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예배의 변화와 예전의 문제점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교회 예배의 변화와 예전의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A. 연구의 동기와 목적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Ⅱ. 예배의 본질과 의미
A. 어원적 의미
B. 신학적 의미
C. 종교개혁 시대의 예배와 순서
D. 현대교회의 예배와 순서

III. 바람직한 예배문화와 프로그램
A. 예배문화의 필요성
B. 예배순서와 성서일과
C. 21세기 예배문화와 예배순서

Ⅳ. 변화하는 현대문화에 있어서 예배의 전망
A. 예배의 변화에 관한 최근 동향
B. 예배의 변화의 필요성과 한계
C. 예배의 변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
D. 예배의 변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와 원칙
E. 한국교회의 예배 변화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회력, 세계의 정의와 평화, 선교를 주제로하는 설교, 세례와 성찬에서 그리스도의 한 몸의 개념을 우주적 교회로의 확장, 세계로의 파송과 축도등을 통해서 세계교회와의 일치를 표현할 수 있다.
3. 교회와 사회의 일치를 추구하는 예배
회중이 속한 문화에 대한 정직한 이해와 대화의 결론을 예배에 수용하고, 전통적 유산과 진지한 만남을 시도하여 지역교회의 문화에 적극적으로 응답하는 예배를 지향한다. 전통적 예배의 무조건적 답습은 현대교회의 회중들로 하여금, 수동적인 방관자나 현실과 괴리된 이중적 신앙생활을 허용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예배형식 중에 정서적으로나 이지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부분들이 있을 때는 종교개혁자들이 우려했던 예배의 미신화를 조장하는 격이 된다. 그러므로, 예배의 집례자나 계획에 참여하는 자들은 회중의 삶의 자리의 변화에 민감해야 하며, 그들의 소리와 몸짓을 예의 주목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회중의 입장의 무조건적 수용과 반영은 예배에서의 하나님의 주도적 행위를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특히 인간의 타락과 부패함과 하나님의 무조건적 사랑을 표현한 개혁교회 예배의 속죄적 성격에 비추어볼 때, 회중의 편리함까지이르는 지나친 배려는 예배의 본래적 위치로 부터 이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배에서 예술적 표현도 회중 또는 예술가의 전시장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예술가의 심미적 세계에 찬사를 보내고, 그 아름다움과 긴장미에 매료되어, 음악회 무대의 축제성, 전시회의 화려함을 예배의 역동성과 혼돈해서는 안된다. 예배는 세상의 흥행이나 무리의 힘이나 인간의 천재성과 노력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베풀어주시는 은혜, 즉, 성례전과 말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그 은혜에 합당한 응답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은혜에 대한 깊은 명상과 체험없이 표현하는 모든 축제적 응답은 일시적이고 경박하며 회중을 산란하게 할 뿐이다. 열린시대를 맞이하여 온통 열린 것을 추구하는 마당에서 드려지는 예배가 열린 음악회나 열린 연극과 같은 흥행성에 춤추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예배에서의 역동성은 회중을 군중으로서가 아니라, 한 사람도 포기하시지 않는 하나님의 마음을 펼칠 수 있는 마당이 될때 감격과 감사의 축제마당이 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예배와 사회의 일치라는 과제는 종말론적 목적을 담은 것이다. 즉, 사회와 수평적 또는 교차적 만남이 아니라, 사회를 개혁하고 주도해가는 의미에서의 일치를 말한다.
Ⅴ. 결론
예배에서 회중은 한편으론 한 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주도해가시는 하나님의 섬리와 다른 한편으로는 회중을 하나님 나라의 백성공동체로서 뿐아니라 그의 가족의 한 식구로서 격려하시고 설명하시는 그 분의 섬세한 손길을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 중심을 찾기 어려운 문화의 격변기 속에서 예배의 도구로서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깊이할 뿐 아니라, 문화 자체에 대한 하나님의 주도하심을 회복해야겠다. 무엇보다도, 역사의 수없는 문화적 변천에서 추출된 전통적 유산들을 지혜롭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배에서 문화선도적 역활을 수행할 수 있을 때 예배의 소외는 극복되고, 나아가 예배당의 울타리를 넘어 사회와 문화라는 큰 장소에 예배를 통합할 가능성을 갖게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소영, [예배와 생활]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2)
박은규, [예배의 재발견] (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88
R. 레어드 해리스, 글리슨 L. 아처 2세, 브수스 K. 월트케 편수, [구약원어 신학사전] (서울 : 요단 출판사, 1986
게르하르트 킷텔, 게르하르트 프리드리히, [신약성서 신학사전] (서울 : 요단 출판사, 1985)
김기현, [한국 교회의 예배와 생활] (서울 : 양서각, 1984)
Raymond Abba, [기독교 예배의 원리와 실제], 허경삼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74)
Franklin M. Segler, [예배학 원론], 정진황 역 (서울 : 요단 출판사, 1979)
Franklin M. Segler, [목회학 개론], 이창희 역 (서울 : 요단 출판사, 1977)
J. J. von Allmen, [예배학 원론], 정용섭 외 3인 공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79)
Franklin M. Segler, [예배학 원론] 정진황 역 (서울 : 요단 출판사, 1979)
The Joint Committee on Worship for Comberland Presbyterian Church, The Worshipbook, (Philadelphia : The Westerminster Press, 1970)
한국 정교회, [정교회 기초 교리] (서울 : 한국 정교회, 1978)
[기독교 대백과 사전, 4권 (서울 : 기독교문사, 1985)
he United Methodist Church, The Book of Worship (Nashville : The United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65)
박은규 외 3인, [기독교 입문] (대전 : 목원대학 출판부, 1982)
Edward T. Horn, [교회력] 배한국 역 (서울 : 컨콜디아사, 1983)
정장복, [예배학 개론] (서울 : 종로서적, 1987)
정철법, "교회력과 예배의식" [예배. 설교. 선교] (서울 : 연신 목회자 신학세미나 강의집, 1986)
Peter G. Cobb, The Calender In Cheslyn Jones, [ed], The Study of Liturgy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정용섭, [교회 갱신의 신학]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9)
박근원, "예배와 성례전" [예배. 설교. 선교] (서울 : 연신 목회자 신학 세미나 강의집, 1986),
"Lectionary", In Westminster Dictionary of Worship, Edited by J. G. Davies (Philadelphia : Westminster, 1972)
Robert G. Rayburn, [예배학] 김달생, 강위봉 공역 (서울 : 성광문화사, 1988)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74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