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기업 - 사회적기업 이전단계인 장애인 직업재활 시설 중심으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적 기업 - 사회적기업 이전단계인 장애인 직업재활 시설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가. 장애인직업재활시설
  1) 목적
  2) 근거법령
  3)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종류와 기능
  4) 장애인 보호유형의 분류와 적용
 나. 운영사례검토
  1) 국외사례검토
  2) 국내사례검토

3. 결론

본문내용

교육을 통해 일반고용의 기회를 제공하며 자립생활지원을 위한 거점으로서 중증장애인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사회통합을 위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도모한다.
동천모자는 2002년도 설립하여 2007년 10월 사회적 기업 인증을 받았으며 주요생산품은 모자, 자수, 의류, 재생카트리지 등이다. 2009년 3월 기준으로 78명의 근로자 중 44명이 장애인이며 비장애인은 34명이 일하고 있다. 동천모자는 군모생산라인 구축, 프로모션 제품 생산, 자체 브랜드 개발 등 다양한 기능성 신제품을 개발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으며 전국단위의 판매망 확대, 온라인 판매망 구축 등을 통한 영업망을 구축하고 있다.
모자를 만드는 근로자 또한 장애인 직업재활 사업과 사회재활 사업을 병행하여 장애인 직업기술 훈련 확대 및 적합 직무배치, 첨단자동화, 기게기술훈련, 신규채용 확대, 정기적 직업평가 실시, 능력별 임금체계 구축 등 다양한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동아리 활동 활성화, 정보화교육, 스포츠 활동, 사회적응 훈련, 하계캠프, 리더양성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회재활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장애인들의 전인적인 재활을 도모하고 있다.
(2) 경기도 무궁화전자
경기도의 경우 9개의 근로작업시설과 20개의 보호작업시설, 22개의 작업활동시설, 1개의 직업훈련시설 등 총 52개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이 있다. 여러 시설 중 가장 규모가 큰 시설이며 성공 모델로 알려진 무궁화전자의 사례를 살펴보도록 한다.
<표 4>
구 분
무궁화 전자
소 재 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원천동 337-6
운영주체
사회복지법인 무궁화 동산
시 설 장
김 창 지
상시근로자
170명 (장애인 120, 비 장애인 50)
주요 생산품목
청소기(완제품), 운전보조장치, 충전기 등 임가공
근로시설
경영방법
자본금 234억원(삼성)으로 하고 현재는 법인 직영(수주판촉)
운영특징
법인 자체 직영사업으로 주 품목 청소기 완제품을 납품하고 기타 충전기 등을 임가공하여 장애인 고용기회 제공
무궁화전자는 근로작업시설로 사회복지법인 무궁화동산에서 운영하고 있다. 120명의 장애인이 고용되어 근무하고 있으며, 청소기와 운전보조장치 충전기등을 생산하고 있다. 흑자경영 모델로서 운영상 특징으로는 법인 자체 직영사업으로 주 품목 청소기 완제품을 납품하고 기타 충전기 등을 임가공하여 장애인 고용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비교적 성공적인 모델이라 할 수 있다.
(3) 광주광역시 엠마우스산업
<표 5>
구 분
엠마우스산업
소 재 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안청동 729-3
운영주체
사회복지법인 무지개동산
조 직
직원현황 : 16명/ 종사자 13명, 공익요원 3명
- 자원봉사자 1일 5명/ 식사, 성교육, 작업지원 등
상시근로자
정원 : 50명 / 현원 39명 / 지적장애 36, 자폐성장애 3
주요 생산품목
양초, 화장지, 재활용품 수거 분리 판매
근로시설
경영방법
근무시간 주5일 근무
- 임금 최고 79만원, 최저 55만원 4보험 및 퇴직적립금
운영특징
법인 자체 직영사업(수익)으로 주 품목 양초 등을 납품
엠마우스산업은 근로작업시설로서 사회복지법인 무지개동산이 운영중인 시설이다. 지적장애 36명과 자폐성장애인 3명이 고용되어 있으며 양초, 화장지, 재활용품 수거 분리판매 등 단순 기능 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이할 만한 사항은 근무시가 주5일을 준수하고 있으며, 적정임금을 지급하려는 경영 의지가 돋보인다는 점이다.
(4) 충청북도 보람동산
<표 6>
구 분
보 람 동 산
소 재 지
충청북도 청원군 북이면 현암리 12
운영주체
사회복지법인 보람동산
시 설 장
활 월 선
상시근로자
90명(장애인)
주요 생산품목
복사용지, 봉투 및 인쇄제조, 하이샤시 클러조립, 여행용세트 및 기저귀 포장 임가공 등(5종)
근로시설
경영방법
설립당신 LG에서 50억 출연, 현재 사회복지법인 수익사업으로 직영체제
운영특징
* 법인 자체 직영사업으로 주 품목을 제조, 기타 임가공 물품을 납품하여 장애인 고용기회 제공
* 계약된 납품업체의 물품 수주 영업이익을 증대
보람동산은 충청북도 11개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중 고용규모가 가장 큰 근로작업시설이다. 장애인 상시근로자 90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복사용지, 봉투 및 인쇄제조, 하이샤시 룰러조립, 여행용세트 및 기저귀 포장 임가공 등 5종의 품목을 생산하고 있다. 특이할 만한 사항은 기업체에서 출연하여 설립이 되었으며, 현재는 사회복지 법인에서 수익사업으로 직영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6) 국내사례 종합검토
가. 문제점
① 우선 직업재활시설 역사가 길지 않다는 점
② 국가의 직업재활시설 운영의 활성화에 대한 의지가 비교적 약하다.
③ 운영 목적에 따른 대상 장애인의 선정, 전문 인력 구성에 미비.
④ 직업재활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법령과 지침, 전문인력 확보등의 구체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⑤ 생산하는 업종이 대체로 수익성이 떨어지는 제조업 중심이고, 상품의 판 매와 홍보를 위한 판로개척과 마케팅 전략이 취약.
나. 시사점
① 직업재활시설의 성격과 기준을 명확히 하여 장애인의 작업능력에 따라 직업재활시설이 각기 다른 특성과 목적을 가지고 발전할 수 있도록 제 도화되어야 할 것이다.
② 고용된 장애인의 임금 현실화가 당장 이루어져야 한다. 최저임금제를 보 장 할 수 있도록 하고, 훈련이나 고용의 기능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Ⅲ. 결론
앞서 기술한 우리나라의 장애인과 관련되 직업재활시설의 유형을 살펴 보았다. 이와 같은 직업재활시설의 경우 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공동으로 일하는 공동체유형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거기서 일하는 장애인 노동자는 정규계약을 맺고 기능훈련을 받으면서 일에 종사하고 있다. 그러나 그 재정은 공공보조금으로 꾸려지고 있어 일반고용을 지향하는 사회적 기업의 성격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직업재활시설이 사회적 기업으로 가기 위해서는 재정과 판로 그리고 작업량 확보의 어려움 등의 뛰어 넘어야할 과제들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자생력을 스스로 강화하기 위해서 사회적자본의 개척과 활용, 틈새상품개발, 판로개척, 높은 품질의 확보, 생산성, 향성을 위한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10.23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30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