들의 언어로 진술해 보자.
일동 : 동음이의어와 다의어는 다르구나.
강주원 : 52쪽을 주로 활동했다. 동음이의어와 다의어가 다르다는 것을 알아보았다.
교수 : 3번 활동에서는 경우라는 말을 다른 말로 바꾸어야 한다. ‘실생활에서의 쓰임’ 이나 ‘다의어의 예를 알아보자.’ 정도가 적절할 것 같다. 지식 탐구 모형의 핵심은 아이들이 찾아보는 것에 있다. 하지만 1차시에는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일반화는 ‘다의어를 알아보자’ 라는 목표였을 때 어울린다. 이 차시는 살펴보는 자체가 목표다. 지식 탐구에는 일반화라는 말이 있으니까 직접교수법도 어울리지 않을까? 문제 해결 모형도 가능한 것 같다. 물론 학생의 수준, 교사의 의도에 따라 결정이 될 것이다.
모형을 보면 5가지 모형마다 활동 명칭이 다르다. 활동 명칭을 보면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뉜다.
<문제 해결 학습 모형>
1. 여러 가지 뜻이 있는 낱말 살펴보기
2. 낱말 뜻 알아보기
3. 도전 골든벨
활동3은 일반화된 용어가 아닌 교사의 주관적인 활동명이다. 여기에 만일 활동 3을 다르게 진술 한다면, ‘더 알아보기’ 혹은 ‘더 찾아보기’ 정도의 활동명이 적절하지 않을까?
<직접교수법의 활동>
1. 여러 가지 뜻이 있는 낱말 살펴보기
2. 낱말 뜻 찾는 방법 알기
3. 직접 찾아보기
정교화 되어야 할 것은 활동3의 명칭으로 ‘국어사전 찾아보기’, 또는 ‘다른 낱말 더 찾아보기’ 정도가 좋을 것이다
활동 1,2,3의 활동명이 활동내용중심 진술인지 활동 형식 중심인지 활동명의 층위를 한가지로 통일하어야 한다. 교수학습 과정안을 짜는 이유는 내 수업을 보는 사람들 즉, 심사위원 등 평가자에게 보여주는 것으로 이런 부분이 교사의 전문성이 된다. 단 학습자에게 딱딱하게 다가갈 수 있는 활동명의 경우 과정안의 활동명과 실제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활동명이 달라질 수 있다.
3. 토의 결과 정리
우리 조는 우리조의 조사 과정과 최종 분석을 종합해 본 차시는 수업 목표와 내용, 교과서 구성, 영역 등에서 지식 탐구 모형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실제 토의에 따르면 단원의 전체적인 흐름과 선수 학습과 차시 목표에 대한 분석이 잘못되어 모형의 적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 같다. 따라서 모형을 적용할 때는 차시의 목표를 정확히 분석하고 과목의 전체 학년별 성취수준을 파악하는 등 교재 측면에서 더 연구가 필요한 것 같다.
우리 조가 다섯 개의 지도안을 작성하다 보니 활동명이 겹치고 정확히 그 모형의 특징을 살리지 못한 점도 모형 적용의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지도안을 작성할 때에는 수업 모형에 알맞게 학습 목표를 신중하게 고려하고 활동명도 그에 알맞게 작성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실제 수업을 위해 수업 모형을 선택할 때에는 이러한 교재측면의 검토뿐만 아니라 실제 현장의 학생과 수업을 할 교사, 장소나 시간 등 수업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차시도 교재 외의 이런 여러 다른 측면에 따라 지식 탐구 학습 모형이 아니라 다른 모형이 더 적합한 모형이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교사는 적합한 모형의 선택을 위해 항상 학습자의 실태를 항상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교실의 상황과 자신의 모형활용능력 향상에 신경 써야 한다.
Ⅳ. 참고문헌
이관규, 《국어교육을 위한 국어 문법론》, 집문당, 2005
김광해, 《국어 지식 교육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박영순, 《국어문법교육론》, 박이정, 2006, p13
류성기, 《초등 국어지식 교육론》, 박이정, 2001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국어, 도덕, 사회》, 미래엔컬처그룹, 2009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1-1》,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1-2》,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2-1》,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2-2》,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3-1》,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3-2》,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4-1》,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이재승, 《좋은 국어 수업 어떻게 할 것인가?》, (주)교학사, 2005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2.09.26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1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