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AM I ? 윤리적․사회적․법률적인 측면으로 바라본 인간복제의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동물복제에서 인간복제까지

Ⅱ. 인간복제의 문제점
 1. 윤리적․사회적 측면
 2. 법률적 측면

Ⅲ.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본문내용

된 구조물과 잔여배아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11조 제1항은 ‘누구든지 체세포복제배아를 자궁에 착상시켜서는 아니되며, 착상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출산하여서는 아니된다’고 명시하여, 인간개체를 생산할 목적으로 한 인간복제는 허용하지 않고 있다. 민영선「인간배아복제의 규제와 법정책」2006, p29-30
Ⅲ.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앞에서 본바와 같이 인간복제는 윤리적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제기되며, 법률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인간복제를 금지하거나 또는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인간복제는 양날의 검과 같다. 잘 활용하면 이기가 될 것이나, 잘못쓰이면 해약이 될수도 있다. 그러기 때문에 우리는 이 검을 선뜻 잡기를 두려워한다. 내가 여기서 제시해 주고 싶은 것은 ‘성체줄기세포’이다. 앞에서 말한 배아줄기세포는 인간개체복제로 이어질 개연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성체줄기세포는 이미 모든 장기의 분화가 끝난 성체에 존재하는 원시세포를 의미하며, 이 세포는 인체의 여러 장기 및 조직에 존재하면서 필요에 따라 특정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김병호「9년후, 줄기세포치료」2006. p160
성체줄기세포는 성인의 신체 중 골수, 혈액 등에서 얻을 수 있고 갓 태어난 아기의 탯줄에 있는 혈액인 제대혈에서도 얻을 수 있다. 이 세포는 배아세포가 아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윤리적인 논란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경석「인간생명의 시작은 어디인가」2006. p41
과거 성체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의 그림자 뒤에 가려져 있었다. 배아줄기세포는 몸의 모든 세포가 분화되는 반면, 성체줄기세포에서 만들어지는 세포의 종류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미네소타대학교의 캐서린 버페이 연구진은 다른 조직의 세포로도 분화할 수 있는 ‘다능성체전구세포’를 찾아냈다. 이는 성체줄기세포가 배아줄기세포에 버금가는 잠재력을 지닌다고 주장한다. 이한음「호모 엑스페르투스」2008. p206
또한 배아줄기세포는 테라토마라는 기형종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를 가진다. 이러한 기형종 형성으로 인해 배아줄기세포는 현재 임상에 적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반해 성체줄기세포는 암이 발생되지 않는다고 밝혀져 안전한 것으로 보고됨에 따라 현재 여러 가지 난치성 또는 퇴행성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임상에 적용되고 있다. 라정찬「고맙다 줄기세포」2010. p44
성체줄기세포 뿐만 아니라 ‘유도만능줄기세포’도 또 하나의 대응책이다. 이 세포는 2007년 일본 교토대학 야마나카신야 교수와 미국 위스콘신대학 제임스 톰슨교수가 바이러스 매개체에 4종의 유전자를 결합시켜 성인의 피부세포에 주입, 성인 피부세포를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능력을 지닌 줄기세포로 유도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를 ‘유도만능줄기세포’라 한다. 라정찬「고맙다 줄기세포」2010. p45
앞서 본 성체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포처럼 인간복제를 대신할 방법은 분명히 있다. 그렇기에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생명연장의 연구를 지속할 수 있는 쪽으로 연구의 방향을 바꾸는 것이 우리의 앞으로의 과제이다.
  • 가격4,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1.27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21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