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모색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에서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모색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없이 평가받고 존중받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이런 맥락에서 다문화주의에 관심을 가지는 한국사회가 ‘문화적 차이‘의 정확한 의미와, 본질성, 범위 등에 관해서 제대로 고민해보고, 이것이 한국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발전해나갈 수 있을지 심도 있게 고민하고 성찰해봐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고민과 성찰 없이는 혈통주의, 가부장적 가족 및 사회 질서를 가진 한국 사회에서 결혼을 통해 이주한 외국인 여성이 주체적으로 한국사회에 편입해서 자기 존중을 기반으로 한 삶을 살아가기 힘들다고 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사회가 다문화 정책을 고려할 때 지나치게 경제적인 이익이나 효과에만 치중하는 것을 지양해야 할 것이다. 호주와 서구의 다른 국가에서처럼 문화적 다양성을 경제적 이익 추구에 활용하기에 급급하다면, 이는 문화의 상품화, 물질화 등의 역효과를 낼 것이며 타문화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보다 문화의 자본주의적 이해를 받아들여 결과적으로 자국문화-타문화라는 상하 양극화된 문화구조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단기적인 경제적 이익에 치우친 정책은 일회성 성격을 가질 수 있으므로 다문화 서비스는 장기적인 목표 아래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의 다문화 정책은 인간존중의 내실을 다지는 것을 목표로 삼고 전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국이 호주를 비롯한 서구의 다른 국가들과 같은 다수의 문화(예, 한국중심주의 문화, 남성 편견적 문화 등)를 보편적 가치로 두는 단일 중심주의 다문화주의가 아닌 보편적인 인간 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다중심성에 입각한 다문화주의를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참고문헌
강권찬. 2003. “스웨덴- 이상적 공존제도화의 실현”, 민족연구, 11.
곽기성. 2001. 호주의 미디어 - 다문화주의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북스.
김광억, 1998. “다문화주의 시각”, 현대사회와 인권, 서울, 나남출판:제 3장.
김상임. 2005. “상담사례를 통해본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의 삶”, 이주여성인권센터 3주년 기념심포지엄 발표문, 한국 이주여성인권센터.
김욱동. 1998. “다문화주의의 도전과 응전”, 미국학 논집, 30(1):29-49.
김현미. 2005. “글로벌 사회는 신분제 사회인가?”, 글로벌시대의 문화번역, 또 하나의 문화, 서울:제 3장.
김현숙. 2004. “부산지역 여성이주노동자들의 노동상태 및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부산정책연구, 2:69-144.
김혜숙. 1999. “아시아적 가치와 여성 - 전통과 반전통”, 보편윤리와 아시아 가치에 대한 국제회의 발표논문.
박이문, 2002. “문화다원주의”, 철학과 현실, 봄호:22-38.
박지원. 2003. “Singapore: 상호주의 공존질서의 선택”, 민족연구, 11.
부산 외국인노동자 인권을 위한 모임. 2005. “상담일지”, http://ssd08.ye.ro/ezbbs/ ez2000/ezboard.cgi?db=fwr_counsel (20/10/2005).
안현주, 2006. “한국남성과 국제결혼한 이주여성의 가정폭력 경험과 대응: 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양정화. 2005. “이주여성의 차별과 폭력경험에 관한 실태 조사 연구: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석사논문.
양철호 외 5인, 2003. “외국인 주부의 인권과 복지에 관한 연구: 광주, 전남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6(6):127-49.
오마이뉴스, 2005. “한류시대 우리는 아시아를 제대로 보고있나”, 2005/12/09.
이금연, 2001. “국내여성이주노동자의 차별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이수자, 2004. “이주여성 디아스포라”, 한국사회학, 38(2).
이용승. 2004. “호주의 다문화주의”, 동아시아연구, 8.
, 2003. “Australia: 백호주의를 넘어서”, 민족연구, 11.
이인경, 2005. “결혼을 통한 이주여성과 그들의 권리”, 어울림 -이주여성. 다문화가족 센타 자료게시판, http://www.eulim.org/bbs/zboard.php?id=pds (2005/12/01)
이재정. 2003.“‘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모색 - 재한외국인 정책을 중심으로”, 민족연구, 11.
이태옥,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 가족과 사회적 지지망 연구: 영광지역 여성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임안나, 2005. “한국 남성과 결혼한 필리핀 여성의 가족관계와 초국가적 연계망”, 서울대학교 대학원.
스즈키 아키라, 2005. “이주노동자에게 노동안전교육을!”, 노동사회 , 99.
장은주, 2004. “문화적 차이와 인권-동아시아 맥락에서”, 한국인권재단,
http://www.humanrights.or.kr/library/board_library.htm?code=library.htm, (2006/6/6)
_____, 2003."문화다원주의와 보편주의“, 다원주의, 축복인가 재앙인가? 한국철학회편, 서울:74-107.
중앙일보, 2006. “코시안 정치 세력화 가능성 2020년엔 신생아 3명 중 1명이 혼혈”,
2006/4/4.
____, 2006. “충북보은 작년 205쌍중 85쌍 국제결혼”, 2006/4/4.
조선일보, 2000. “국적=혈통인 한국인”, 2000/2/16, 45판 18면.
_____, 2006. “베트남 처녀들 ‘희망의 땅 코리아로”, 2006/04/21.
조정남. 2001. “현대국가와 다문화주의”, 민족연구, 6.
프레시안. 2006. “단군자손들의 학교에 하인스 워드는 없다.”, 2006/4/4.
한겨레, 2006a, “‘베트남 국제결혼’ 그럼 어떻게 풀어야 하나”, 2006/0/1.
_____, 2006b. “들끓는 베트남 ‘이 치욕을 어떻게...’”, 2006/5/1.
한국염. 2005. “이주의 여성화와 국제결혼”,이주여성인권센터 3주년 기념심포지엄 발표문, 한국 이주여성인권센터.
호사카 유지. 2003. “Japan: 일본의 정주외국인정책과 재일 코리안”, 민족연구, 11.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4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