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안보리 개편 동향과 전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UN 안보리 개편 동향과 전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힘의 논리와 안보리 개편

1. 분석이론

가. 신 자유주의적 제도주의(UN)

(1) 자유주의 개관
(2) 자유주의의 분파
(3)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나. 신자유주의 비판과 신현실주의

(1) 현실주의
(2) 현실주의에는 어떠한 것 들이 있는가?
(3) 구조현실주의의 핵심개념
(4) 이 글의 분석의 틀- 힘의 균형이론 (Balance-Of-Power Theory)

Ⅲ. 현 UN 체체의 문제점 과 개편 동향

1. UN 체제의 문제점과 개편배경

가. 재정문제
나. UN상비군의 설치문제

2. UN의 개편동향

가. 상임이사국의 구성
나. 상임이사국의 역할
다. UN 개혁 논의 - 안전보장이사회 확대

Ⅳ. 안보리 개편논의와 한국의 전망 및 대처

1. 일본의 노력

가. 일본의 안보리 개혁에 관한 노력
나. 일본의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가능성

2. 안보리 개편과 한국의 이해 그리고 동북아의 평화에 관하여.

Ⅴ. 결론 : 무엇을 할 것인가 ?

본문내용

해를 관철 시킬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때 명심해야 할 점은 아직 한국의 국제영향력은 중진국에 지나지 않다는 점이다. 한국의 의지와는 달리 힘이 있는 국가의 논리에 의해 지배구조가 바뀔 수 있다는 점이 현실이다. 이러한 점을 통감하고 이 시점에 우리가 무엇보다 해야 할 것은 강대국의 이해관계를 확실히 파악하고 이러한 이해관계가 우리에게 어떤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느냐에 대한 세밀한 분석과 예측이다. 이러한 세밀한 분석과 예측에 기반하여 안보리 개편 움직임에 한국은 저지와 지연과 협상, 동맹 등의 기술을 유감없이 발휘하며 유연하게 강대국의 이해관계를 이용해 자국의 이해를 꾀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성학, 2003, “동아시아의 안보와 UN체제”,집문당
김순규, 1997,“현대 국제정치학”, 박영사.
김순규. 1992, “신국제기구론”. 박영사.
김석준, 2002, “거버넌스의 정치학 ”,법문사
김열수, 2000, “국제기구를 통한 분쟁관리 : 국제연합의 평화유지활동(PKO)” 오름
김영수, 2003, “국제 분쟁해결의 성패요인 분석- UN 평화유지활동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김의곤, 1996, “현대국제정치이론”. 서울 : 집문당.
김열수, 2000, “국제기구를 통한 분쟁관리” : 국제연합의 평화유지활동(PKO),오름
마뉴엘 카스텔, 2002, “밀레니엄의 종언”, 한울
마뉴엘 카스텔, 2002, “정체성권력”, 한울
박건영 (역), 2000. “국제정치이론”. 서울 : 사회평론.
박재영, 2001, “UN회의의 이해”, 법문사
박재영, 2001, “국제정치 패러다임”, 법문사
박치영, 1998, “UN 정치론”, 법문사
박수길, 2002, “21세기 UN과 한국”, 오름
서창록, 2004, “국제기구: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학”, 다산
송영우, 1999, “국제정치학. 개정판”. 건국대학교출판부.
송병록, 1998, "종족(종교).영토분쟁과 이의 극복방안", 『오토피아』, 제13권 제1호), p. 127.
오기평, 1982, “현대국제기구정치론. 법문사.
유현석, 2001, “국제정세의 이해”, 한울
유네스코, 1963, “韓國委員會 國際聯合이란”,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외교안보연구원, 1999, “21세기UN과 한국”
이광호, 1976.“UN과 국제정치체제 : UNCURK 에 관한 Case Study 국제정치논총”, 15권,
단일호, 시작쪽수 133p, 전체쪽수 13p
張榮源, 1993, “UN의 集團安全保障體制에 관한 硏究” : UN의 평화유지활동(PKO)을 중심으로, 淸州大 大學院,
정성원, 1995, “UN體制와 NGOs간의 關係硏究”, 고려대학교
정은숙, 2003, “21세기 UN 평화유지활동”, 세종연구소
정일형, 1961, “국제연합독본” 국제연합한국협회
정진영, 2000, “국제정치 이론논쟁의 현황과 전망: 새로운 이론적 통합의 방향, 국제 논총, 40집 3권
존 베일리스, 스티브 스미스, 하영선 외 옮김 “세계정치론”,을유문화사
탁안철, 1992, "UN 평화유지기능의 限界와 問題点에 대한 小考", 釜山大 大學院
하영선 외 (역). 2003. “세계정치론”. 서울 : 을유문화사 .
하영선, 1995. “현대국제정치이론”. 서울 : 사회비평사.
홍순남, 2002, “제연합 경제사회이사회(ECOSOC)에 관한 일 연구”, 한양대학교
권일: 정치외교학과, 1994.“냉전후 UN평화유지활동 연구”.고려대학교 대학원
Zacarias, Agostinho, 1997, “國際聯合과 國際的 平和維持”,國防大學院 安保問題硏究所
Waltz, Kenneth Neal, 2000, “국제정치이론” . 사회평론
Jae-Kwang Lee, 2002.UN Sanctions Regime. Korea University
Archer, Clive. 1992, “국제기구론” 문우사
John Baylis & Steve Smith (Eds.),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2nd ed.).
Shin ichi, K. 2005, “Time for a Permanent Seat on the Security Council.” JAPAN ECHO. Vol. 32. 13-17.
Kirgis, F. L. 1999, “Fassbender, Bardo. UN Security Council Reform and the Right of Veto: A Constitutional Perspective.”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93. 975-976.
Kirgis, F. L. 1999, “Malone, David M. Decision-Making in the UN Security Council: The Case of Haiti, 1990-1997.”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93. 970.
Glennon, M. J. 2003, "The UN Security Council in a Unipolar World" VIRGINIA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44 . 91-112.
Glennon, M. J. 2003, "Why the Security Council Failed" FOREIGN AFFAIRS -NEW YORK- . Vol. 82 . 16-35.
[해외논단]UN은 개혁돼야 한다
[세계일보 2005-04-26 18:42]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2&article_id=0000093462§ion_id=110&menu_id=110

이장희,“일본의UN안보리상임이사국진출의문제점
  • 가격2,6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2.12.07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46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