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정신장애 강점관점(strength perspective)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정신장애 강점관점(strength perspective)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정신장애 강점관점(strength perspective)

본문내용

하기, 정원 가꾸기, 곡예, 요리), 개인의 미덕과 특성(예를 들면, 통찰력, 인내심, 자제력, 관계의 폭, 유머 감각), 인간관계 기술(예를 들면, 환자 위로하기, 분쟁 조정하기, 집단간 긴장 완화시키기), 인간관계 및 환경 자원(예를 들면, 친척, 인종 연합, 친숙하고 긴밀한 관계, 선량한 이웃), 문화 지식(예를 들면, 치유 예식과 의식, 문화 전승 이야기, 문화 내 영웅의 모범), 가족의 이야기와 서사(예를 들면, 장애물 극복하기, 이주와 정착, 타락했다가 구원받음, 중요한 가족, 유익한 가족 지식), 역경과 싸우며 얻은 지식(예를 들면, 어떻게 살아남아 장애물을 넘었고 신념과 희망을 계발시켜 유지했는지), 직업 혹은 부모 역할에서 얻은 지식(예를 들면, 타인 돌보기, 행사와 각 종 축하 계획하기, 죽어가는 사람 돌보기), 영성과 신앙(예를 들면, 기댈만한 초월적 의미 체계와 자아를 넘어서는 목적의 선언), 희망과 꿈(예를 들면, 개인, 가족, 사회, 직업의 목표와 이상, 더 나은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 그는 절한 위치에 있는 학생들에게 불편하지만 않다면 단순히 그들과 그들이 돕는 사람들 사이에 주고받는 문제더라도 축 6을 “적어 넣으라”고 부탁한다. 또한 그는 치료자에게 친숙해진 내담자에게서 적어도 한 가지의 강점을 찾아내라고 격려하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이 능력 혹은 자원들이 치료 계획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을지 숙고하기 위해서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는 강점 진단 편람 (The Diagnostic Strengths Manual) DSM의 초석을 놓아보겠다. 고 했다.
3.5.4. 사람들이 갖고 있는 재능
클라이언트가 발견하게 된 재능들은 전문가만이 아니라 오랫동안 자신의 재능에 대해 수면상태에 빠져있었던 본인들까지도 놀라게 할지 모른다. 다른 이들에게 주거나 공유될 수 있는 장점들은 그들 간의 결속력을 강화하고, 상호 조언과 우정을 돈독히 할 수 있다.
3.5.5. 문화적인 내용과 가족 의례, 신앙. 이야기, 그리고 민간전승
강점, 지도, 안정, 평안 또는 변화를 위한 아주 깊은 원천인 이러한 자원들이 종종 전문가와 관리자의 의견과 정의에 의해서 배제되고, 과소평가되고 왜곡되는 경향이 있다.
3.5.6. 역경에서 이겨낸 자의 자긍심
성실성, 건강, 심지어 생존에 대한 도전에 직면해 이것을 이겨낸 사람들은 종종 내면 깊숙이 역경을 이겨낸 사람으로써의 자긍심을 가지고 있다.
3.5.7. 꿈과 희망
개인과 가족의 꿈과 희망은 자긍심만큼이나 활력을 자극한다. 강점 중심 실천가들은 열망을 구체적인 형태로써 제시해주고, 그럼으로써 설계된 프로젝트 내에서 자신의 꿈을 향해 한걸음 내딛기 위해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3.5.8. 공동체
어떤 공동체든, 심지어 가장 부실한 공동체에서라도, 거기에는 개인과 가족의 윤택한 삶을 도와줄 사람, 제도, 연합, 조직 그리고 천연자원이 있다. 다른 아이나 성인들을 도와주도록 요청받음으로써, 공동주택에 사는 많은 개인들은, 예를 들어, 원조와, 휴식, 안내, 물질적 자원을 제공할 수 있고, 기꺼이 이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3.5.9. 영성/신앙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강점과 회복력의 원천은 어떤 보이지 않는 힘과 변혁의 가능성, 고통의 종말에 대한 믿음 또는 인생의 도전에 직면하려는 용기이다.
3.6. 강점지향적 관점의 한계성
위와 같은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강점지향적인 관점은 여러 가지 한계점이 있다. 첫째는 강점지향적 관점의 주요 개념인 “권한부여”는 그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많은 사회복지사들이 권한부여를 단지 “변화에 대한 심리적 과정‘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행동적이고 조직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둘째는 비용의 문제이다. 이는 기존 접근에 비해 개입시간이 길고, 긍정적 결과의 측정이 어려우며, 지속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가 힘들기 때문에 비용의 문제가 대두된다. 셋째는 클라이언트의 비협조를 들 수 있다. 만성적인 문제가 있는 클라이언트의 경우, 지속적인 개입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내기가 어렵고 가족치료사와 대등한 힘의 균형을 유지하거나 자기결정과 개별화에 기반한 관계를 유지하기 힘들 수 있다.
4. 결론
강점 관점은 치료자나 클라이언트가 치료에 임할 때 그들의 문제를 다른 관점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점을 전제한다. 강점 관점을 적용하는 치료사들이 보고하기를, 일단 클라이언트가 강점을 찾아 세우고, 그 장점들을 일상생활에서 적용하기만 하면, 그들은 더 많이, 또 일상생활 속에 그 장점들을 더 흡수하고 미래의 가능성에 의해 살고자 하는 욕구를 개발한다고 한다.
요약해 말하면 치료자가 6가지 방법으로 가족(그리고 개인들)에게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①그들이 자신의 능력을 믿을 수 있게 도와주고, 변화할 수 있다는 능력을 믿게 한다.
②가족들에게 가능성으로 가득 차있고, 희망적이라는 관점을 부여해준다.
가족들을 교육하고 그들이 자기 스스로의 기술을 발전시키도록 도와준다.
④그들의 장점, 강점, 그리고 그들 주위의 자원을 깨닫고 그것을 증축해 준다.
⑤가족들에게 선택과 대안의 가능성이 있음을 깨닫도록 도와준다.
⑥문화적, 인종적 배경을 강화시키고 지지하는 전략을 설계해 준다.
김병지. 1993. “사회사업실천에서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 사업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인숙김용석. 2002 『사회복지실천기술연습』. 나남출판.
류순애. 2002.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갈등과 사회복지사의 판단에 관한 연구”. 청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종미. 1983. “한국사회사업가의 비밀보장 윤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사업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금주. 2001.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 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승희. 2004. “사회복지실천에서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에 관한 고찰”. 『사회과학연구』 제 8집.
황성철. 1996. “사회사업가의 윤리적 갈등과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제 29권.

키워드

사회,   정신,   관점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74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