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사회복지와 선교전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 사회복지와 선교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독교 사회복지의 정의
2. 기독교 사회복지의 역사
3. 기독교 사회복지의 주체와 객체
4. 교회와 사회복지 선교
5. 한국교회의 사회복지 현황
6. 한국교회의 사회복지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산(Legacy)이 어떻게 21세기로 전달되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20세기 한국교회의 사회봉사가 21세기 사회봉사의 과제와 전망에 어떤 역사적·신학적·교회사적 교훈을 주고 있는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세계 여러 나라의 교회 발전사를 교회의 성장, 복음적 선교기능 수행 등에서 되돌아보면, 놀랍게도 교회가 정치·경제·문화·사회 등 어려운 사회환경 속에서도 교회는 교회 본연의 영적 정체성을 확립해가며 그 선교적 기능을 감당해 나가고, 교회의 성장도 이룩하였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점차 교회가 세속사회에 안주하면서 풍요한 물질문화의 영향을 받기 시작함에 따라서, 교회의 영적 정체성은 모호해지고, 교회의 영성도 약화되며, 교회의 성장도 둔화되거나 감소 또는 쇠퇴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교회의 쇠퇴현상은 20세기 중반에 걸쳐 구미 여러 나라 교회들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당시 급성장을 하고 있던 한국교회에게 이러한 교회의 쇠퇴현상은 이해되기 어려웠다. 언젠가는 한국교회에도 이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까 하는 염려의 질문과 두려움이 있기는 했지만, 불행하게도 한국교회는 교회의 쇠퇴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요인을 분석하거나, 한국교회 속에서도 이런 요인들이 싹트고 있는지에 대한 진지하고 철저한 자기분석을 하지 않았다. 그래서 만일에 발생할 수도 있는 한국교회의 성장둔화 내지 감소현상에 대한 예방과 대비에 대한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였다. 오히려 한국교회는 근대 세계교회사에서 그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급성장하는 한국교회를 자랑스럽게 생각했다. 또한 한국교회의 급성장에 대한 세계교회의 찬사에 도취되어, 계속적으로 교회성장 정책을 고수하며 교회의 성장에 모든 힘을 견주하였다. 지난 1984년 존 본(John N. Vaughan)이 저술한 「세계의 최대 20대 교회(The World's 20 Lagest Churches)」라는 저서에 한국교회가 5개나 포함되어 있을 정도로 한국교회는 크고 빠르게 성장하였다. 교회의 성장학자나 선교학자들에 의해서도 한국교회의 성장은 인정을 받고 있다.
그런데 과거 1950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초와 비교하면, 최근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교회의 성장률은 둔화되기 시작하였고, 한국 교회의 지도자들이나 신학자들은 물론 세계의 교회 지도자들도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1960년대 16%라는 폭발적인 성장에서 이어 1970년대 7%, 1980년대 7%라는 비교적 높은 성장률에 비해,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3%라는 성장의 둔화현상을 보이며 20세기를 마감하기에 이르렀다.
우리는 먼저 한국교회가 1950년대 이후부터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급속한 성장을 보여준 배경과 원인을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1990년대 이후 한국교회의 성장 둔화 내지 정체현상을 살펴보아야 오늘 우리가 다루고자 하는 강연 주제, “21세기 한국교회 사회봉사의 과제와 전망”을 거시적인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6. 한국교회의 사회복지 전망
교회는 믿음의 실천을 위한 교회 내부로부터의 요구가 초대교회부터 계속 있어 왔으며 현재는 국가 복지의 축소로 인한 민간의 역할의 강화에 대한 사회로부터의 요구에 맞물려 사회복지의 실천에 중요한 주체가 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유지되어 온 교회의 사회복지 실천은 신앙과 교리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도나 선교와 함께 진행되어 왔으며, 사랑과 자발성에 근거한 신앙의 표현으로 도움을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간에 단순히 물질을 나누는 차원 이상의 감정적, 정서적, 영적 교감이 동반되어 온 점에서 일반 사회복지와 다르다. 이 점이 교회의 사회복지 실천을 존귀하게 만드는 것이다. 교회의 사회복지는 사회의 제도에 의해 도움을 못 받아 곤경에 처하고 고통받는 사람이 존재하는 한 그것을 보충하는 역할의 필요성이 지속될 것이며, 그러한 상황이 없어질 때까지 교회의 사회복지를 위한 재정 지출을 늘리라는 요구는 계속될 것이다. 그리고 교회의 사회복지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자원을 활용하여 국가의 공적인 사회복지 제도에 다양성과 창의성, 자율성을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적인 측면에서만 교회의 사회복지를 이해해서는 안 된다. 교회의 사회복지는 도움을 주는 자와 받는 자 모두 믿음의 실천에서 오는 기쁨과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박영호(2001) 기독교 사회복지 - 기독교문서선교회
김기원(1998) 기독교사회복지론 - 대학출판사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96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