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교와 이슬람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그리스도교와 이슬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해 이슬람교를 환영했을 것이다. 즉 교회가 교회답지 못하고 분열과 빈부의 차이, 인권문제, 기복신앙에 흔들리고 있을 때, 질서 있고 형제애를 주장하는 무슬림 공동체의 매력에 이끌려 무슬림 공동체를 선택했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 교회의 대 한국 이슬람선교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한국 교회의 참회적 자세를 가져야 한다. 이것이 바로 한국 이슬람권의 선교적 과제를 이행하는 출발점인 것이다. 아울러서 우리는 기독교가 무너지고 이슬람이 세워져 가는 유럽적 상황을 좀 더 면밀히 연구 검토해서 한국 기독교의 미래를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한국 교회는 또한 방황하는 청년들을 찾아 나가야 한다. 한국 교회는 한국의 어떤 젊은이들이 어떠한 이유로 이슬람교를 받아들이는지 그 이유부터 인식해야 한다. 첫째는 경제적 이유이다. 한국에는 취업이 어렵고 혼란스러운 한국 땅을 벗어나 경제적인 보장이 이루어지는 외국 파견 직업을 선호하는 이들이 있는데 이들 중 일부가 무슬림 지역으로 나가기를 자원하고 있다(전재옥, 앞의 책, p.44.). 둘째로 정치적인 이유이다. 정치적인 이유로 이슬람교를 받아들이는 것은 극히 드문 일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한국 현실에 대한 실망과 좌절로 인한 고독감에 시달리는 이들이 삶의 극복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형제애의 교리가 매우 강한 무슬림 공동체에 소속되기를 원하기도 한다(전재옥, 앞의 책, p.44.). 세 번째는 교육적 이유이다. 이것은 앞의 두 가지 이유보다 더 매력적인 것이다. 특히 1960년대 초기 한국에서 유학의 길이 매우 좁았던 시기에 이슬람교로 개종한 이들은 중동, 파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에서 정통 이슬람교를 연구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이슬람교는 학문으로 다룰만한 역사와 신학이 있고, 학문의 모든 것을 이슬람교 안에서 접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슬람 예술, 문화, 경제, 언어 등 이슬람교와 관련된 학무의 깊이와 높이는 젊은이들에게 커다란 도전인 것이다. 현재도 아랍 언어반, 학생반, 문화 활동반 등 거의 다 회비나 등록금이 없이 모여서 관심분야를 연구한다. 이슬람교는 동양종교들, 힌두교, 불교, 유교 못지않게 연구할 것이 무궁무진한 종교인 것이다(전재옥, 앞의 책, p.44-45.). 그러나 이제는 선교적 측면에서 이슬람교를 선교 신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요청되는 시점이 되었다.

7. 결론
한국의 이슬람교는 서울시 동대문구 이문동에서 한국 이슬람교협회를 발족, 초대회장 김진규, 부회장 겸 사무국장 윤두영과 신도 70여명으로 시작되었다. 초창기 10여 년간에 포교운영의 고난을 극복하고 65년 한국 이슬람교 중앙연합회로 재발족, 67년 3월 재단법인 한국 이슬람교로 인가되어 신도 7500의 교세를 갖게 되었다. 76년 5월 현재의 용산구 한남동에 중앙 성원을 건립하고 (사우디아라비아, 기타 6개국의 원조로) 80년 항도 부산에 제2성원, 81년 경기도 광주에 제3성원을 건립하였다. 또한 해외교포를 위하여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인도네시아에 지회가 설립되어 국내의 신도 수 약 32000의 교세를 가지게 되었다. 80년 5월 최규하 대통령의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시 고 칼리드 왕과의 공동성명을 통해 한국 이슬람 대학교 설립 공사비 일체의 제공을 확약 받았으며 경기도 용인에 13만 평의 대지를 확보하고 기공식을 가졌다. 현재 한국 이슬람교는 70년대의 중동 붐을 타고 두드러지게 교세가 확장되어 근래에 매년 중동 각 국에서 무슬림이 되어 귀국한 1700여 명의 기능 근로자 신도들을 핵으로 삼아 신도 배가 운동을 펴고 있다.

또한 이슬람국가에서 이주해 온 외국인 무슬림 근로자들과 주한 이슬람국 대사관, 영사관 등 외교관 신분으로 들어와 있는 무슬림들 및 사업차 또는 학생의 신분으로 한국에 들어와 있는 무슬림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각각의 이슬람 공동체에서 한국내의 이슬람 확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통한 한국에서의 이슬람 선교는 다원화된 사회의 한국인의 습성 및 기호와의 차이점을 비롯하여 예배의식의 용어 및 교리의 토착화 등 숱한 난제를 안고 있다.

한국 이슬람이 한국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토착화되어야 하며 상황화에 성공해야 한다. 그러나 이슬람의 한국 토착화는 말처럼 쉽게 이루어 질 것 같아 보이지 않는다. 이슬람에 있어 상황화는 이슬람의 정통성을 깨뜨리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송원규, 한국 이슬람의 현황과 전망, 합동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p.41-42.).

한국교회는 위와 같은 한국에서의 이슬람의 현재 상황을 인식하고 주의해야 한다. 지금은 해외 이슬람 선교뿐만 아니라 국내 이슬람 선교에도 관심을 가져야할 시점이 되었다. 한국교회가 이러한 상황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대응과 선교전략이 구비되지 못한다면 유럽의 여러 나라들처럼 한국도 이슬람의 주요선교 요충지가 될지도 모른다.

참고문헌
공일주, 중동의 기독교와 이슬람, 예영 커뮤니케이션, 2003.
김창호, 세계선교 현황과 과제, 2000.
무함마드 깐수, 세계 속의 동과서, 문덕사, 1995.
송원규, 한국 이슬람의 현황과 전망, 합동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이광호, 이슬람과 한국의 민간신앙, UUP(울산대학교 출판부), 1998.
이희수, 한.이슬람 교류사, 문덕사, 1991.
이희수. 이원삼 외, 이슬람(9.11테러와 이슬람 세계 이해하기), 청아, 2002.
전재옥, 기독교와 이슬람,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전재옥, ‘한국의 무슬림 공동체에 대한 선교 신학적 접근’, <아시아 무슬림 공동체>, 전재옥
역, 1998.
전호진, 전환점에서 선 중동과 이슬람, SFC출판부, 2005.
정수일, 이슬람문명, 창비, 2006.
한국 이슬람 40년사, 한국이슬람 중앙성원, 1997.
브리테니커 연감, 2007.
Briannica Book of The Year, 1998.
Fouad Abd Elsalam Elkhazindar, 이슬람의 한국 전파와 한국의 무슬림 실태조사, 서울:경희대학교, 1985.
http://www.koreaislam.org/
http://islamkorea.org/kr/index.php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65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