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교육권 현황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 교육권 현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ity
; http://www.lions.psu.edu/ODS/
Disability Service, University of Sydney; http://www.usyd.edu.au/
su/disability/welcome.html
Disability Resource Centre, University of Cambridge; http://www.came.au.uk/
cambuniv/disability
츠쿠바대학 홈페이지 http://tsukuba.ca.jp
츠쿠바단기기술대학 홈페이지 http://tsukuba-tech.ac.jp/college.htm
Education and skills: http://www.dfes.gov.uk/consu..
The Special Education Needs and Disability Act;
http://www.techdis.ac.uk/resources/skill01.html
The Revised Code of Practice. November 2002: http://www.bda-dyslexi.org.uk
Overview of standards in special schools:
http://www.archive.official-documents.co.uk/document/ofsted/spe
Special Education in England; http://edreform.com/pubs/beales2.htm
Programme specifications Introducation; http://www.qaa.ac.uk/crntwork/progspec
Disability and web site provision; http://bunnyfoot.com/freestuff/articles/accessibility/
legal.html
Some Special Projects of WWD: http://wwd.amps.org/projects.html
SEN Code of Practice on the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Pupil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 SEN Thresholds-good Practice Guidance on Identification and Provision for Pupil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http://www.dfes.gov.uk/publications/guidanceonthelaw.dfeepub/ju100
Accessibility of Higher Education Websites; http://www.bunnyfoot.com
Education law; http://www.nutter.com/practice_education.cfm
Advancing the Inclus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ttp://www.hrdc-drhc.gc.ca
In Union: A Canadian Approach to Disability issues; http://socialunion.gc.ca/pwd
Social education in canada; http://www.ccsd.ca/perception/252/specialed.htm
University Policies, Procedures & Regulations Database; http://www.yorku.ca/
secretariat/legislation/senate/spcneeds.htm
장애인고등교육 현황과 함의
글쓴 이 : 장애인학생지원네트워크 상임 활동가 김형수(2004년 6월 2일)
고등교육과 대학, ‘장애인학생’ 그리고 국가.
1. 장애인에게 고등 교육의 의미.(한국의 현재에서)
- 재활과 복자차원의 고용에서 자력갱생을 통한 전문 인력으로서의 사회 통합 및 참여(자아실현포함).
- 학력과 학벌로 사회적인 차별을 희석시키고 자신의 ‘장애’에 대한 은폐물로 사용(장애극복이데올로기)
2. 국가(사회)가 고등교육을 하는 목적.
- 노동 시장의 전문 인력 공급(전문가 양성) - 학력을 통한 계급 계층이동으로 사회 갈등 최소화
3. 장애인의 고등교육(대학학부과정)이 확대된 다른 관점.
- OECD 가입과 김영삼 정부, 1995년 장애인특별전형 실시 함의.
- 대학구조조정과 대학정원의 블럭화, 학부제등과 장애인 학생 등장의 함의.
- 장애인고등교육의 시장주의적 접근: 사립대학 중심의 권장 (국가차원의 사회적 약자 보상 조치 없음)
4. 일어나는 문제점과 현상
: 교육공공성과 반대로 장애인고등교육의 사적 시장의 기형적 확대.
국공립대학, 교육대학 대부분이 아직 장애인에게 제한적으로 허용하거나 접근을 거부하고 있음.
대부분의 국가 시험에서 장애인 학생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 부재 : 각종 고시, 임용 시험 등
국가 차원의 전문가 양성의 의도적 포기이며 장애인고등교육정책의 혼란상을 드러낸 것임.
통합의 반작용 : 강제화된 통합 환경, 준비없이 무한한 자유를 가지는 장애인 학생.
초중고의 교육 환경, 패러다임등이 없어, 과정(process)이 아닌 결과(result)로써의 고등 교육 존재. 따라서 장애인이 학생으로서 총체적인 교육과정을 완성 못하고 단절됨. 95~98학년도 이후 대학시장안보를 위해 준비없이 대학 사회로 덤핑(dumping)된 장애인 학생은 스스로의 엄청난 혼란과 비장인 학생과의 갈등을 겪는다.
갈등의 이유 : 대학이 장애인 교육 능력을 갖추지 못함.( 교육 환경, 전문 인력, 교과 과정 부재)
이에 전문인력으로 사회에 진입하지 못하고 계속 장애인 사회에 의존할 수 밖에 없도록 함.
예) 특수교육 호빵맨, 특수교육 안마사
5. 결 론
1) 장애인 고등교육과 대학 관련 법 들의 강제화 ( 국공립 대학 국가 목적 대학의 전면 개방)
2) 장애인 고등 교육의 정상화를 통한 초중고, 평생 교육의 정상화 완전 통합의 질적 완성.
3) 고등 교육 전 과정, 노동시장 진입으로의 재구조화 차별 금지. 전문가 양성
4) 은폐물로써의 ‘장애’가 아니라 인격으로서의 ‘장애’로 사회 참여하는 장애인 학생 양성체제 구축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7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