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정신보건 사회복지 실천모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회복지 실천모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회복지 실천모델 .
.
.
.
8.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미국의 경우 정신보건 분야는 사회복지사협회(NASW) 회원의 절반가량이 고용되어 있고, 석사학위를 가진 사회복지사의 39%가 일하고 있을 정도로 사회복지사의 대표적인 일터이다. 그리고 사.
.
.
10. 한국의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회복지 실천모델

한국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정신보건시설에서 일한다. 정신보건법에 의하면, 정신보건시설은 정신의료기관.

.
.

본문내용

하고도 일관된 인식이 없다. 히스테리적 성격 장애는 정서적 과민 반응을 나타내고 타인의 관심을 끌기 위해 지나친 행동을 한다.
⑥ 자아도취적 성격장애 : 지나치게 거드름을 피우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칭찬해 주길 원하며 감정이 입이 결여되어 있다.
⑦ 의존적 성격장애 : 타인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며 항상 보고받기를 원한다.
⑧ 강박적 성격장애 : 정리정돈, 완벽주의, 통제를 지나치게 추구한다.
(4) 기분장애
① 우울증
증세 - 슬프고 우울한 기분, 흥미와 즐거움의 상실, 식욕 감퇴 또는 식욕 증가, 불면증 또는 지나친 수면, 우유부단, 부정적 자아개념, 자살이나 죽음에 대한 사고.
② 양극성 장애 : 우울증과 조증 반복, 조증은 기분이 고양되고 안절부절 못하며 활동량이 증가하고 자신의 능력을 과신한다.
(5) 약물 관련 장애
약물을 복용한 결과 사회적 기능이 손상되고 행동에 변화를 보이는 것을 말한다.
(6) 신체형 장애
생리적 원인을 알 수 없는 증상들을 호소한다. 질병에 걸렸다고 지나치게 걱정하는 심기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도 포함한다. 신체형 장애는 동기가 뚜렷하지 않다는 점에서 의도적으로 증상을 호소하는 가성성 장애와 꾀병과는 다르다.
2) 상호 작용 모델
상호 작용 모델은 메디컬 모델이 진단이나 치료 효과가 별로 없는 반면에 정신질환자를 낙인찍어 역효과만 가져온다는 비판하에서 출발했다.
① 개인장애 : 과도한 불안, 억압, 공포, 상실감. Szasz는 이러한 개인장애가 정신질환이 아니라 정확히 말해서 정신 작용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확신했다.
② 반사회적 행동 : 엽기적 살인과 기타 사회적 일탈. Szasz는 반사회적 행동이 사회적 일탈에 속하는 것은 틀림없다고 하면서 그것은 ‘정신 작용’도 아니고 ‘정신 질환’도 아니라고 했다.
③ 성격 변화를 야기하는 두뇌 기능 저하 : 동맥경화, 알코올중독, 알츠하이머병, 에이즈, 전신마비, 사고로 인한 심각하 두뇌 손상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두뇌 기능 저하가 개인의 성격을 변화시켜 생기는 정신질환이다. Sazsz는 이러한 장애가 정신질환이긴 하지만, 두뇌의 병이 아니라 마음의 병이라고 규정했다.
* 상호 작용 모델에 의한 개인이 정신질환자로 낙인찍히는 과정
① 이상한 일탈행동을 하기 시작한다.
② 그런 행동에 대해 가족이나 지역사회가 이상하게 생각해 정신과 전문가에게 보내진다.
③ 메디컬 모델에 따라 그를 정신질환자라고 낙인찍는다.
상호 작용 모델을 믿는 사람들은 인간이 정서적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이해할 수 없는 정신질환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메디컬 모델에 의거 정신질환자를 낙인찍으면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호 작용 모델에서는 정신질환은 신화에 불과하고, 사람이 정신질환자로 규정되는 이유는 두 가지인데, 하나는 심각한 정서적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역기능적인 행동을 하는 것이다.
8.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미국의 경우 정신보건 분야는 사회복지사협회(NASW) 회원의 절반가량이 고용되어 있고, 석사학위를 가진 사회복지사의 39%가 일하고 있을 정도로 사회복지사의 대표적인 일터이다. 그리고 사회복지사는 정신보건 분야에서 핵심 전문직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예방, 진단,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신적 문제를 가진 사람에게 상담과 심리치료를 제공함에 있어 개인보다는 가족을 중시한다.
정신보건 분야의 사회복지사를 과거에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오늘날 임상사회복지사
정신보건 분야의 핵심 전문가는 임상사회복지사, 정신과 의사, 임상심리학자이다. 이들 세 전문직은 정신보건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한다. 그 외에도 정신보건 간호사, 직업치료사, 레크리에이션 치료사 등도 참여한다.
9.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고용 세팅과 역할
①정신병원 : 정신질환자를 일정 기간 입원시켜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하는 곳이다. 환자에 대한 규제가 가장 심하다. 사회보장제도가 진료비를 부담한다.
②생활치료센터 : 정서적 문제 또는 행동상의 문제를 가진 청소년이나 성인을 입소시켜 생활하면서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하는 시설이다.
③종합병원의 정신과 : 입원 환자 중 정신과 치료가 필요한 사람을 치료한다.
④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 : 심리치료와 함께 정신질환 예방교육도 제공한다. 임상사회복지사가 핵심 전문직으로 활동한다.
*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케이스매니지먼트, 심리치료, 집단치료, 가족치료, 정신보건정책실천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10. 한국의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회복지 실천모델
한국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정신보건시설에서 일한다. 정신보건법에 의하면, 정신보건시설은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사회복귀시설, 보건소를 포함한다.
① 정신의료기관 : 의료법에 의한 정신병원, 정신과 의원 및 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에 설치된 정신과.
② 정신요양시설 : 정신의료기관에서 의뢰된 정신질환자와 만성 정신질환자를 입소시켜 요양과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훈련을 행하는 시설.
③ 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 : 정신질환자를 정신의료기관에 입원시키거나 정신요양시설에 입소시키지 않고 사회복귀 촉진 훈련을 행하는 시설.
* 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의 대상
① 만 15세 이상으로 정신의료기관의 정기적인 치료를 받고 있는 정신질환자.
② 자해 및 타해의 우려가 적은 자.
③ 알코올 및 치매, 만 15세 미만의 소아정신질환자.
④ 정신지체는 제외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만성 정신병을 동반하는 경우에 가능.
⑤ 기타 정신질환자의 주치의가 기능상의 장애로 인해 사회적응 훈련을 포함한 사회복귀시설의 이용 및 입소가 특별히 필요로 하여 의뢰하는 경우.
우리나라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은 1977년 건강보험의 도입과 함께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서비스가 보험수가로 인정받게 됨으로써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현재 건강보험이 인정하는 진료수가는 개인력 조사, 사회복지실천지도, 사회조사, 가정방문 등이고, 전문의 지도 아래 제공되는 일반 집단치료, 정신치료극, 작업요법 및 오락, 정신과적 재활요법, 정신과적 응급처지 등도 포함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51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