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의 리더십>!!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정일의 리더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김정일의 신상


본명 : 김정일
현직 : 당총비서, 군최고사령관, 국방위원장, 정치국 상무위원,
최고 인민회의 제 10기 대의원
최종학력 : 김일성 종합 대학 경제 학부 정치 경제 학과 졸업
성격 : 내성적, 성미가 급하고 약간 즉흥적, 효성심 지극. 결단력 많음, 통이 큼
업무스타일 : 밤 11시 새벽 5업무 집중 처리, 의외성과 대담성
인사스타일 : 친인척 배재 ,보수적, 합리적 인사
정치 방식 : 광폭, 인덕 정치 주장, 현실타파형 , 스케일 강조
경제관 : 자립적 민족 경제 노선
개인자질 : 예술적 자질과 빠른 두뇌 회전, 다재다능


Ⅱ.통치 형태

ⅰ유훈 통치?

-유교적 신념을 방식으로 하는 정치

-과거 김일성의 언행을 답습하고 원로들에 대한 깍듯한 대우

●원인: 어릴적 어머니 김정숙으로부터 받은 엄격한 유교식 교육




ⅱ극적인 전환?


-영화와 같은 극적인 상황을 즐김

-이로 인해 예측 불가능한 인물로 보여짐

●원인: 영화 예술에 관심이 많은 그로서 시나리오를 쓰듯 정책
결정

ⅲ비공식 통치?

-비공개적 토론에 의한 정책 결정을 좋아함

-"party cabinet(연회 관료)들과의 비공식 연회로 친목을 다짐

●북한의 실세는 공식 서열이 아닌 이러한 비공식 모임에 얼마나
참여하는 가에 달라 진다


Ⅲ조직 장악 능력

ⅰ당조직을 확실히 장악하고 있다.

-인사권을 가지고있는 비서국 장악

-이는 당 조직 지도부 장악을 의미

ⅱ군사력을 장악하고 있다

-군을 통제하는 중추적 역할을 하는 당중앙 군사 위원회의 장악

-실직적 최고 기관인 국방 위원회를 완벽히 통제함

ⅲ군총정치국을 장악하고 있다

- 총정치국이란?
군대의 당사업을 수행하는 막강한 기구

- 이 기구는 사업을 집행하지만 사업에 대해서는 당중앙위에 보고
하도록 되어있음
4. 정치방식
김정일은 현 북한 의 최고 지도자로써 그의 정치방식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부분이 베일에 가려져 있다. 그가 북한 내부에서 행하는 정치활동은 거의 외부에 알려져 있지 않고, 해외 방문도 거의 없었다. 있다고 하여도 그가 무슨 말을 했는지, 무슨 문제에 관심을 가졌는지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북한 내부에서도 마찬가지로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이를 보여주는 예로 북한 국민들은 김정일을 로동신문이나 중앙방송 등 관영 언론매체를 통해서만 접한다. 그는 또 항상 현지지도와 사찰을 통해, 군대의 열병식이나 대규모 당ㆍ정 회의의 개막식 등을 통해서만 국민들에게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행동 때문에 김정일은 신비화된 지도자의 이미지로 주위에 각인된다.
그의 정치경력을 당의 조직지도와 선전ㆍ선동 분야에서부터 쌓기 시작했으며 특히 조직사업을 지난 30여 년간 담당했다는 점은 그가 북한을 지배하는 실질적 지도자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가장 명확한 증거다. 당 비서국 조직지도부는 “그야말로 ‘당속의 당’이다”라고 말할 만큼 그의 북한에서의 지위는 막강하다.
더 중요한 점은 그가 당 조직 분야를 담당했던 197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 북한에서 대규모 숙청이 벌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유일지도체제 10대 원칙’이 제정되고 북한 사회의 분위기가 냉각된 이후라서 김정일에게 도전할 간부가 나타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이 부분을 달리 해석하면 그의 간부들에 대한 정책이 보수적임을 드러내는 증거로도 받아들일 수 있다. 김정일은 당과 국가, 군대 등 모든 권력기구들을 세분화하고, 각 조직들이 자신만을 쳐다보며 충성경쟁을 하게 만드는 통치술을 발휘해 왔다. 이는 전형적인 분할통치 방식이다.
김정일은 당업무를 통해 통치행위를 시작했기 때문에 국가나 군대보다는 당에 대한 애정을 많이 가지고 있을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서 본격적으로 국가사무를 책임진 이후에는 당 이외의 조직들도 직접 관리하게 된다. 예컨대 80년대 중반 그는 외교업무에 대한 더욱 많은 권한을 당 국제부보다 외무성(외교부)에 부여하고 그 일을 직접 챙겼다. 1991년에 최고사령관이 된 그는 국방업무를 관리하는 최고책임자가 됨으로써 김일성이 살아 있는 동안에 이미 사실상 실질적인 최고통치자가 되었다. 이처럼 모든 분야의 권력기구를 장악했기 때문에 그에게는 당ㆍ정ㆍ군의 역할 분담만 나눌 뿐, 이들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해야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경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자리에서는 내각의 역할을 강조하고, 안보나 기강을 강조할 때에는 군대를 내세우고, 정치나 사상을 내세울 때에는 당을 강조한다. 이렇게 통치를 하기 때문에 내부의 토론과 합의는 존재할 수 없다.
김정일의 통치 아래서 가장 약화된 조직은역설적으로당중앙위원회나 정치국 등 전통적으로 사회주의 국가체제에서 정책결정을 책임지는 최고조직들이라는 사실이다. 이런 의미에서 오늘날의 북한은 매우 독특한 정치체제이다.

본문내용

갖고 있다고 보기보다는 양면적일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전에 정상회담에서 우리는 김정일이 예상과는 다르게 협상에 강한 면모를 보여줬다는 평가를 한다. 전문가들도 그가 대화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는 적극성이 인상적이었다고 지적했다. 또 어떤 면에서는 김일성의 젊고 패기 있는 자세가 김대중 대통령을 압도했다는 느낌을 주었다. 이는 반공 교육을 받고 자서 김정일을 부정적인 인물로 인식해 온 젊은 세대를 당황하게 했다.
김일성의 리더십을 좀더 자세히 분석하기 위해서 리더십에 관한 연구 중 가장 일반인에게 많이 알려진 분석방법인 ‘바버(James Barber)의 분석틀’을 이용했다. 바버는 지도자의 개성이 그들의 ‘활동 에너지’와 ‘정치적 직무에 대한 태도’로 표출된다고 보고 ①적극-긍정형 ②적극-부정형 ③소극-긍정형 ④소극-부정형으로 분류하면서 지도자의 심리적 특성이나 국정운영 결과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김정일은 바버의 이론에 따르면 ‘적극-긍정형’의 리더십에 해당한다. 이러한 리더십의 유형은 성취욕이 강하고 결과 중심적 국정운영을 추구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단점으로는 끝맺음 없이 너무나 많은 일을 벌이고 단기적 시각으로 단기적 성과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 유형에 속한 인물들 중에서 성공적인 지도자로는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과 케네디 대통령을 들 수 있으며, 실패한 예로는 카터 대통령을 꼽는다.
결론적으로 김정일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는 북한체제를 이끌고 갈 만한 충분한 능력이 있다는 것으로 귀결된다. 그는 국정운영 경험을 충분히 쌓았고 조직을 잘 통제하고 있다는 점이 그 이유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27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